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구조와 기능
Ⅱ. 건강사정
Ⅲ. 적혈구 장애
Ⅳ. 백혈구 장애
Ⅴ. 조혈장애
Ⅶ. 혈액장애 환자의 특수치료와 간호
Ⅱ. 건강사정
Ⅲ. 적혈구 장애
Ⅳ. 백혈구 장애
Ⅴ. 조혈장애
Ⅶ. 혈액장애 환자의 특수치료와 간호
본문내용
, 손바닥의 창백은 혈색소 수치의 감 소를 의미).
(4) 황달: 간질환, 담관 질환 시→용혈성 빈혈로 인해 빌리루빈 수치 상승으로 발생
(5) 검붉은 피부색: 원발성 다혈구혈증 시 혈색소가 과다해서 발생
(6) 자반증(purpura), 반상출혈(eccchymosis), 점상출혈(petechia): 혈소판 장애와 응고장애 시 발생
2)눈
(1) 공막(황달): 과도한 용혈로 담색소 축적
(2) 결막(창백): 혈소판 감소증
(3) 망막 출혈, 공막 출혈: 빈혈, 혈소판 감소증
3) 구강
(1) 잇몸: 산소 충분하면 분홍빛, 불충분 시 창백
(2) 악성 빈혈과 철분결핍성 빈혈일 경우 혀 매끄러움.
(3) 영양결핍 시 혀가 빨갛고 매끄러움.
(4) 출혈 장애 시 잇몸에 출혈이나 삼출물
(5) 점막 궤양: 호중구 감소증, 백혈병
(6) 종창, 발적, 잇몸 출혈: 백혈병
4) 림프절
(1) 림프절 비대: 혈액장애와 악성 림프장애
(2) 목 림프절 비대: 호지킨병
5)흉부
(1) 통증: 백혈병, 림프종
(2) 호흡곤란: 빈혈
6)복부
(1) 비장 비후(splenomegaly): 림프종, 단핵세포 증가증, 백혈병
(2) 간 비후(hepathmegaly): 백혈병
7) 근골격계
(1) 뼈 통증: 혈액계 악성 종양
(2) 용혈성 질환, 혈액계의 악성 종양: 요산(uric acid) 생성 증가, 통풍 발생률 증가
(3) 출혈성 질환, 관절 내 혈종: 관절 통증, 관절 변형
(4) 관절 기형: 출혈성 질환
8) 신경계
(1) 비타민 B12 결핍: 대뇌, 척수, 말초신경의 침범, 신경기능 장애
(2) 백혈병 진행되어 수막 침범: 두통, 시력손상, 뇌신경 침범 증상
2. 진단 검사
1) 혈액검사
(1)전혈검사
검사
정상치
의미
적혈구
적혈구 수
남: 450만~600만/ml
여: 400만~550만/ml
-증가: 높은 고도에서의 생활·화상으로 인한 혈액 농축, 원발성 다혈구혈증
-감소: 빈혈·호지킨병·백혈병
혈색소
(hemoglobin)
남: 14~18g/dl
여: 12~16g/이
-증가: 다혈구혈증, 적혈구 증가증, 화상으로 인한 혈액 농축, 높은 고도에서의 생활
- 감소: 혈구 파괴 증가, 적혈구 생산 감소되는 빈혈
헤마토크릿
(hematocrit)
남: 40~54%
여: 37~47%
-증가: 원발성 다혈구 혈증, 혈액 농축
-감소: 혈액 생산의 감소, 적혈구 파괴 증가, 백혈병, 림프종으로 인한 빈혈
백혈구
백혈구 수
5000~10,000/㎣
-증가: 급성 감염 시 증가
호중구
3,000~7,500/㎣
(54~75%)
-증가: 염증성 질환, 세균 감염, 악성 종양, 좌상, 백혈병, 악성 림프종, 원발성 다혈구혈증, 용혈성 빈혈, 수혈부작용으로 인한 빈혈
-감소: 골수 기능 저하, 화학요법, 항생제 사용, 재생불량성 빈혈
림프구
1,500~4,500/㎣
(25~40%)
-증가: 림프성 백혈병, 단핵구 증가증, 모과립 세포증, 만성 세균염
-감소: 호지킨병, 면역 억제제 사용, 후천 면역결핍 증후군
단핵구
100~500/㎣(2~8%)
-증가: 무과립 세포증, 호지킨병, 단핵구성 백혈병, 결핵
호산구
50~400/㎣(1~4%)
-증가: 알레르기 반응, 호산구성 백혈병, 호지킨병, 악성 빈혈, 원발성 다혈구혈증, 특정 겸상세포 빈혈
호염기구
25~100/㎣(0~1%)
-증가: 만성 골수성 백혈병, 용혈성 빈혈, 호지킨병, 원발성 다혈구형증
(2)혈액 응고 검사
검사
정상치
의미
출혈시간
(Bleeding time)
2~9분
-혈관반응과 혈소판 기능 평가
-혈관질환이나 아스피린 복용 후 지연
혈소판
(Platelet, PLT)
15만~40만/㎣
-증가: 악성종양, 진성 다혈구혈증, 비장절제술
-감소: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후천성 면역결핍증, 용혈성 질환, 방사선 치료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활성화 시간
(partoal thromboplastin time(PTT))
25~38초
-지연 시 응고인자 결핍으로 인한 응고장애
-헤파린 요법 사정, 조절
-혈소판 장애를 진단하지는 못함.
프로트롬빈 시간
(Prothrombin time(PT))
11~15초
-지연: 항응고제 사용, 비정상적으로 낮은 섬유소원, 응고인자 Ⅱ, Ⅴ, Ⅵ, Ⅹ의 결핍, 홍반성 낭창
활성화된 응고시간
(Activated clotting time)
7~120초
-지연: 심한 응고문제, 헤파린의 치료적 투여 시 지연
섬유소원 측정
(Fibrinogen level)
200~400mg/dl
-감소: 간질환, 선천적 또는 후천적 섬유소원 결핍증
(3) 적혈구 침강 속도
① 응고되지 않은 혈액에서 적혈구가 시험과 바닥으로 가라앉는 속도
② 정상치: 0~20mm/hr
③ 증가
a. 활동성 염증 질환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
b. 백혈병, 악성종양, 호지킨 병, 심한 빈혈, 무과립 세포증
(4) 쿰 검사(Coomb`s test)
- 적혈구 항원에 대한 항체를 발견하기 위한 검사
① 직접 쿰 검사(direct coomb`s test): 적혈구를 손상시키는 자가항체 발견
② 간접 쿰 검사(indirect coomb`s test): 순환하고 있는 항적혈구의 항체
2) 골수검사
(1) 골수천자(Bone marrow puncture)
- 빈혈, 급성 백혈병, 호중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진단
① 방법
a. 부위:후장골능(iliac crest, 복위), 훙골(앙와위), 전장골능(측위)
b. 국소마취 후 골수강 안으로 탐침 삽입
c. 손상을 피하기 위해 천자를 하는 동안 절대로 움직이는 것 금지
d. 0.2~0.5ml의 골수액 흡인
e. 바늘 제고 후 즉시 출혈이 멈출 대까지 천자 부위 압박, 무균적 드레싱
② 간호
a. 검사 전
-불안과 공포 중재: 검사 과정 설명, 정서적 지지
- 바늘 삽입 시 날카로운 통증, 바늘 삽입된 상태에서 압박감 있다고 알려줌.
b. 검사 후
-검사부위 15분간 압박, 30분 동안 침상 안정
-모래주머니나 얼음주머니를 대어 출혈 예방
-출혈, 쇼크 징후, 계속되는 통증 여부 사정
c. 시술 전후 진통제, 진정제 투여
(2) 골수 생검(Bone marrow biopsy)
- 절혈구, 백혈구 및 재생불량성 빈혈, 악성빈혈, 혈소판 감소 진
(4) 황달: 간질환, 담관 질환 시→용혈성 빈혈로 인해 빌리루빈 수치 상승으로 발생
(5) 검붉은 피부색: 원발성 다혈구혈증 시 혈색소가 과다해서 발생
(6) 자반증(purpura), 반상출혈(eccchymosis), 점상출혈(petechia): 혈소판 장애와 응고장애 시 발생
2)눈
(1) 공막(황달): 과도한 용혈로 담색소 축적
(2) 결막(창백): 혈소판 감소증
(3) 망막 출혈, 공막 출혈: 빈혈, 혈소판 감소증
3) 구강
(1) 잇몸: 산소 충분하면 분홍빛, 불충분 시 창백
(2) 악성 빈혈과 철분결핍성 빈혈일 경우 혀 매끄러움.
(3) 영양결핍 시 혀가 빨갛고 매끄러움.
(4) 출혈 장애 시 잇몸에 출혈이나 삼출물
(5) 점막 궤양: 호중구 감소증, 백혈병
(6) 종창, 발적, 잇몸 출혈: 백혈병
4) 림프절
(1) 림프절 비대: 혈액장애와 악성 림프장애
(2) 목 림프절 비대: 호지킨병
5)흉부
(1) 통증: 백혈병, 림프종
(2) 호흡곤란: 빈혈
6)복부
(1) 비장 비후(splenomegaly): 림프종, 단핵세포 증가증, 백혈병
(2) 간 비후(hepathmegaly): 백혈병
7) 근골격계
(1) 뼈 통증: 혈액계 악성 종양
(2) 용혈성 질환, 혈액계의 악성 종양: 요산(uric acid) 생성 증가, 통풍 발생률 증가
(3) 출혈성 질환, 관절 내 혈종: 관절 통증, 관절 변형
(4) 관절 기형: 출혈성 질환
8) 신경계
(1) 비타민 B12 결핍: 대뇌, 척수, 말초신경의 침범, 신경기능 장애
(2) 백혈병 진행되어 수막 침범: 두통, 시력손상, 뇌신경 침범 증상
2. 진단 검사
1) 혈액검사
(1)전혈검사
검사
정상치
의미
적혈구
적혈구 수
남: 450만~600만/ml
여: 400만~550만/ml
-증가: 높은 고도에서의 생활·화상으로 인한 혈액 농축, 원발성 다혈구혈증
-감소: 빈혈·호지킨병·백혈병
혈색소
(hemoglobin)
남: 14~18g/dl
여: 12~16g/이
-증가: 다혈구혈증, 적혈구 증가증, 화상으로 인한 혈액 농축, 높은 고도에서의 생활
- 감소: 혈구 파괴 증가, 적혈구 생산 감소되는 빈혈
헤마토크릿
(hematocrit)
남: 40~54%
여: 37~47%
-증가: 원발성 다혈구 혈증, 혈액 농축
-감소: 혈액 생산의 감소, 적혈구 파괴 증가, 백혈병, 림프종으로 인한 빈혈
백혈구
백혈구 수
5000~10,000/㎣
-증가: 급성 감염 시 증가
호중구
3,000~7,500/㎣
(54~75%)
-증가: 염증성 질환, 세균 감염, 악성 종양, 좌상, 백혈병, 악성 림프종, 원발성 다혈구혈증, 용혈성 빈혈, 수혈부작용으로 인한 빈혈
-감소: 골수 기능 저하, 화학요법, 항생제 사용, 재생불량성 빈혈
림프구
1,500~4,500/㎣
(25~40%)
-증가: 림프성 백혈병, 단핵구 증가증, 모과립 세포증, 만성 세균염
-감소: 호지킨병, 면역 억제제 사용, 후천 면역결핍 증후군
단핵구
100~500/㎣(2~8%)
-증가: 무과립 세포증, 호지킨병, 단핵구성 백혈병, 결핵
호산구
50~400/㎣(1~4%)
-증가: 알레르기 반응, 호산구성 백혈병, 호지킨병, 악성 빈혈, 원발성 다혈구혈증, 특정 겸상세포 빈혈
호염기구
25~100/㎣(0~1%)
-증가: 만성 골수성 백혈병, 용혈성 빈혈, 호지킨병, 원발성 다혈구형증
(2)혈액 응고 검사
검사
정상치
의미
출혈시간
(Bleeding time)
2~9분
-혈관반응과 혈소판 기능 평가
-혈관질환이나 아스피린 복용 후 지연
혈소판
(Platelet, PLT)
15만~40만/㎣
-증가: 악성종양, 진성 다혈구혈증, 비장절제술
-감소: 혈소판 감소성 자반증, 후천성 면역결핍증, 용혈성 질환, 방사선 치료
부분 트롬보플라스틴
활성화 시간
(partoal thromboplastin time(PTT))
25~38초
-지연 시 응고인자 결핍으로 인한 응고장애
-헤파린 요법 사정, 조절
-혈소판 장애를 진단하지는 못함.
프로트롬빈 시간
(Prothrombin time(PT))
11~15초
-지연: 항응고제 사용, 비정상적으로 낮은 섬유소원, 응고인자 Ⅱ, Ⅴ, Ⅵ, Ⅹ의 결핍, 홍반성 낭창
활성화된 응고시간
(Activated clotting time)
7~120초
-지연: 심한 응고문제, 헤파린의 치료적 투여 시 지연
섬유소원 측정
(Fibrinogen level)
200~400mg/dl
-감소: 간질환, 선천적 또는 후천적 섬유소원 결핍증
(3) 적혈구 침강 속도
① 응고되지 않은 혈액에서 적혈구가 시험과 바닥으로 가라앉는 속도
② 정상치: 0~20mm/hr
③ 증가
a. 활동성 염증 질환이 진행되고 있음을 의미
b. 백혈병, 악성종양, 호지킨 병, 심한 빈혈, 무과립 세포증
(4) 쿰 검사(Coomb`s test)
- 적혈구 항원에 대한 항체를 발견하기 위한 검사
① 직접 쿰 검사(direct coomb`s test): 적혈구를 손상시키는 자가항체 발견
② 간접 쿰 검사(indirect coomb`s test): 순환하고 있는 항적혈구의 항체
2) 골수검사
(1) 골수천자(Bone marrow puncture)
- 빈혈, 급성 백혈병, 호중구 감소증, 혈소판 감소진단
① 방법
a. 부위:후장골능(iliac crest, 복위), 훙골(앙와위), 전장골능(측위)
b. 국소마취 후 골수강 안으로 탐침 삽입
c. 손상을 피하기 위해 천자를 하는 동안 절대로 움직이는 것 금지
d. 0.2~0.5ml의 골수액 흡인
e. 바늘 제고 후 즉시 출혈이 멈출 대까지 천자 부위 압박, 무균적 드레싱
② 간호
a. 검사 전
-불안과 공포 중재: 검사 과정 설명, 정서적 지지
- 바늘 삽입 시 날카로운 통증, 바늘 삽입된 상태에서 압박감 있다고 알려줌.
b. 검사 후
-검사부위 15분간 압박, 30분 동안 침상 안정
-모래주머니나 얼음주머니를 대어 출혈 예방
-출혈, 쇼크 징후, 계속되는 통증 여부 사정
c. 시술 전후 진통제, 진정제 투여
(2) 골수 생검(Bone marrow biopsy)
- 절혈구, 백혈구 및 재생불량성 빈혈, 악성빈혈, 혈소판 감소 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