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선정동기
2. 이공본풀이와 성주풀이의
유사점과 차이점
3. 유사점과 차이점을 통한 분석
(1) 남성중심
(2) 인간적인 신들의 모습
(3) 삼각관계
(4) 부부관계의 분석
(5) 신성공간의 분석
4. 감상 후 느낀점
2. 이공본풀이와 성주풀이의
유사점과 차이점
3. 유사점과 차이점을 통한 분석
(1) 남성중심
(2) 인간적인 신들의 모습
(3) 삼각관계
(4) 부부관계의 분석
(5) 신성공간의 분석
4. 감상 후 느낀점
본문내용
, 자신의 능력을 발휘해 소진랑에게 직접 복수를 가한다. 하지만 사라도령은 자신이 직접 나서지 않고 대신 서천꽃밭에 찾아온 아들 한락궁이를 통해 복수를 한다. 이 과정에서 사라도령의 능력이 나타나기 보다는 한락궁이와 서천꽃밭의 꽃들의 능력이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어쨌든 이공본풀이와 성주풀이 둘 다 마지막에는 가정의 온전한 회복을 이루었다. 정리하자면 이공본풀이와 성주풀이에서는 평화로운 가정, 시련의 도래와 극복, 가정의 온전한 회복이라는 과정이 나타난다.
3. 유사점과 차이점을 통한 이공본풀이와 성주풀이의 분석
(1) 남성 중심
두 개의 신화에서 시련을 겪는 것은 여성이지만 중요한 신격을 획득하는 것은 남성들이다. 당장 제목만 봐도 <원강아미본풀이>, <막막부인풀이>가 아닌 <이공본풀이>와 <성주풀이>이기 때문이다.
또한 성주풀이에서 막막부인은 단지 ‘부인’이라는 호칭으로만 불릴 때가 많은데, 그것은 막막부인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게다가 막막부인은 초반에는 쇠를 다루는 대장장이의 모습도 보이고 황우양씨보다 우위의 모습을 보이지만, 후반에 수난을 당하고 난 후에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인다. 그것은
“부인은 그동안에 무슨 조를
3. 유사점과 차이점을 통한 이공본풀이와 성주풀이의 분석
(1) 남성 중심
두 개의 신화에서 시련을 겪는 것은 여성이지만 중요한 신격을 획득하는 것은 남성들이다. 당장 제목만 봐도 <원강아미본풀이>, <막막부인풀이>가 아닌 <이공본풀이>와 <성주풀이>이기 때문이다.
또한 성주풀이에서 막막부인은 단지 ‘부인’이라는 호칭으로만 불릴 때가 많은데, 그것은 막막부인을 중요하게 생각하지 않는다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게다가 막막부인은 초반에는 쇠를 다루는 대장장이의 모습도 보이고 황우양씨보다 우위의 모습을 보이지만, 후반에 수난을 당하고 난 후에는 전혀 다른 모습을 보인다. 그것은
“부인은 그동안에 무슨 조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