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바이오 에너지 개발의 필요성
2. 바이오 에너지란?
3. 바이오 에너지의 특징
4. 바이오메스 자원
5. 바이오 에너지와 제조방법
6. 바이오 에너지 기술개발 현황
7. 해양 바이오 에너지
8. 국내 바이오 에너지
- 참고 문헌, 사이트 -
2. 바이오 에너지란?
3. 바이오 에너지의 특징
4. 바이오메스 자원
5. 바이오 에너지와 제조방법
6. 바이오 에너지 기술개발 현황
7. 해양 바이오 에너지
8. 국내 바이오 에너지
- 참고 문헌, 사이트 -
본문내용
해조류를 이용할 경우 매년 1에이커 당 1만 갤런 이상의 연료가 생산이 가능하므로 이론적으로 해양바이오매스만 확보되면 거의 모든 수송용 액체에너지를 생산할 수 있다.
2). 해양 바이오 에너지의 장점(조류)
* 거대조류
김, 다시마 등은 셀룰로오스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바이오에탄올로 전환이 용이하고 리그닌 성분이 없어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다.
* 미세조류
생장속도가 빨라 식물에 비해 5-10배 정도로 바이오매스 생산성이 높을뿐 아니라 이산화탄소 고정능력도 15배가량 높고 전형적인 육상 작물(야자, 대두, 유채 등)들 보다 단위면적당 훨씬 많은 지질을 생산 할 수 있다.
8. 국내 바이오 에너지
1). 국내 바이오 에너지 사용과 생산량
* 국내의 바이오 에너지 사용은 미미하나(1,98%) 2013년 까지 3,17%로 증대 시킬 계획이다. 국내의 경우 3대 유기성폐기물(축산분뇨, 유기성슬러지, 음식물류 쓰레기)이 전체 바이오메스 발생량의 72%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경제적 처리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바이오매스 이용기술의 관심물질로 보고 있다.
* 한국의 2010년도 바이오가스 생산량은 157,074천㎥으로 조사되어 에너지 열 원유
585,873배럴(약528억원)과 같은 열량을 나타내었다.
2). 국내 바이오 에너지 관련 정책
* 국내의 바이오에너지 정책은 미국, 유럽, 브라질 등의 에탄올, 바이오디젤을 중심으로 기존 정책을 모방하며 정책기조를 유지중이다. 에탄올, 바이오디젤 산업이 여러 면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하여 추진하였으나 그 보급에는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 바이오매스의 에너지화 계획
2013년까지 국가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율은 3.78%이다, 2020년에 6.08%, 2030년에는 11%로 이중 65%이상을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를 통해 실현한다. 또, 바이오매스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것이 농촌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소득을 증대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중이며, 2020년까지 600개 ‘저탄소 녹색마을’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2012년까지 10개 마을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3). 국내 해양 바이오 에너지
* 바이오 에탄올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2007년부터 해조류 바이오에탄올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현재 해조류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기술개발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에서는 2013년까지 2천억을 투자해 여수에 연간 10만 톤의 해조류 바이오에탄올 양산체제를 구축하기로 하였으나 진행이 더딘 상황이며 중소기업인 바이올 시스템즈 에서는 2011년까지 200억을 투입하여 전남도에 1일 약 4,000리터 생산 시험시설을 마련하기로 한 바 있으나 진척사항이 미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오 디젤
2009년부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의 연구기관과 대학 등에서 효율적인 미세조류 이용 바이오 디젤 생산 기술 개발을 위해 핵심 애로기술인 미세조류 배양 시스템 개선, 미세조류 수확(harvestingprocess)기법의 개발, 광 생물반응기 개발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2012년 기준으로 16개 바이오디젤 제조업체가 등록되어 기업 활동을 하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국내
바이오 에너지 중 가장 앞선 분야이다.
* 바이오 부탄올
2007년부터 바이오 에너지 개발에 대한 사업으로 2010년까지 200억 원을 투자해 청정 바이오에너지 기술개발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 됐으며, 현재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 부탄올을 생산하는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바이오 수소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태평양 심해저열 수구에서 분리한 고 세균을 이용해 바이오수소를 실증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단계로 2015년까지 소규모의 pilotplant 구축을 준비하고 있으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참고 문헌, 사이트 -
네이버 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7817&cid=40942&categoryId=32310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itech_co?Redirect=Log&logNo=188570988
공학석사 학위논문, ‘신재생 에너지로서 바이오매스에 관한 연구’ 2013년 2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박 현호
경영학박사 학위논문, ‘해양바이오에너지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적 편익 추정 및 파급효과 분석’ 2014년 2월, 부경대학교 대학원 해양산업경영학과, 김 태영
2). 해양 바이오 에너지의 장점(조류)
* 거대조류
김, 다시마 등은 셀룰로오스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어 바이오에탄올로 전환이 용이하고 리그닌 성분이 없어 전처리 공정이 필요 없다.
* 미세조류
생장속도가 빨라 식물에 비해 5-10배 정도로 바이오매스 생산성이 높을뿐 아니라 이산화탄소 고정능력도 15배가량 높고 전형적인 육상 작물(야자, 대두, 유채 등)들 보다 단위면적당 훨씬 많은 지질을 생산 할 수 있다.
8. 국내 바이오 에너지
1). 국내 바이오 에너지 사용과 생산량
* 국내의 바이오 에너지 사용은 미미하나(1,98%) 2013년 까지 3,17%로 증대 시킬 계획이다. 국내의 경우 3대 유기성폐기물(축산분뇨, 유기성슬러지, 음식물류 쓰레기)이 전체 바이오메스 발생량의 72%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며 향후 경제적 처리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이를 바이오매스 이용기술의 관심물질로 보고 있다.
* 한국의 2010년도 바이오가스 생산량은 157,074천㎥으로 조사되어 에너지 열 원유
585,873배럴(약528억원)과 같은 열량을 나타내었다.
2). 국내 바이오 에너지 관련 정책
* 국내의 바이오에너지 정책은 미국, 유럽, 브라질 등의 에탄올, 바이오디젤을 중심으로 기존 정책을 모방하며 정책기조를 유지중이다. 에탄올, 바이오디젤 산업이 여러 면에서 경쟁력이 있다고 하여 추진하였으나 그 보급에는 만족하지 못하고 있다.
* 바이오매스의 에너지화 계획
2013년까지 국가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율은 3.78%이다, 2020년에 6.08%, 2030년에는 11%로 이중 65%이상을 폐자원 및 바이오매스를 통해 실현한다. 또, 바이오매스를 에너지로 사용하는 것이 농촌의 일자리를 창출하고 소득을 증대하는데 기여할 것이라고 전망중이며, 2020년까지 600개 ‘저탄소 녹색마을’을 조성하는 것을 목표로, 2012년까지 10개 마을에서 시범사업을 추진한다.
3). 국내 해양 바이오 에너지
* 바이오 에탄올
한국생산기술연구원과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2007년부터 해조류 바이오에탄올 연구를 시작하였으며 현재 해조류 바이오에너지에 대한 기술개발이 본격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금호석유화학에서는 2013년까지 2천억을 투자해 여수에 연간 10만 톤의 해조류 바이오에탄올 양산체제를 구축하기로 하였으나 진행이 더딘 상황이며 중소기업인 바이올 시스템즈 에서는 2011년까지 200억을 투입하여 전남도에 1일 약 4,000리터 생산 시험시설을 마련하기로 한 바 있으나 진척사항이 미진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바이오 디젤
2009년부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한국생명공학연구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등의 연구기관과 대학 등에서 효율적인 미세조류 이용 바이오 디젤 생산 기술 개발을 위해 핵심 애로기술인 미세조류 배양 시스템 개선, 미세조류 수확(harvestingprocess)기법의 개발, 광 생물반응기 개발 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2012년 기준으로 16개 바이오디젤 제조업체가 등록되어 기업 활동을 하고 있다. 바이오디젤은 국내
바이오 에너지 중 가장 앞선 분야이다.
* 바이오 부탄올
2007년부터 바이오 에너지 개발에 대한 사업으로 2010년까지 200억 원을 투자해 청정 바이오에너지 기술개발을 목표로 연구가 진행 됐으며, 현재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로부터 바이오 부탄올을 생산하는 기술 개발에 대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 바이오 수소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이 태평양 심해저열 수구에서 분리한 고 세균을 이용해 바이오수소를 실증 생산하는 기술을 개발하고 있는 단계로 2015년까지 소규모의 pilotplant 구축을 준비하고 있으며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 참고 문헌, 사이트 -
네이버 백과사전
http://terms.naver.com/entry.nhn?docId=1167817&cid=40942&categoryId=32310
네이버 블로그
http://blog.naver.com/itech_co?Redirect=Log&logNo=188570988
공학석사 학위논문, ‘신재생 에너지로서 바이오매스에 관한 연구’ 2013년 2월,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업대학원, 박 현호
경영학박사 학위논문, ‘해양바이오에너지 연구개발사업의 경제적 편익 추정 및 파급효과 분석’ 2014년 2월, 부경대학교 대학원 해양산업경영학과, 김 태영
키워드
추천자료
- 대체 에너지와 그 이용
- [에너지공학] 풍력에너지
- 태양에너지
- 신 재생 에너지 연구
- 녹색성장을 위한 新에너지 • 재생에너지 산업 육성 전략 - 신 재생에너지 현황 / ...
- 태양에너지(태양열, 태양광)의 특징, 태양에너지(태양열, 태양광)의 원리, 태양에너지(태양열...
- [에너지절약교육]에너지절약교육의 운영범위와 목표, 에너지절약교육의 필요성과 내용, 에너...
- [대체에너지] 대체에너지의 종류와 필요성, 대체에너지장점, 대체에너지단점
- 스마트그리드 신재생에너지 레포트
- 신재생에너지 산업의 필요성과 경제적 효과에 대한 분석
- 131121 신재생에너지 - 수소에너지
- 에너지안보 에너지패권에 따른 우리나라의 에너지 현황 수급과 전망
- [한국사회문제B형] 현재 한국사회의 에너지 문제는 어떤 상태인지 서술한후, 문제의 원인을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