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서론
II. 본론
1. 통신언어란?
2. 통신언어의 형성원인
3. 통신언어의 매체적 특징
4. 통신 언어 사용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
1) 부정적인 면
2) 긍정적인 면
5. 통신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
1) 음운론적 특성
2) 어휘론적 특성
3) 통사론적 특성
4) 표기법적 특성
5) 화용론적 특성
6. 통신언어 사용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1) 개인적 방안
2) 교육적 방안
3) 사회적 방안
III. 결론
참고자료
II. 본론
1. 통신언어란?
2. 통신언어의 형성원인
3. 통신언어의 매체적 특징
4. 통신 언어 사용의 긍정적, 부정적 영향
1) 부정적인 면
2) 긍정적인 면
5. 통신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
1) 음운론적 특성
2) 어휘론적 특성
3) 통사론적 특성
4) 표기법적 특성
5) 화용론적 특성
6. 통신언어 사용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방안
1) 개인적 방안
2) 교육적 방안
3) 사회적 방안
III.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2008.
.
결국 이러한 무분별한 통신 언어의 사용은 의사소통 장애를 가져온다. 언어의 기본 기능이 바로 의사소통인데 통신 언어의 사용은 오히려 의사소통에 불편함을 가져다주고 있다.
이로 인해 세대 간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게 된다. 요즘 학생들은 기성세대들이 자신들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대화가 통하지 않으면 ‘세대차이 느낀다’라는 말을 한다. 기성세대들은 청소년들에 비해 인터넷 통신을 사용하는 일에 익숙하지 않고 더군다나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이해하는 것은 힘들 수밖에 없다.
그리고 비교적 국어 문법에 맞는 언어들을 구사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통신언어와 같은 문법에 맞지 않는 말을 사용하는 것은 점잖지 못하다고 생각할 수 있게 된다. 그러다 보니 기성세대들은 통신 언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며 통신 언어를 사용하는 청소년들과 서로 사용하는 언어에 차이가 생겨 세대 간의 격차가 더욱 심해지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세대 간의 격차를 넘어 세대 내에서도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른바 ‘왕따’ 문제와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개그 프로에 나오는 유행어를 알아 듣지 못하는 경우에도 대화가 안 통한다는 이유로 친구들에게 야유를 받는 현실 속에서, 자신들이 만들어서 사용하는 통신 언어를 모르거나 사용하지 않는 답답하거나 재미없는 친구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인터넷 대화방에서 주로 나타난다. 문법에 맞는 말로 대화를 시도하면 소위 ‘강퇴(강제 퇴장)’를 당하기 십상이다.
이처럼 통신 언어의 사용으로 인해 어문 규범이 정착되지 못한 환경에서 청소년들의 문법 의식은 약화될 수밖에 없다. 때문에 표준말 사용이나,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까지 생긴다. 또한 언어의 기본 기능인 의사소통에 불편함을 가져다주면서 이것은 마침내 세대 간의 단절을 가져온다. 뿐만 아니라 세대 내의 문제를 가져오면서 학생들 사이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왕따’ 문제에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2) 긍정적인 면
박동근(2001) 박동근, 통신언어 유형에 따른 언어학적 기능 연구, 어문학연구 제 11집, 상명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1.
은 통신언어 사용이 단지 규범 언어에 대한 일탈행위가 아니라 나름대로 효과적인 의사전달을 위한 방안이었음에 주목하였다. 그는 첫째, 실제 발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은 ‘대화 현실감의 반영’으로 보았다. 둘째, 통신상에서는 미묘한 의미 차이를 전달하기 어려움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이를 위해 기본 형태를 조금씩 변형하여 화자의 느낌을 좀 더 정확히 드러내는데 통신언어가 효과적으로 사용된다고 보았다. 셋째, 새말을 만들어 사용하거나 기존의 낱말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통신이라는 새로운 대화 장면에서 요구되는 필연적인 현상으로 보았다. 넷째, 흉내말이나 표정문자의 사용은 대화 장면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여기에서는 통신상에서의 의사소통은 표정을 전달할 수 없는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이모티콘’이 생기고 이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긍정적인 효과에 주목하고자 한다.
의사소통 과정에서 표정이 지니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자를 통한 의사소통에서는 시각적 제약이 생겨 상호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모티콘은 이것을 보완해 준다.
자주 사용하는 이모티콘을 살펴보면 확인되는 사실이 한 가지 있다. 무수히 많은 기호언어 중 주로 사용되는 것은 얼굴표정과 유사한 것에 치중되어 있다. 그 이유는 문자를 통한 의사소통이 제한된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유용한 도구로 이모티콘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주로 사용되는 이모티콘들은 사람의 표정과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다. 표정 중에서도 눈의 모양이 중심이 되는 형태의 이모티콘이 많은데 이것은 사람의 눈이 가장 많은 감정을 전달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처럼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실제 대화가 아닌 글에서도 풍부한 감정 표현이 용이해졌다. 뿐만 아니라 개개인이 새로운 기호 언어를 창의적으로 만듦으로써 자신의 개성을 표현한다. 요즘 청소년들은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데 적극적이다. 때문에 이러한 요즘 학생들의 성향을 가장 잘 반영해 주는 수단으로 통신 언어가 사용되는 것이다.
이처럼 통신 언어는 새로운 글자나 표현을 만들어 내면서 자신들의 개성을 표현하고, 통신상에서 표현 할 수 없는 감정을 이모티콘을 이용해 표현한다는 점에서는 분명히 긍정적인 면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다.
5. 통신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
1) 음운론적 특성과 사례
(1) 음운 축약과 생략
인터넷이 보급되기 시작하던 초창기의 통신 언어 연구자들에 의하면, 축약과 생략 현상은 인터넷을 전화와 모뎀을 이용한 컴퓨터 통신 초기에 자판을 하나라도 덜 쳐서 경제적인 비용을 줄이려는 의도에서 발생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그 후 초고속 통신망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비용과 상관이 없는 오늘날의 상황에서도 축약과 생략 현상은 계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양상이 심해지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의사를 보다 빨리 전달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표현일 것이다.
① 셤 끈나구 놀러가자(시험 끝나고 놀러 가자.)
② 어케하는지 모르겟어(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어.)
③ ㅊㅋ해(축하해.)
④ 난 테 무러바(나한테 물어 봐.)
⑤ 토욜에 만날래??ㅋㅋㅋ(토요일에 만날래?)
⑥ 울 엄마 베프임(우리 엄마 베스트 프렌드야.)
⑦ 여친 치마도 줄여 주고 검스 신기고(여자 친구 치마도 줄여 주고 검은 스타킹 신기고)
⑧ 함 해볼래?(한번 해 볼래?)
(2) 음운 첨가
통신 언어 사용상의 경제성과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해 축약과 생략의 형태를 사용하는 반면 음운을 첨가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려는 방법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① 누가 그랭?(누가 그래?), 착하징~(착하지.), 아닝~-~(아니), 부럽당ㅠㅠ(부럽다.)
② 너 지금 어디얌!(너 지금 어디야?), 어떻게 써야 될지 모르겠네염ㅠ-ㅠ(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겠네요.)
③ 나 디따 착햅~(나 무척(정말)착해.)
④ 필호(친구 이름)닷ㅋㅋ(필호다!), 저욧~(저요), ~라고 해욧(~라고 해요.)
⑤ 옙, 맞습당^^(예, 맞습니다.)
⑥ 너무 좋
.
결국 이러한 무분별한 통신 언어의 사용은 의사소통 장애를 가져온다. 언어의 기본 기능이 바로 의사소통인데 통신 언어의 사용은 오히려 의사소통에 불편함을 가져다주고 있다.
이로 인해 세대 간의 격차는 더욱 벌어지게 된다. 요즘 학생들은 기성세대들이 자신들을 이해하지 못하거나 대화가 통하지 않으면 ‘세대차이 느낀다’라는 말을 한다. 기성세대들은 청소년들에 비해 인터넷 통신을 사용하는 일에 익숙하지 않고 더군다나 그들이 사용하는 언어를 이해하는 것은 힘들 수밖에 없다.
그리고 비교적 국어 문법에 맞는 언어들을 구사하려고 노력하기 때문에 통신언어와 같은 문법에 맞지 않는 말을 사용하는 것은 점잖지 못하다고 생각할 수 있게 된다. 그러다 보니 기성세대들은 통신 언어를 사용하지 않게 되며 통신 언어를 사용하는 청소년들과 서로 사용하는 언어에 차이가 생겨 세대 간의 격차가 더욱 심해지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세대 간의 격차를 넘어 세대 내에서도 문제가 생기게 된다. 이른바 ‘왕따’ 문제와 연결된다고 볼 수 있다. 개그 프로에 나오는 유행어를 알아 듣지 못하는 경우에도 대화가 안 통한다는 이유로 친구들에게 야유를 받는 현실 속에서, 자신들이 만들어서 사용하는 통신 언어를 모르거나 사용하지 않는 답답하거나 재미없는 친구로 인식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은 특히 인터넷 대화방에서 주로 나타난다. 문법에 맞는 말로 대화를 시도하면 소위 ‘강퇴(강제 퇴장)’를 당하기 십상이다.
이처럼 통신 언어의 사용으로 인해 어문 규범이 정착되지 못한 환경에서 청소년들의 문법 의식은 약화될 수밖에 없다. 때문에 표준말 사용이나, 문법 교육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경우까지 생긴다. 또한 언어의 기본 기능인 의사소통에 불편함을 가져다주면서 이것은 마침내 세대 간의 단절을 가져온다. 뿐만 아니라 세대 내의 문제를 가져오면서 학생들 사이에 심각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왕따’ 문제에까지 영향을 끼칠 수 있다.
2) 긍정적인 면
박동근(2001) 박동근, 통신언어 유형에 따른 언어학적 기능 연구, 어문학연구 제 11집, 상명대학교 대학원 논문, 2001.
은 통신언어 사용이 단지 규범 언어에 대한 일탈행위가 아니라 나름대로 효과적인 의사전달을 위한 방안이었음에 주목하였다. 그는 첫째, 실제 발음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하는 것은 ‘대화 현실감의 반영’으로 보았다. 둘째, 통신상에서는 미묘한 의미 차이를 전달하기 어려움에 주목하였다. 따라서 이를 위해 기본 형태를 조금씩 변형하여 화자의 느낌을 좀 더 정확히 드러내는데 통신언어가 효과적으로 사용된다고 보았다. 셋째, 새말을 만들어 사용하거나 기존의 낱말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통신이라는 새로운 대화 장면에서 요구되는 필연적인 현상으로 보았다. 넷째, 흉내말이나 표정문자의 사용은 대화 장면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고 보았다.
여기에서는 통신상에서의 의사소통은 표정을 전달할 수 없는데 이러한 문제점으로 인해 ‘이모티콘’이 생기고 이를 사용함으로써 얻어지는 긍정적인 효과에 주목하고자 한다.
의사소통 과정에서 표정이 지니는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문자를 통한 의사소통에서는 시각적 제약이 생겨 상호 신뢰성이 떨어지게 되는데 이모티콘은 이것을 보완해 준다.
자주 사용하는 이모티콘을 살펴보면 확인되는 사실이 한 가지 있다. 무수히 많은 기호언어 중 주로 사용되는 것은 얼굴표정과 유사한 것에 치중되어 있다. 그 이유는 문자를 통한 의사소통이 제한된 상황에서 자신의 감정을 직접적으로 나타내는 유용한 도구로 이모티콘을 사용하였기 때문이다. 이처럼 주로 사용되는 이모티콘들은 사람의 표정과 관련된 것이 대부분이다. 표정 중에서도 눈의 모양이 중심이 되는 형태의 이모티콘이 많은데 이것은 사람의 눈이 가장 많은 감정을 전달하는 부분이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이처럼 이모티콘을 이용하여 실제 대화가 아닌 글에서도 풍부한 감정 표현이 용이해졌다. 뿐만 아니라 개개인이 새로운 기호 언어를 창의적으로 만듦으로써 자신의 개성을 표현한다. 요즘 청소년들은 자신의 개성을 드러내는데 적극적이다. 때문에 이러한 요즘 학생들의 성향을 가장 잘 반영해 주는 수단으로 통신 언어가 사용되는 것이다.
이처럼 통신 언어는 새로운 글자나 표현을 만들어 내면서 자신들의 개성을 표현하고, 통신상에서 표현 할 수 없는 감정을 이모티콘을 이용해 표현한다는 점에서는 분명히 긍정적인 면을 지님을 확인할 수 있다.
5. 통신언어의 특징을 보이는 자료
1) 음운론적 특성과 사례
(1) 음운 축약과 생략
인터넷이 보급되기 시작하던 초창기의 통신 언어 연구자들에 의하면, 축약과 생략 현상은 인터넷을 전화와 모뎀을 이용한 컴퓨터 통신 초기에 자판을 하나라도 덜 쳐서 경제적인 비용을 줄이려는 의도에서 발생하였다고 한다. 하지만 그 후 초고속 통신망을 사용하는 환경에서 비용과 상관이 없는 오늘날의 상황에서도 축약과 생략 현상은 계속적으로 나타나고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양상이 심해지고 있다. 이는 사용자가 자신의 의사를 보다 빨리 전달하려는 의도가 반영된 표현일 것이다.
① 셤 끈나구 놀러가자(시험 끝나고 놀러 가자.)
② 어케하는지 모르겟어(어떻게 하는지 모르겠어.)
③ ㅊㅋ해(축하해.)
④ 난 테 무러바(나한테 물어 봐.)
⑤ 토욜에 만날래??ㅋㅋㅋ(토요일에 만날래?)
⑥ 울 엄마 베프임(우리 엄마 베스트 프렌드야.)
⑦ 여친 치마도 줄여 주고 검스 신기고(여자 친구 치마도 줄여 주고 검은 스타킹 신기고)
⑧ 함 해볼래?(한번 해 볼래?)
(2) 음운 첨가
통신 언어 사용상의 경제성과 편리함을 추구하기 위해 축약과 생략의 형태를 사용하는 반면 음운을 첨가해서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려는 방법도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다.
① 누가 그랭?(누가 그래?), 착하징~(착하지.), 아닝~-~(아니), 부럽당ㅠㅠ(부럽다.)
② 너 지금 어디얌!(너 지금 어디야?), 어떻게 써야 될지 모르겠네염ㅠ-ㅠ(어떻게 써야할지 모르겠네요.)
③ 나 디따 착햅~(나 무척(정말)착해.)
④ 필호(친구 이름)닷ㅋㅋ(필호다!), 저욧~(저요), ~라고 해욧(~라고 해요.)
⑤ 옙, 맞습당^^(예, 맞습니다.)
⑥ 너무 좋
키워드
추천자료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성차별적 언어와 행위
(고등 국어 하) 3. 함께 하는 언어 생활
3. 국어의 언어적 특징과 음운 (중 생활국어 : 2학년 1학기)
[과외]중학 국어 중2-1학기 01 단원 즐거운 언어 생활 02
[덴마크][덴마크문화][덴마크의 문화][덴마크의 생활상]덴마크의 체조, 덴마크의 문화, 덴마...
<일일 보육 계획 및 평가(7월 17일)> - 여름의 날씨와 생활(언어영역) : 여름의 날씨와 생활...
매스컴이나 일상생활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언어 사용의 예와 그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 개선...
[유아수학교육]몬테소리 소개 - 몬테소리의 생애, 몬테소리 교육의 목적과 목표 및 환경, 몬...
매스컴이나 일상생활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언어사용의 예와 그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 및 개선...
일상생활에서 자신의 바람직하지 못한 언어 사용의 예와 그에 따른 부정적인 영향 등을 생각...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말레이시아에 대한 이해(자연환경, 정치, 경...
[다문화사회복지] 결혼이민자 관련 주요 나라인 베트남에 대한 이해 - 자연환경, 정치, 경제,...
일상생활에서 바람직하지 못한 언어사용의 예와 그에 따른 영향에 대해 토론해 보시오
(A+ 레포트,시험대비) [유아교육개론] 유치원 교육과정의 영역- 표현, 언어, 탐구생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