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35건

황금과 석고를 가미한다. 腎之裏見證者는 加知母 黃栢이니라. 신지리현증자는 가지모 황백이니라. 신의 속 증상이 나타나면 지모 황백을 가미한다. 羌活沖和湯 방풍충화탕 천궁탕 토 과체적소두 치시탕 사하 대승기탕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200원
  • 등록일 2006.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치각기의 외증이 전류상한이로되 단초기에 각슬이 굴약연통하고 가지구토천급하면 의차구지오. 천금속명탕은 각기의 외부 증상이 완전히 상한과 유사하되 다만 초기에 다리와 무릎이 굽히며 약하고 연약하여 아프고, 더해서 구토와 숨참이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어차에 추류이통어잡병하면 즉방법이 역무이가의라. 내 견해를 살펴보면 이에 유추하여 잡병에 소통하면 방법이 또한 더할 것이 없다. 浮沈升降 수토 병법 단계 상한용약부 도씨충화탕 고강부탕 계지가대황탕 계지가작약탕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사하후에 심번 복부창만과 앉거나 누워도 불안함을 치료한다. 方意는 以山梔之苦로 以吐虛煩하고, 枳朴之苦로 以泄腹滿이니라. 방의는 이산치지고로 이토허번하고 지박지고로 이설복만이니라. 치자후박탕처방의 뜻은 산치의 고미로 허번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과 살이 연동하여, 만약 벌레가 기어가듯이 하고, 심신이 궤란하면 오약순기산이 의당하다. 如眉稜骨이 痛者면, 風之兆也니 宜古防風湯에 加芩 連이니라. 여미릉골이 통자면 풍지조야니 의고방풍탕에 가금 련이니라. 만약 미릉골이 아프면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2.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과 파상풍과 함께 볶아서 갈아서 선태와 탕으로 12g을 복용한다. 牡蠣 모려 (破傷濕病,口强直,酒服二錢,幷敷之。) 모려는 파상습병과 구금, 강직을 치료하니 술로 8g을 복용하거나 함께 환부에 붙인다. 石部 풍한풍습 초부 채곡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1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과 같다. 外感四氣하여 咳嗽惡阻엔 旋覆花湯이오. 외감사기하여 해수오조엔 선복화탕이오. 4사기에 외감하여 기침하고 입덧함에는 선복화탕이요. 面赤 發喘엔 竹葉防風湯이니 更婦人門이라. 면적 발천엔 죽엽방풍탕이니 경참부인문이라.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1.0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停水면, 倍半夏하고, 瘀血이면, 加桃仁, 紅花니라. 수기가 정체한 학질은 반하를 배로 하고 어혈 학질은 도인 홍화를 가미한다. ○吐瀉, 不食, 腫脹者는, 不治니라. 구토 설사 음식을 먹지 못하고 종창하는 학질은 치료할 수 없다.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과 미용의 최선의 방법 비만증을 예방하고 고운 살결을 만들며 사마귀를 없애는 미용 서태후의 아름다운 살결의 비결 부인에게 많은 위장병 질환에 특효가 있는 민들레 음료수로도 좋은 여드름, 입내를 없애는 산매탕 젊어지
  • 페이지 40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6.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치병과 손발이 거슬러 참과 근맥이 당기고 급함과 땀이 나서 그치지 않음과 때로 발생하고 때로 그침을 치료하나 먹지 못하고 하리하는 환자는 난치이다. 如輕者는, 剛 柔에 通用 九味羌活湯加減이라. 여경자는 강 유에 통용 구미강활탕가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전 1 2 3 4 다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