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전위선측정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등전위선측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목적
2.장치 및 기구
3.이론
4.실험방법
5.실험DATA
6.계산 및 결과
7.결론 및 토의

본문내용

등전위선 측정(도전판)
1.목적
평면위에 여러 가지 모양의 전극을 설치하고 전원을 연결하여 전기장을 만든다.
그 위에서 한 점을 기준으로 전류가 흐르지 않는 여러 점을 찾아서 연결하는 방법
으로 등전위선을 그린다. 전극의 모양에 따라서 등전위선의 분포가 변하는 것을
관찰한다. 등전위선과 수직관계인 전기장(전기력선)을 스케치한다. 전기장과 등전위선 및 전기장 내에서 하전입자의 운동에 대한 개념을 익힌다.
2.장치 및 기구
3.이론
이론:정전기학의 중요한 발견은 모든 전하를 띤 물체는 주변에 영향을 미치는 영역을 형성한다는 사실이다. 이 영역 안에 다른 전하가 들어오면 그 전하는 두 전하들의 부호에 따라 당기거나 밀치는 힘이 작용한다. +Q의 전하를 가진 물체가 형성하는 힘의 장을 그려보기 위해서는 DJejS 시험전하 +에 의한 힘의 장(전기장)의 모양이다.
이러한 힘의 장을 그리는 데는 한 가지 문제가 있다. 그것은 사용된 시험전하 +의 크기에 EK라 장의 세기가 달라지는 것이다. 또한 +가 힘을 장을 만드는 +Q에 영향을 끼친다는 점이다. 따라서 +Q만 있다고 할 EO 생기는 전기장은 시험전하가 없이 생기는 순수한 힘의 장이므로 다음과 같이
= (1-1)
와 같이 정의되는 전기장을 사용한다. 전기장도 역시 벡터장으로 그 크기는 시험전하 +의 크기와는 상관없이 일정한 형태를 유지한다. 전기장의 세기는 전기장의 SOURCE에 해당하는 점전하 Q의 크기에 비례하며, 임의의 점에서의 방향은 시험전하가 그 점에서 받게 될 힘의 방향과 같다. 즉 +Q에 의한 전기장의 모양은 +Q에 의한 힘의 장의 모양과 똑같이 나타난다. 그러나 두 벡터장의 크기는 다음과 같이 배만큼 차이가 난다.
E= (1-2)
등전위선(면)이란 전위가 같은 선(면)을 의미하며 등전위선(면)에 있는 임의의 두 점을 도선으로 연결하면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는 높이가 같은 두 지점이 있을
  • 가격6,3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03.13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693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