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법이 복잡했다 - 성조가 소멸됐다.
- 순수한 우리말이 많았다. - 문법의 변화가 심했다.
→ 조선 후기어 (17, 8세기 - 근대 국어) ---------→ 현대 국어 (현대 국어 형성기)
- ·음이 없어짐 - 언문일치(言文一致) 실현
- 주격 조사가 세분화됨 - 맞춤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6.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문법, 어휘의 여러 변화로 인해 앞 시대의 언어와 전반적으로 다른 모습을 띰.
(4) 현대 국어(개화기∼현대) :전 시기에 비해 어휘면의 차이가 두드러짐. 한자로 번역된 서구의 신문명어가 대량으로 도입됨. 1. 국어의 변화와 국어사의 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3.11.20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련성
2)한국어와 일본어의 비교연구사
2 W.G Aston의 주장
1) 한·일 양어의 음운체계 (phonetic system)
2)한·일 양어의 문법적 기능
3)한·일 양어의 문빕적 진행의 특징
4)북방설과 남방설
한국어와일본어의 계통도(tree)
<결론>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5.04.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