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 내지 제91조, 제93조, 제101조제1항, 제102조제1항 본문(보석의 취소 에 관한 부분을 제외한다)의 규정은 검사 또는 사법경찰관의 피의자 구 속에 준용한다.
제 213조의2【준용규정】 제72조, 제87조 내지 제90조 및 제200조의2제5항의 규정은 검사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4.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있는 경우에도 그 검사결과는 검사를 받는 사람의 진술의 신빙성을 가늠하는 정황증거로써의 기능을 하는데 그치는 것이다.] 라고 판시하였다.
Ⅳ. 결론
피검사자의 인격권의 문제가 심각해질 수 있으므로 , 긍정설을 바로 찬성하기는 어렵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9.03.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것이라도 하고 있다.
또한 검사자가 탐지기의 측정내용을 객관성 있고 정확하게 판독할 능력을
갖춘 경우라야만 그 정확성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므로 이상과 같은 요건이
충족되지 않는 한 거짓말탐지기 검사 결과에 대하여 형사소송법상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12.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사소송법 제310조를 적용하여 이를 유죄의 증거로 할 수 없으므로 법원은 甲에 대하여 유죄 판결을 선고할 수 없다.
Ⅳ. 참고문헌
대법원, 2008.2.14. 선고, 2007도10937 판결.
대법원, 1981.7.7. 선고, 81도1314 판결. Ⅰ. 사안의 쟁점
Ⅱ. 법원의 유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2.03.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원조직법 제57조도 기본적으로 이와 동일하게 규정하고 있다. 이러한 재판공개의 규정에 위배하는 것은 형사소송에서 항소이유에 해당한다(형사소송법 제361조의 5 제9호 참조). 이러한 재판공개규정으로 인하여, 소송절차에서 영업비밀이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2.10.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과 사법제도 및 그 절차와 과정 또는 형사정책이나 범죄학의 학문적 노력까지도 관심의 초점은 대부분 범죄의 피해자가 아닌 가해자이다. 그러나, 실제 사법제도나 형사정책은 가해자를 위해서가 아니라 잠재적 피해자인 시민을 보호하기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11.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형사사법절차 전과정에 대한 전체적이고 체계적인 분석이 요구되는데(예컨대 수사의 개시로부터 공소의 제기, 유지 및 재판에 필요한 과학적 논의 필요), 범죄수사학, 법의학, 재판심리학, 재판정신의학 등도 여기서 다루어져야 한다.
③ 범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4.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의 과제
① 중복되거나 불필요한 특별형법의 폐지 또는 형법전에의 편입
② 형벌의 가중만에 촛점을 둔 특별형법 정비.
③ 행정형법상 형벌규정의 폐지 내지는 완화
3) 형사소송법 및 행형법의 과제
① 적정절차원리의 확립
② 판결전조사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14.01.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무대학원. 국회도서관. 2008. p99-p105.
<경찰관직무집행법상 즉시강제에 관한 연구>. 권영우. 단국대 대학원. 국회도서관. 2003. p14-p16.
「경찰학원론」. 김종수. 교육과학사. 2007.
「형사법전」. 백광훈. 로고스. 2008.
「경찰관 직무집행법에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1,600원
- 등록일 2015.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법 제310조에서는 독일형법이나 일본형법에서처럼 절차법적인 '증명'에 관한 규정이 없지만, 일본법과 같이 해석할 수도 있다는 것이다. 그러나 형사소송법상 입증책임은 원칙적으로 검사에게 있고, 피고인은 무죄로 추정된다는 법리와 "의심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07.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