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그린에너지산업 발전전략’의 주요내용
1) 성장동력화가 필요한 9대 분야를 선정하여 중점 육성할 계획
2) 시장지향형 기술개발로 글로벌 기술력을 확보
3) 시장창출을 통한 산업화를 추진해 나갈 계획
4) 인프라 구축을 통한 성장동력화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2,500원
- 등록일 2008.09.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너지 플랜트 수출사업화
* 2100년도 온실가스 550 ppmv 시나리오
녹색성장은 신성장동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新국가발전 패러다임’
그린에너지 산업을 녹색성장의 핵심동력으로 추진 (8.27, 제1차 국가에너지기본계획)
(대통령8.15경축사)
|
- 페이지 39페이지
- 가격 3,300원
- 등록일 2013.04.02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환경시장 참여 사례
1. LG상사
2. 삼성물산
3. 후성 퍼스택
제4장 3절 新 성장동력 산업의 현황
1. LG - 태안 LG 태양광 발전소
2. 대우건설 - 아산 통합형 바이오가스 플랜트
3. 현대중공업 - 군산 풍력발전단지
제5장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4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1.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환경시장 참여 사례
1. LG상사
2. 삼성물산
3. 후성 퍼스택
제4장 3절 新 성장동력 산업의 현황
1. LG - 태안 LG 태양광 발전소
2. 대우건설 - 아산 통합형 바이오가스 플랜트
3. 현대중공업 - 군산 풍력발전단지
제5장 결론
참고문헌
|
- 페이지 36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1.19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너지 발전설비 - 태양광발전시스템 설계」, 인포더 북스, 2013.
이문옥 (2008), 해양에너지 공학(Ocean Energy Engineering), 전남대학교 출판부, Japan Ocean Development Construction Association Inc.
김진우,주요국 신재생에너지 정책 동향 및 그린에너지산업, 기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5.03.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가브랜드 제고정책
○ 그린 코리아 브랜드 마케팅으로 국가 이미지 제고에 주력
- 기후변화 대응노력에 대한 해외여론 긍정보도 적기 발굴 및 국내외 언론 순환홍보 등 전략적 홍보 추진으로 글로벌 환경 리더로서의 VIP 이미지 홍보(PI) 추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기본계획(2008-2030)을 심의 확정하였 다. 이 기본계획은 2030년까지 에너지 효율을 46% 개선하고, 신재생에너지 비중을 4.6 배로 확대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다. 정부는 또한 9월 11일에는‘저탄소 녹색성장’에 대한 목표와 전략을 담은‘그린에
|
- 페이지 61페이지
- 가격 4,000원
- 등록일 2013.04.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에너지와 환경 강의를 들은 나부터 시작하여 주변사람들에게까지 에너지절약을 홍보하도록 노력해야겠다.
※ 참고자료
지식경제부 홈페이지 행정정보공개 간행물 자료실(http://www.mke.go.kr/info/main.jsp)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08-2030)
환경문제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12.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가적 정책차원에서 저탄소사회 달성을 위한 녹색기술 개발에 주력
2) 후쿠다 비전(2008.6) : 후쿠다 비전은 이산화탄소를 2020년까지 현재에 비해 14% 감축, 2050년까지 60~80%를 감축한다는 목표
5. 미국
1) 기후변화대책에 있어 변화 분위기 조성
|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5.06.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국가에너지기본계획(2002-2011)에 따른 신재생에너지 수요 전망치로서 2001~2020까지 연평균 증가율이 6.8%에 이를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표 9> 신재생에너지 수요전망
구분
2001
2006
2011
2015
2020
증가율(%)
신재생에너지(구성비)
2.5(1.2)
4.0(1.7)
5.8(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1.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