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17건

도씨소시호탕은 곧 소시호탕에 진피와 작약 천궁을 더하되 끓을 때에 생 쑥 즙 3수저를 넣어서 조복한다. 治法과 加減은 亦同하니라. 치법과 가감은 역동하니라. 도씨소시호탕의 치법과 가감은 또한 소시호탕과 같다. 【和解散】 화해산 尋常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3.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산조인 복신하라. 잠을 자지 못하면 삼호작약탕에 볶은 산조인과 복신을 더한다. 宿糞이 未淨하여, 腹滿或疼하고, 便硬不通하면, 量加大黃이니라. 숙분이 미정하여 복만혹동하고 변경불통하면 량가대황이니라. 숙변이 아직 깨끗하지 않아서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심번불면하면 가아교니라. 신체통증에는 오령산에 창출을 가미하고 번조에는 육계를 제거하고 인삼을 더하고, 심번으로 불면함에는 아교를 가미한다. 小承氣湯 조위승기탕 삼일승기탕 도씨육일순기탕 저령탕 오령산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도 亦宜니라. 여귀숭담증의 유상한자라도 역의니라. 만약 귀신과 빌미와 담증이면서 상한종류라도 또한 도씨도담탕이 의당하다. 鶴頂丹 학정단 白礬一兩, 心紅五錢, 或黃丹도 亦好하니, 爲末하여, 每以一匙로 入磁器內하여 溶化하고, 乘熱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탕 황련해독탕 삼황사심탕, 어혈을 푸는데는 도핵승기탕 통도산 계지복령환 등이 응용된다. 대변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으로 방풍통성산 대시호탕이 있고 소변을 수월케하는 것으로 위령탕 오령산 등이 있다. 정신적울체를 풀어 기운을 돌리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10.0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탕 황련해독탕 삼황사심탕, 어혈을 푸는데는 도핵승기탕 통도산 계지복령환 등이 응용된다. 대변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으로 방풍통성산 대시호탕이 있고 소변을 수월케하는 것으로 위령탕 오령산 등이 있다. 정신적울체를 풀어 기운을 돌리
  • 페이지 19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04.1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탕 황련해독탕 삼황사심탕, 어혈을 푸는데는 도핵승기탕 통도산 계지복령환 등이 응용된다. 대변을 원활하게 해주는 것으로 방풍통성산 대시호탕이 있고 소변을 수월케하는 것으로 위령탕 오령산 등이 있다. 정신적울체를 풀어 기운을 돌리
  • 페이지 21페이지
  • 가격 4,500원
  • 등록일 2004.12.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도씨여성음 羌活 防風 川芎 白芷 柴胡 芍藥 甘草 當歸 烏藥 半夏 黃芩 姜[薑]二片, 水煎하고, 臨熟에 入竹瀝 姜[薑]汁하여 調服이라. 강활 방풍 천궁 백지 시호 작약 감초 당귀 오약 반하 황금 강삼편 수전하고 임숙에 입죽력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1.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어차에 추류이통어잡병하면 즉방법이 역무이가의라. 내 견해를 살펴보면 이에 유추하여 잡병에 소통하면 방법이 또한 더할 것이 없다. 浮沈升降 수토 병법 단계 상한용약부 도씨충화탕 고강부탕 계지가대황탕 계지가작약탕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1.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상한론(傷寒論)』 「변소양병맥증병치(辨少陽病脈證幷治)」에서는 “소양(少陽)이 병들면 입이 쓰고 목이 마르며 눈이 침침하다.”라고 하였다. 화해(和解)하여야 하므로 소시호탕(小柴胡湯)을 가감하여 쓴다. 잡병에서도 이 증상이 나타날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800원
  • 등록일 2006.02.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전 1 2 다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