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개념,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목적과 원칙(면접의 10가지 원칙)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사회복지실천론]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개념,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목적과 원칙(면접의 10가지 원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개념

2. 사회복지실천 면접의 목적과 원칙
1) 면접의 목적
(1) 정보수집을 위한 면접
(2) 정보제공을 위한 면접
(3) 사정을 위한 면접
(4) 치료 혹은 변화를 위한 면접
2) 면접의 10가지 원칙
(1) 서로의 이야기에 집중하며 진지하게 듣고 감탄하기
(2) 한 번에 한 사람씩 나누기
(3) 가능하면 현재에 머물기
(4) 개인의 사례를 일반화하지 말기
(5) 자신에게 정직하고 성실하기
(6) 서로를 존중하기
(7) 자신의 문제를 소유하기
(8) 자신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기
(9) 훈련된 언어생활하기
(10) 서로의 비밀을 존중하기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용자가 자신의 인생에서 책임져야 할 부분에 대해 무책임한 사람이 되게 할 수도 있고, 성장이 정체된 의존적 사람으로 만들 수도 있다.
함부로 돕는 영웅주의적 도움의 뒷면에는 옳지 않은 동기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면, 잘못된 영웅주의자는 돕는 것을 통해 사람들에게 인정받고 싶은 강한 욕구나 자신의 선함이나 의를 과시하며 다른 사람들을 정죄하고 의분을 터뜨리는 모습을 본다. 이런 사람들은 남을 돕는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자신을 위해 남을 이용하는 사람들이다. 이런 관계에서는 도움을 받는 사람이 건강한 독립적인 인격체로 자라는 것이 아니라 그 사람에게 계속 의존적으로 살아야 하는 미숙아로 남아있게 된다. 과정을 중시하는 사람들은 순례자적인 믿음, 사랑, 소망의 자세로 고통 중에 있는 사람들과 함께 걷지만 초대받지 않은 영웅주의적 구제자의 역할은 경계한다.
(7) 자신의 문제를 소유하기
과정을 중요하게 생각하는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문제는 자신의 문제라 말할 수 있는 사람이다. 예를 들면 서비스이용자가 이야기하는 중에 그에게 필요 이상으로 강한 부정적인 감정을 느낄 때는 자신을 살펴본다. 혹시 서비스이용자가 내 마음에 해결되지 않은 무엇(나의 상처, 나의 분노, 나의 해결되지 못한 문제, 상처 준 사람 등)을 건드리지 않았는지를 확인하고, “000씨, ooo씨의 이야기를 들으며 나도 모르게 화가 나고 짜증이 났는데 가만히 생각해보니 내 안의 해결되지 않은 문제로 그런 것 같아요.” 라고 말할 수 있어야 한다.
이렇게 말할 수 있는 사회복지사는 자신의 문제를 소유할 수 있는 사람이다. 그렇지 않으면 해결되지 않은 자신의 문제로 인해 서비스이용자에게 정당하지 않은 상처와 아픔을 주게 되고 서로가 각자 자신의 문제에 갇히게 된다. 각자 자신의 문제는 자신이 소유하고 서로에게 정직하게 말하는 모습이 필요하다.
(8) 자신을 객관적으로 관찰하기
과정과 성장을 중시하는 사회복지사들은 자신을 객관적으로 관찰하는 습관을 갖는다. 뜨거운 대화 중에서도 자신이 사람들과 어떻게 대화를 나누고 있는지 자신의 모습을 객관적으로 살펴보려고 노력한다. 열띤 토론 가운데서도 자신에게서 어떤 사람 냄새가 나는지, 서로에게 어떤 냄새가 나는 사람인지를 조금 떨어져서 바라볼 수 있는 여유를 가진 사람들이다. 어떤 대화가 나의 마음과 서로의 마음을 만지고 열게 하는지 또는 마음을 닫게 만들고 답답하게 만드는지를 관찰하며 정답에 이르는 과정에서 일어나는 여러 현상들을 주의 깊게 볼 수 있는 사람들이다.
때로는 물속에 첨벙 뛰어들지 않고 강둑에 앉아 바라보며 관찰하고 배우는 사람이다. 사람이 상황에 뛰어들어 풍덩 빠지게 되면 흑백논리(黑白論理), 옳고 그름, 잘잘못 등에 사로잡혀 상대의 이야기를 들을 여유가 없게 되는 물귀신 같은 역할을 하여 모임을 힘들게 할 수 있다. 자기 관찰을 하는 사람들은 열띤 토론 한가운데서도 동시에 조금 뒤로 물러나 자신의 모습, 자신의 행동과 언어, 자신의 냄새 등을 보고 맡을 수 있는 자신에 대한 냉철함을 보이는 과정 중심의 사람이다.
(9) 훈련된 언어생활하기
과정을 중시하는 사회복지사는 훈련을 통해 다듬어진 세련된 언어생활을 한다. 다음은 건강한 생명을 낳을 수 있는 언어적 기술들이다.
첫째, 서비스이용자가 감정적으로 힘들게 보일 때는 공감적 반영을 한다. 공감적 반영은 '상대가 문제를 소유하고 있는 것처럼 보일 때’ 상대를 문제에서 건져낼 수 있는 효과적인 대화술로 그 틀은 '이유 + 상대가 느낀다고 생각하는 느낌 표현’으로 되어 있다. 예를 들면, “000씨의 이야기를 듣고 보니 참 답답하게 느끼시겠어요.”라고 말하는 것이다. 즉, 상대가 느낀다고 생각되는 감정을 반영해 주는 것으로 자신의 개인적 의견이나 생각 또는 감정을 철저하게 배제한다. 공감적 반영이 잘될 때 상대는 이해받는다는 느낌을 갖게 된다.
둘째, 자기표현은 공감적 반영과는 반대로 '자신이 문제를 소유하고 있는 때’ 사용할 수 있는 효과적인 대화술이다. 그 틀은 '상대의 행동, 태도, 또는 말 + 그로 인해 자신이 받은 영향 + 그래서 현재의 기분’ 으로 되어 있다. 가령, "아무도내 말을 듣지 않는 것 같아 무시당한 생각이 들어 기분이 참 그렇네요.“ 같은 것이다.
셋째, 상대에 대한 느낌과 인상은 가능하면 피드백으로 표현한다. 상대가 이야기할 때, 가능하면 직접적 충고나 방향 제시, 해석, 분석, 판단, 구해내기, 깊이 없는 농담, 대변 등을 피하고 피드백을 한다. 피드백이란 상대의 이야기를 들으며 내가 개인적으로 상대를 경험한 것을 전하거나 나누는 대화술이다. 예를 들면, 상대가 스스로 결정하지 못하고 다른 사람들의 충고나 지시에 의존해서 살아가는 모습을 반복적으로 발견하게 될 때 “000씨가 말씀하는 것을 들으며 제가 받은 인상은 당신은 스스로 결정하는데 참 어려움을 느끼시는 것 같아요:’라고 하거나 “000씨는 스스로 결정하는데 참 어려움을 느끼시는 것 같아요. 마치 내 모습을 보는 것 같네요.” 라고 표현하는 것이다.
넷째, 다음의 네 가지 반응을 조심해야 한다.
하나, 격렬한 생체적 반응으로 면접을 시작해서는 안 된다.
둘, 일방적인 비난적 자세를 피해야 한다.
셋, 철저한 방어적 자세를 갖지 않도록 노력해야 한다.
넷, 담 또는 벽의 자세를 깨도록 애써야 한다.
(10) 서로의 비밀을 존중하기
이 말은 면접을 통해서 나온 말은 가능하면 비밀을 지켜야 한다는 뜻이다. 이는 서로를 신뢰하게 되고 자기 개방과 좀 더 깊은 이야기를 할 수 있는 안전한 분위기로 이끈다. ‘진짜와 진짜가 만날 수 있는 분위기’가 되어 거룩함과 변화가 일어날 수 있는 진정한 사회복지실천 현장이 될 수 있다. 따라서 가능하면 사회복지실천 현장을 떠날 때, 서로 극히 개인적인 이야기를 그 장소에 놓고 떠나는 마음의 훈련이 중요하다.
참고문헌
설진화 저, 사회복지실천기술론, 양성원 2016
권중돈 저, 인간행동과 사회복지실천, 학지사 2014
사회복지교육연구센터 저, 사회복지실천론, 나눔의집 2015
이재풍, 곽종형 외 저, 사회복지실천론, 에듀컨텐츠휴피아 2015
박치상, 김옥희 외 저, 사회복지개론, 양서원 2016

추천자료

  • 가격2,2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6.02.27
  • 저작시기2016.2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569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