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계절별 연간 강수량의 변화
- 봄, 여름 / 가을, 겨울의 비교
- 계절별 강수일도 비교
지역별 연간 강수량의 변화
- 서울과 대구의 비교 1. 연간 평균 강수량의 변화
2. 4대강 유량의 변화
3. 전략과 과제
4. 요약 및 결론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8.05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유량과 유석을 비롯한 계절에 따르는 강의 변화를 포함하는 유황(flow Regime)을 보전하는데 집중해야 한다.
3) 충분하고 다양한 조사이후 진행되어야 한다
현재 4대강 개발사업의 환경영향평가는 그 광대한 규모에 비해 턱없이 졸속으로 처리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대강 살리기 정책에 관해 제언
① 유량 확보를 위해 낙동강 유역에 추진하는 보 설치와 관련해서는 이로 인해 물길이 차단돼 수질이 악화되는 맹점이 있는 만큼 대안 마련이 절실하다는 점을 정부가 파악하고 개선책을 마련해야 한다.
② 4대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9.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대강 살리기가 진정한 의미에서 성공하기 위한 요건을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의 4대강이라는 공간은 물길에 의해 형성된 1차원적 선형 공간에 불과하다. 실제로 4대강 유량은 전체적인 통제가 불가능하며 사람들의 접근이 용이하지도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3.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화에 대응한 지속가능한 국토전략(II), 2009\'에 의하면 4대강 주변에서 홍수가 발생하지 않는 원인으로 우리나라 댐의 밀도가 단연 세계1위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다.
그동안 정부가 홍수의 피해를 막기위해 댐 건설을 지속적으로 추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7.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대강 살리기의 기대 효과
(1) 홍수피해와 물 부족을 근본적으로 해결
홍수조절능력이 9.2억m³로 증대됨으로써 기후변화에 대비하고 200년 빈도 홍수에 안전한 강 구현한다. 퇴적토 준설 등으로 홍수피해와 복구비 저감하고, 홍수조절지 및 강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강조하다 보면 상수원 상류 주민들이 규제로 받는 고통을 보게 되고 이 고통 또한 간과할 수가 없다. 생활 하수나 산업폐수가 우리 젖줄인 4대강으로 흘러들어가도 안 되지만 무조건적인 규제로 일관할 수도 없기 때문이다.
지금까지 우리 하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1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 참고문헌
국토해양부 \"4대강 살리기 마스터플랜 보고서\"
윤병만 (명지대 토목환경공학과 교수) \"4대강 살리기, 꼭 필요한 이유와 네가지 원칙\"
윤순진 (서울대 환경대학원 교수) \"4대강과 기후변화\"
홍의덕 (민주노동당 국회의원) \"기후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4대강 살리기 사업의 핵심은 수질을 어떻게 관리하느냐에 달린 만큼 실시간으로 지속적인 수질감시 체계를 갖추는 것이 중요하다.
9) 수리수문학적 변화와 수생태계 변화에 대한 예측 및 대안을 마련할 연구 사업이 필요하다.
실제 사업 규모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2(1)
2.5
96개
2.4
정부는 4대강 사업을 통해서 물 부족 대비를 한다고 주장한다. 위에 표에서 보면 낙동강은 1.24억톤이 부족하지만 10억톤을 확보한다는 계획이다. 영산·섬진강은 5.36억톤이 부족하지만 1억톤을 확보할 계획이다. 정부가 제시한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800원
- 등록일 2012.04.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