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우선순위
3. 간호계획 및 평가
Ⅲ. 결론
1. 느낀점
2. 참고문헌
1. 연구의 필요성
2. 문헌고찰
Ⅱ. 본론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우선순위
3. 간호계획 및 평가
Ⅲ. 결론
1. 느낀점
2. 참고문헌
본문내용
(9/1, 9/3)
검사명
정상치
검사수치
임상적 의의
9/1
9/3
pH
7~7.35
7.289
7.279
↑: 알카리혈증, 과환기증후군, 간질성 폐질환, ARDS
↓: 산혈증, 폐기종, 천식, 폐결핵, 폐수종, 흉부 수술 후, 호흡중추 억제
PCO₂
35~45mmHg
▼ 33.9
44.1
↑: 호흡성 산증이나 대사성 알칼리증의 보상
↓: 과도환기에서 발생
호흡성 알칼리증이나 대사성 산증의 보상
HCO₃
21~28mmol/L
16.3
20.7
↑: 대사성 알칼리증이나 호흡성 산증의 보상
↓: 대사성 산증이나 호흡성 알칼리증에 대한 보 상
PO₂
80~100mmHg
94
95
↑: 과환기 증후군 , 대사성 알카리증, 산소공급 과다
↓: 저산소증, ARDS, 심부전, 폐울혈
10) 투약
약물
효능·효과
용법
금기
신중투여
스모프리피드 20% 주 100ml
비경구 영양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
투여 지방의 배설 능력 정도에 따라 용량과 주입속도를 결정
: 1회 IV
심한 고지혈증 환자. 심한 간기능 부전 환자. 심한 혈액 응고 장애 환자. 투석을 실시하지 않는 신기능 부전 환자
신부전, 당뇨병, 췌장염, 간기능 장애, 갑상선기능부전,
초극저체중 신생아, 특히 장기간 경정맥 영양공급을 받는 미숙아
씨제이 하트만 액 500ml
대사성 산증의 보정.
투여량, 투여속도는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
: 1일 1회 IV
젖산혈증 환자. 수분과다상태 환자. 고나트륨혈증 환자.
고장성 탈수증 환자. 폐쇄성 요로질환에 의한 요량감소가 있는 환자. .
큐란 주사 50mg/2ml
위ㆍ십이지장궤양, 졸링거 엘리슨증후군, 역류성식도염, 마취전 투약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
: q8 IV
이 약 및 이 약 성분에 과민증의 기왕력자
신장애 환자. 간장애 환자. 약물 과민증의 기왕력자. 고령자.
네소미신 주 100mg/2ml
피부 및 피부조직 감염증, 화상, 외상 및 수술 후 감염예방
신생아(생후 6주미만): 1일 체중 Kg당 4.0-6.5mg(역가)을 2회 투여
임부 및 수유부, 근육장애 환자
신장애 환자, 신생아, 미숙아, 파킨슨병 환자.
유박탐 주 0.75g
피부 및 연조직감염증, 복부 및 부인과 외과 수술 후 감염방지
신생아, 유아, 소아 : 1일 Kg당 60~150mg(역가)을 3~4회 분할하여 투여
쇽의 병력이있는 환자.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에 과민반응의 병력,
세팔로스포린계 항원에 과민반응, 경구섭취가 불량한 환자, 1세 미만의 영아
2. 간호진단 우선순위
1) 수술로 인한 비효율적인 섭취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2) 수술 및 절개로 인한 배액부위의 염증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3) 복부팽만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3. 간호계획 및 평가
#1. 수술로 인한 비효율적인 섭취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중재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객관적 자료
- 8/28 수술 duodenostomy
- TPN, 위관영양, 구강섭취 병행
- 이틀동안 대변 보지 못함
- 보채며 2시간 이상 계속 움
- 위관 잔유량
9/1 02:00 위관 잔유랑 3cc 물, Blood 섞인 듯 나옴
9/1 15:00 위관 잔유량 4cc 모 유 섞인 담즙양상 나옴
9/1 18:00 위관 잔유량 6cc 녹 색 담즙 color
- 체중의 증가가 미미하다.
(9월 1일 1.58→9월 2일 1.59로 0.01Kg 증가)
- 8/31~9/2 구강섭취 후 구토 4회
- 일반혈액검사 시 MCV 110(fl),
MCH 37.1(pg)
- 일반화학검시 시T protein 4.59g/dL, Albumin 3.04g/dL
수술로 인한 비효율적인 섭취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 단기: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구강으로 음식을 하루 300cc 이상 섭취한다.
- 장기: 대상자는 퇴원 시 체중이 2kg 이상이다.
- 하루에 한 번 같은 시간, 같은 기구로 체중을 사정한다.
- 점진적으로 영양 섭취량을 늘릴 수 있도록 매일 I/O를 사정한다.
- 구토의 횟수, 양상을 사정한다.
- 위관영양 전 잔유량의 양상을 사정한다.
- 수액의 양을 조금씩 늘린다.
- 입으로 젖병을 빠는 연습을 한다.
- 매일 같은 시간, 같은 기구로 체중을 측정하면 정확한 변화를 알 수 있다.
- 영양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I/O를 사정해야 한다.
- 잔유량이 50cc 이상일 경우 금식을 한다.
- 위관영양을 하던 신생아는 구강 섭취 전 빨기 연습이 필요하다.
- 대상자는 9월8일 위관을 제거하였다.
- 대상자는 9/10일 하루 약 320cc를 구강으로 섭취하였다.
- 대상자는 1주일동안(9/7~11) 체중이 0.1kg 증가하였다.
#2. 수술 및 절개로 인한 배액부위의 염증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중재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객관적 자료
- 8/28 수술 duodenostomy
- Barovac 제거부위 노란 분비물 양상의 농성 나옴
- CPR 검사 3.37mg/dL로 증가
- 일반혈액검사
WBC 17.28×10^3/uL로 증가,
neutrophil 77%로 증가,
lymphocyte 9.2%로 감소,
monocyte 9.3%로 증가
- 네소미신 주 100mg/2ml, 유박탐 주 0.75g
(감염예방약) 투약
수술 및 절개로 인한 배액부위의 염증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 단기: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Barovac 제거 부위에서 농성이 나오지 않는다.
- 장기: 대상자는 퇴원 시 WBC 수치가 정상이다.
- 대상자를 만질 때에는 손을 자주 씻는다.
- 주기적으로 WBC, 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의 수치를 확인한다.
- 드레싱 교환과 튜브나 배액 기구를 다룰 때 무균술을 유지한다.
- Barovac 제거부위의 농성의 양, 양상 등을 사정한다.
- 드레싱 상태를 규칙적으로 점검하여,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 손씻기는 무균술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 WBC, C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은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혈액검사 지표이다.
- 드레싱 부위는 건조하게 유지하여 감염위험성을 낮춘다.
- 대상자를 만지기 전 손을
검사명
정상치
검사수치
임상적 의의
9/1
9/3
pH
7~7.35
7.289
7.279
↑: 알카리혈증, 과환기증후군, 간질성 폐질환, ARDS
↓: 산혈증, 폐기종, 천식, 폐결핵, 폐수종, 흉부 수술 후, 호흡중추 억제
PCO₂
35~45mmHg
▼ 33.9
44.1
↑: 호흡성 산증이나 대사성 알칼리증의 보상
↓: 과도환기에서 발생
호흡성 알칼리증이나 대사성 산증의 보상
HCO₃
21~28mmol/L
16.3
20.7
↑: 대사성 알칼리증이나 호흡성 산증의 보상
↓: 대사성 산증이나 호흡성 알칼리증에 대한 보 상
PO₂
80~100mmHg
94
95
↑: 과환기 증후군 , 대사성 알카리증, 산소공급 과다
↓: 저산소증, ARDS, 심부전, 폐울혈
10) 투약
약물
효능·효과
용법
금기
신중투여
스모프리피드 20% 주 100ml
비경구 영양요법을 필요로 하는 환자
투여 지방의 배설 능력 정도에 따라 용량과 주입속도를 결정
: 1회 IV
심한 고지혈증 환자. 심한 간기능 부전 환자. 심한 혈액 응고 장애 환자. 투석을 실시하지 않는 신기능 부전 환자
신부전, 당뇨병, 췌장염, 간기능 장애, 갑상선기능부전,
초극저체중 신생아, 특히 장기간 경정맥 영양공급을 받는 미숙아
씨제이 하트만 액 500ml
대사성 산증의 보정.
투여량, 투여속도는 연령, 체중,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
: 1일 1회 IV
젖산혈증 환자. 수분과다상태 환자. 고나트륨혈증 환자.
고장성 탈수증 환자. 폐쇄성 요로질환에 의한 요량감소가 있는 환자. .
큐란 주사 50mg/2ml
위ㆍ십이지장궤양, 졸링거 엘리슨증후군, 역류성식도염, 마취전 투약
연령, 증상에 따라 적절히 증감
: q8 IV
이 약 및 이 약 성분에 과민증의 기왕력자
신장애 환자. 간장애 환자. 약물 과민증의 기왕력자. 고령자.
네소미신 주 100mg/2ml
피부 및 피부조직 감염증, 화상, 외상 및 수술 후 감염예방
신생아(생후 6주미만): 1일 체중 Kg당 4.0-6.5mg(역가)을 2회 투여
임부 및 수유부, 근육장애 환자
신장애 환자, 신생아, 미숙아, 파킨슨병 환자.
유박탐 주 0.75g
피부 및 연조직감염증, 복부 및 부인과 외과 수술 후 감염방지
신생아, 유아, 소아 : 1일 Kg당 60~150mg(역가)을 3~4회 분할하여 투여
쇽의 병력이있는 환자. 페니실린계 항생물질에 과민반응의 병력,
세팔로스포린계 항원에 과민반응, 경구섭취가 불량한 환자, 1세 미만의 영아
2. 간호진단 우선순위
1) 수술로 인한 비효율적인 섭취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2) 수술 및 절개로 인한 배액부위의 염증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3) 복부팽만과 관련된 비효율적 호흡양상
3. 간호계획 및 평가
#1. 수술로 인한 비효율적인 섭취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중재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객관적 자료
- 8/28 수술 duodenostomy
- TPN, 위관영양, 구강섭취 병행
- 이틀동안 대변 보지 못함
- 보채며 2시간 이상 계속 움
- 위관 잔유량
9/1 02:00 위관 잔유랑 3cc 물, Blood 섞인 듯 나옴
9/1 15:00 위관 잔유량 4cc 모 유 섞인 담즙양상 나옴
9/1 18:00 위관 잔유량 6cc 녹 색 담즙 color
- 체중의 증가가 미미하다.
(9월 1일 1.58→9월 2일 1.59로 0.01Kg 증가)
- 8/31~9/2 구강섭취 후 구토 4회
- 일반혈액검사 시 MCV 110(fl),
MCH 37.1(pg)
- 일반화학검시 시T protein 4.59g/dL, Albumin 3.04g/dL
수술로 인한 비효율적인 섭취와 관련된 영양불균형
- 단기: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구강으로 음식을 하루 300cc 이상 섭취한다.
- 장기: 대상자는 퇴원 시 체중이 2kg 이상이다.
- 하루에 한 번 같은 시간, 같은 기구로 체중을 사정한다.
- 점진적으로 영양 섭취량을 늘릴 수 있도록 매일 I/O를 사정한다.
- 구토의 횟수, 양상을 사정한다.
- 위관영양 전 잔유량의 양상을 사정한다.
- 수액의 양을 조금씩 늘린다.
- 입으로 젖병을 빠는 연습을 한다.
- 매일 같은 시간, 같은 기구로 체중을 측정하면 정확한 변화를 알 수 있다.
- 영양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 I/O를 사정해야 한다.
- 잔유량이 50cc 이상일 경우 금식을 한다.
- 위관영양을 하던 신생아는 구강 섭취 전 빨기 연습이 필요하다.
- 대상자는 9월8일 위관을 제거하였다.
- 대상자는 9/10일 하루 약 320cc를 구강으로 섭취하였다.
- 대상자는 1주일동안(9/7~11) 체중이 0.1kg 증가하였다.
#2. 수술 및 절개로 인한 배액부위의 염증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간호사정
간호진단
간호목표
간호계획&중재
이론적 근거
간호평가
객관적 자료
- 8/28 수술 duodenostomy
- Barovac 제거부위 노란 분비물 양상의 농성 나옴
- CPR 검사 3.37mg/dL로 증가
- 일반혈액검사
WBC 17.28×10^3/uL로 증가,
neutrophil 77%로 증가,
lymphocyte 9.2%로 감소,
monocyte 9.3%로 증가
- 네소미신 주 100mg/2ml, 유박탐 주 0.75g
(감염예방약) 투약
수술 및 절개로 인한 배액부위의 염증과 관련된 감염위험성
- 단기: 대상자는 1주일 이내에 Barovac 제거 부위에서 농성이 나오지 않는다.
- 장기: 대상자는 퇴원 시 WBC 수치가 정상이다.
- 대상자를 만질 때에는 손을 자주 씻는다.
- 주기적으로 WBC, 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의 수치를 확인한다.
- 드레싱 교환과 튜브나 배액 기구를 다룰 때 무균술을 유지한다.
- Barovac 제거부위의 농성의 양, 양상 등을 사정한다.
- 드레싱 상태를 규칙적으로 점검하여, 깨끗하고 건조한 상태가 유지되도록 한다.
- 손씻기는 무균술의 가장 기본적인 방법이다.
- WBC, Cneutrophil, lymphocyte, monocyte은 감염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혈액검사 지표이다.
- 드레싱 부위는 건조하게 유지하여 감염위험성을 낮춘다.
- 대상자를 만지기 전 손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