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一。동사의 유별
다소간에 유형의 활동을 동반하는 동사
坐, 立, 生, 死, 飮, 食
생각과 뜻을 나타내는 동사
恐, 懼, 愛, 惡, 聞, 見, 知
존재를 나타내는 동사
有, 無
是, 爲 등과 같은 연계성 동사
옛날에는 보통 쓰여지지 않음
|
- 페이지 4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6.04.16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一. 형용사(形容詞)와 동사(動詞)에서 전성(轉成)된 명사(名詞) 3ㆍ1-3ㆍ2 현대 한어에서 어떤 한 사가 명사, 형용사, 동사 중 어떤 것으로 쓰이고 있는지는 그 사의 뜻(=의미)을 보면 쉽게 판명되지만 문언에서는 형용사나 동사인 것이 명사가
|
- 페이지 35페이지
- 가격 2,200원
- 등록일 2016.04.0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사로 쓰이는 경우(p. 102)
“孰能一之?” 對曰 : “不嗜殺人者能一之。” (≪孟子 · 梁惠王上≫)
“Shu neng y zh?” Dui yu : “Bu shi sh ren zh neng y zh.”
“숙능일지?” 대왈 : “불기살인자능일지.”
양양왕(梁襄王)이 “누가 천하를 통일할 수가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16.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文言文法)』.
주송식, 『고대한어(古代漢語)』.
田壎, 『한문교수첩경(1929)』.
성균관 대학교 대동문화연구원 편, 『고등학교 문법』, 문교부 저작 고85-3004.
문교부, 『5차 한문과 교육 과정 해설』, 문교부 고시 제88-7호, 1988.
, 5차 교육과
|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02.12.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이 복잡했다 - 성조가 소멸됐다.
- 순수한 우리말이 많았다. - 문법의 변화가 심했다.
→ 조선 후기어 (17, 8세기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현대 국어 형성기)
- ·음이 없어짐 - 언문일치(言文一致) 실현
- 주격 조사가 세분화됨 - 맞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어로 예를 들면, ‘原他小’(그가 어리므로 용서한다)에서 ‘小’는 ‘原’의 원인이 되는데, 문언에서도 이와 비슷하다. 이런 내용식에서는 겸어 뒤에 오는 술어로는 동사 또는 형용사를 쓸 수 있다.
南村群童欺我老無力, 忍能對面賊。(杜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6.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한어의 替와 같이 “~을 위하여”의 의미로 사용
- 得其心有道:所欲與之聚之,所惡勿施爾也《孟子 離婁上》
de qi xn yu dao :su yu y zh ju zh ,su wu wu sh r y
“백성들의 마음을 얻는 데는 방법이 있다. 즉 필요한 것을 그들을 위하여 모아 주고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16.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사 앞에 각각 ‘且’자를 쓰면 두 동작을 동시에 한다는 뜻이 된다.
-士死者過半, 而所殺傷匈奴亦萬餘人,且引且戰 (≪史記· 李廣列專≫) 一연사의 유별 五. 순승연사
二제설 연사 六. 전절 연사
三병렬 연사 七. 양보 연
|
- 페이지 48페이지
- 가격 2,900원
- 등록일 2016.04.0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동사 앞에 오거나 때로는 그 동사 앞에 所자를 첨가해서 사용해야 한다.
6. ‘與’의 용법
(1)和와 同의 의미로 접속사(연사)처럼 쓰이거나 개사처럼 쓰인다.
(2)爲의 의미로 현대한어의 替와 같이 “~을 위하여”의 의미로 사용
(3)與뒤의 목적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700원
- 등록일 2016.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인령남망왈, 서기사여
-초거는 두려워서 정으로 도망가서 목을 늘이고 남쪽만 바라보며 ‘용서해주십시오’하고 말하고 있다.
구어에서의 ‘庶幾’ 는 어기사 ‘罷’로 나타낼 수밖에 없다. 1. 부사의 기능과 유별
2. 부사의 종류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1,700원
- 등록일 2016.04.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