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숙아 실습보고서입니다. A+자료, 간호진단3개, 근거까지 자세히 적었습니다. 후회 없으십니다.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숙아 실습보고서입니다. A+자료, 간호진단3개, 근거까지 자세히 적었습니다. 후회 없으십니다.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서 론
1. 질환에 대한 사전학습 (문헌고찰)
1) 미숙아
2) 저출생체중아
3) 자궁내 성장 지연 (IUGR)

● 본 론
1. 고위험 신생아 사정
2. 중증환아분류체계
3. 임상검사 결과
4. 투약
5. 간호과정

● 결 론
실습자로서의 느낀점

● 참고문헌

본문내용

맥박이 약하고 불규칙하며 심잡음이 들릴 수 있음. 신생아 저산소증이 진전되면 과도 경직 되거나 늘어지는 모습을 보이며 사지의 진전이 나타나고, 기면상태에 빠질 수 있음.)
5.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한다.
(산소 요구량을 감소시키기 위함이다.
- nesting , incubator temp 32℃)
6. 복부팽만 정도를 관찰한다.
1. 매일 4시간마다 신생아의 V/S를 체크하였다.
2 .Pulse oximeter를 신생아에게 달아 지속적인 산소포화도를 monitoring하였다.
3. 신생아의 ABGA를 검사하고 사정하였다.
4. 저산소증의 증상을 관찰하였다.
5. 조용하고 편안한 환경을 제공하였다.
① SaO₂의 정상치가 유지 되었다.
⇒ 3/7일 96.5 % 후 계속해서 정상범위를 유지하고 있다.
② PH를 제외한 ABGA수치가 정상인 수치에서 여전히 벗어나 있다.
⇒ 계속적인 관찰과 수행이 필요하다.
④ 대상자의 호흡수가 정상범위 내로 유지되고 있다.
(신생아의 정상 호흡수 30~60회)
날짜
3/7
3/8
3/9
3/10
3/11
3/12
호흡수
34
44
50
46
52
48
⑤ 맥박이 정상범위를 유지했다.
날짜
3/11
3/12
맥박
144
142
▷ 실습자로서의 느낀점
3학년에 올라와서 첫 실습인 만큼 시작이 매우 중요하기에 적극적이고 열정적으로 실습에 임하도록 노력했었다. 우리가 처음으로 NICU실습을 나갔을 때 작고 여린 몸으로 자신의 생명의 선을 끝까지 놓지 않기 위해 고군분투하는 환아들을 보면서 우리가 얼마나 중요한 임무를 가지고 있는가에 대해 책임감이 느껴졌고 그러기 위해 많은 것을 배워야겠다고 생각했다. 막상 환아들의 앞에 서니 어떻게 해야 할지 겁이 나고 막막했지만 영양공급을 위한 인공수유를 통하여 신체적 접촉을 통해 친밀감과 안정감을 얻고 실습을 계속 이어나갈 수가 있었다. \'백문이 불여일견’이라고 이전에는 잘 몰랐던 신생아들의 특징과 주 질병에 대해 직접 보고 느끼면서 쉽게 알 수 있었고 단순히 대상자의 증상을 보고서 간호를 간단히 수행하는 것이 아니라 대상자의 질병의 총체적인 이해가 바탕이 되어 있어야 이에 따른 간호를 적절하게 수행 할 수 있다는 것을 알았다. 이처럼 우리는 간호학생으로써 많은 배움을 얻었고 이전보다 한 단계 발전한 기분이 들었다. 처음으로 특수파트에서 실습을 하는 것이기 때문에 많이 설?고, 지금까지 실습했던 병동과는 사뭇 다른 분위기 속에서 실습을 할 수 있어서 매우 새롭고 특별한 경험을 한 것 같다. 외부인의 출입이 별로 없고, 실습시간 내내 아기들을 곁에서 지켜보면서 직접 정상아와 신생아를 보고, 안아보며 교과서에서 공부했던 막연한 차이점과 특징 같은 것들을 구체화 할 수 있어서 도움이 많이 된 것 같다. 그리고 신생아는 아주 조심스럽게, 그리고 사랑으로 간호를 해주어야 할 대상이라는 것을 느꼈다. 모체 밖으로 나와 자궁 외 생활에 적응하기 위해서 생리적인 변화를 많이 겪게 되기에, 신생아실에서의 간호는 무엇보다도 중요하고, 가장 약한 시기인 만큼 정확하고 세심한 간호를 해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실습하면서, 가슴이 찡했던 적이 많았다. 면회시간에 커튼이 열려지면 설레는 눈빛으로 아기의 이름표를 바짝 붙이고 기다리는 아빠, 엄마 그리고 가족들의 눈빛을 느끼고, 갓 태어난 아기들의 옹알옹알 입을 움직이는 모습을 보며 미소 지었고, 3.5kg도 안 되는 아기가 힘겨운 숨을 몰아쉬고 있는 것을 보며 슬퍼했다. 아팠던 아기들이 어서 건강을 되찾아 아빠, 엄마의 품으로 돌아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한다. 그리고 건강한 아기를 위해서는 산모의 관리가 무엇보다 중요하다는 것을 깨달았고, 미래의 엄마가 될 여성으로서 자신의 건강상의 문제를 바로 알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실습하면서, 형식적인 아닌 사랑으로 아기들을 간호하는 여러 선생님들을 보면서 나도 앞으로 본받아야겠다는 생각이 들었다. 학교에서 배운 이론들이 실제와 일치되는 것을 많이 볼 수 있어서 매우 의미 있는 실습이었다.
● 참고문헌
- 김희숙 외, 『아동청소년간호학 1』, 군자출판사, 2013
- 김희숙 외, 『아동청소년간호학 2』, 군자출판사, 2013
- 하영수 외, 『모성신생아, 여성건강간호학 1』, 신광출판사, 2013, p.231
- 최순희 외, 『간호과정』, 현문사, 2011
- 변영순 외, 『기본간호학』, 계축문화사, 2011
- 송예량 외, 『알기 쉽게 풀이한 의학용어』, 2010
신생아 황달의 증상 및 검사소견
황달은 피부와 눈의 공막이 노랗게 되고, 심하면 얼굴에서 시작하여 몸통 아래로 차차 손바닥, 발바닥까지 내려간다. 황달의 정도는 혈청 빌리루빈 측정에 의해 결정된다. 신생아에서 황달은 빌리루빈이 5mg/dl 이상일 때 관찰할 수 있다.
zone
황달의 분포
혈청 bilirubin(mg/dl)
1
얼굴과 목까지 와 있을 때
6(4~8)
2
동체의 배꼽까지 와 있을 때
9(5~12)
3
동체의 하부, 대퇴까지 와 있을 때
12(8~16)
4
팔, 다리, 발목까지 와 있을 때
15(11~18)
5
손바가, 발바닥 까지 와 있을 때
>15
정상 신생아, 고위험 신생아 빌리루빈 수치
생리적 황달
(생후 2~4일에 나타나서 생후 7~14일에 사라짐)
병리적 황달
(생후 24시간 이전의 황달로 2주 이상 지속)
진단
혈청빌리루빈 수치가 5mg/dl 이상
1. 혈청 빌리루빈 수치가 15~17ml/dl 이상일 때
2. 매일 총 빌리루빈 수치가 5mg/dl/day 이상 오를 때
3. 직접 빌리루빈 수치가 2mg/dl 이상일 때 (만삭아는 1주일 이상 지속 시, 미숙아는 2주 이상 지속 시)
원인
1. 적혈구의 농도가 높고 생존일이 짧아 성인보다 빌리루빈의 생산이 2배 많음. (적혈구 생존일 : 성인 120일, 신생아 70-90일)
2. 직접빌리루빈으로 전환하는 간의 능력 미숙
3. 빌리루빈을 배설하는 장의 기능 미숙
4. 모유수유 관련
1.간접 빌리루빈의 뇌세포에 침착되어 발생되는 신경 증후군
2.중추 신경계의 억압으로 활동성 감소, 졸음, 불안정, 발작 등 나타남.
3. 예방 : 원인에 관계없이 간접빌리루빈 수치를 낮추는 광선요법, 교환수혈 실시
  • 가격2,200
  • 페이지수27페이지
  • 등록일2016.03.19
  • 저작시기2015.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9757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