목차
서론
본론
1.자유형
2. 평영
3. 접영
4. 수업을 마치며...
본론
1.자유형
2. 평영
3. 접영
4. 수업을 마치며...
본문내용
몸통의 율동까지 섞어서 한번 젓고, 한번 차낼 때마다 강한 추진력을 내어 전진하는 영법이며 자유형 다음으로 속도가 빠른 영법이다.
4가지 영법 중에서 가장 새로운 영법이며 본래 평영의 기록 경신을 위하여 고안된 영법이었다. 1952년부터 평영과 분리되어 정식으로 1개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그 뒤 다리동작으로 4돌핀킥이 쓰여지고 두팔로 1회 물을 저을 때마다 1회 킥하는 영법에서 킥을 2회하는 2비트 영법으로 발전했다. 현재도 이 두가지가 함께 쓰여지고 있다.
이같은 평영으로부터 파생된 영법이므로 규칙은 평영과 거의 같지만 헤엄의 특성은 자유형과 흡사하다.
나. 웨이브
사람은 다관절을 가진 어류와는 달리 대퇴부나 무릎관절이 접히다 시피 하여 어류와 같이 자연스러운 웨이브를 하기에는 어렵지만, 많은 연습을 통해 웨이브가 가능하다.
웨이브의 중심은 바로 가슴에 있다. 가슴을 밑에서 앞방향으로 내밀며 밀어주면 바닥을 향한 턱은 자연스럽게 앞쪽으로 향하고 가슴을 말아줄 때는 다시 바닥을 향하게 된다. 목과 턱에 힘을 전혀 주지 말고, 가슴에 의해 자연스럽게 움직이게 한다. 이렇게 가슴-배-히프-허벅지-무릎-발등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앞으로 내밀었다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웨이브이다.
나. 접영 지도법
Slogan
접영은 물타기와 타이밍이 전부다!!
주차
지도법 / 노하우
비고
1주차
접영은 웨이브가 가장 중요한 항목이다. 웨이브는 가슴-배-히프-허벅지-무릎-발등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한다. 접영의 킥동작은 양다리는 동시에 움직이되, 너무 굽히면 추진력이 떨어진다. 스트로크를 한 번 할 때, 킥은 두 번 하는데, 첫 번째 작은 킥은 팔의 리커버리와 동시에 이루어져서 몸의 균형을 잡아 주고 빠른 추진력을 내며, 두 번째 큰 킥은 몸을 솟구치게 해서 숨을 들이 쉬게 한다. 1주차에는 발차기와 함께 물타기를 강습한다.
킥판
킥을 차는 개념이 아닌 킥을 눌러주는 개념을 익히게 강습해야한다. 물에 걸쳐 앉아누워 눌러주는 연습이 필요하다.
2주차
2주차에는 물타기와 함께 한팔 접영을 강습한다. 강습은 팔과 킥동작의 타이밍 위주의 강습을 하며 한팔 접영의 경우 알기 쉽게 킥 한번에 자유형 한팔을 하는 형식으로 한다. 킥은 앞서 말했듯이 첫 번째 킥은 강하게 두 번째 킥은 약하게 하며 한팔 리커버리가 끝난후에는 가슴을 잡아 줌으로써 웨이브를 숙달한다.
킥판
킥과 팔의 콤비네이션 동작의 타이밍을 잡게 되 면 접영의 반을 익히게
4가지 영법 중에서 가장 새로운 영법이며 본래 평영의 기록 경신을 위하여 고안된 영법이었다. 1952년부터 평영과 분리되어 정식으로 1개 종목으로 채택되었고 그 뒤 다리동작으로 4돌핀킥이 쓰여지고 두팔로 1회 물을 저을 때마다 1회 킥하는 영법에서 킥을 2회하는 2비트 영법으로 발전했다. 현재도 이 두가지가 함께 쓰여지고 있다.
이같은 평영으로부터 파생된 영법이므로 규칙은 평영과 거의 같지만 헤엄의 특성은 자유형과 흡사하다.
나. 웨이브
사람은 다관절을 가진 어류와는 달리 대퇴부나 무릎관절이 접히다 시피 하여 어류와 같이 자연스러운 웨이브를 하기에는 어렵지만, 많은 연습을 통해 웨이브가 가능하다.
웨이브의 중심은 바로 가슴에 있다. 가슴을 밑에서 앞방향으로 내밀며 밀어주면 바닥을 향한 턱은 자연스럽게 앞쪽으로 향하고 가슴을 말아줄 때는 다시 바닥을 향하게 된다. 목과 턱에 힘을 전혀 주지 말고, 가슴에 의해 자연스럽게 움직이게 한다. 이렇게 가슴-배-히프-허벅지-무릎-발등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앞으로 내밀었다가 원위치로 복귀하는 것이 웨이브이다.
나. 접영 지도법
Slogan
접영은 물타기와 타이밍이 전부다!!
주차
지도법 / 노하우
비고
1주차
접영은 웨이브가 가장 중요한 항목이다. 웨이브는 가슴-배-히프-허벅지-무릎-발등의 순으로 순차적으로 한다. 접영의 킥동작은 양다리는 동시에 움직이되, 너무 굽히면 추진력이 떨어진다. 스트로크를 한 번 할 때, 킥은 두 번 하는데, 첫 번째 작은 킥은 팔의 리커버리와 동시에 이루어져서 몸의 균형을 잡아 주고 빠른 추진력을 내며, 두 번째 큰 킥은 몸을 솟구치게 해서 숨을 들이 쉬게 한다. 1주차에는 발차기와 함께 물타기를 강습한다.
킥판
킥을 차는 개념이 아닌 킥을 눌러주는 개념을 익히게 강습해야한다. 물에 걸쳐 앉아누워 눌러주는 연습이 필요하다.
2주차
2주차에는 물타기와 함께 한팔 접영을 강습한다. 강습은 팔과 킥동작의 타이밍 위주의 강습을 하며 한팔 접영의 경우 알기 쉽게 킥 한번에 자유형 한팔을 하는 형식으로 한다. 킥은 앞서 말했듯이 첫 번째 킥은 강하게 두 번째 킥은 약하게 하며 한팔 리커버리가 끝난후에는 가슴을 잡아 줌으로써 웨이브를 숙달한다.
킥판
킥과 팔의 콤비네이션 동작의 타이밍을 잡게 되 면 접영의 반을 익히게
추천자료
[+A]수업 참관 보고서
[보건교육B]그린의 PRECEDE-PROCEDE 모형을 적용한 중년여성의 운동증진교육
초중고등학생의 안전사고 예방교육
1)즐거운 생활-신나는 놀이-여러 가지 훌라후프 놀이 하기(중안)
3)미술-5-2. 찰흙으로 나타내기 - 찰흙 작품 제작에 필요한 용구 알아보기, 찰흙으로 부조 ...
3)체육-2-2. 물살을 가르며 - 팔로 물을 끌어당기며 나아가기
3)체육-2-2. 물살을 가르며 - 안전한 물놀이
3)체육-2. 물살을 가르며 - 물에서 할 수 있는 다양한 활동과 안전 수칙 찾아보기
1)슬기로운생활-4. 건강하게 생활해요 - 여러가지 운동하기
4)영어-Let's go hiking-활동제안하고 답하기(중안)
4학년) <영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62-63쪽 (1/5 )차시)자연교수법(Natural Approach)...
초등1) <(국어)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듣·말 58~59 쪽(2/4)차시)> 5.생각을 펼쳐요 - ...
초등4) <(도덕)과 교수-학습 과정안 {세안} 72~79 (70~77) (1/3)> 4. 함께 사는 세상 - 공중...
초등4) <(체육)과 교수-학습 과정안 {중안}> 피하기형 게임 하기 - 피구 게임을 통해 공이 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