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열역학적 물성치를 계측기기들을 이용하여 측정하고, 이를 통해 수집된 데이터를 분석하면서 여러 변수들 사이의 관계를 파악하기위해 수행되었다.
우선 실험을 통하여 얻은 (2)∼(4)번의 그래프를 보면, 우선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질소공급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13,860원
- 등록일 2012.12.0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수이다.
앞 차시에서 학습한 와 정역학 방정식()을 이용하면
로 쓸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기온감율()와 건조단열감율()보다 작으면 는 양으로서 안정함을 의미한다.
3페이지
그러나 밀도는 대략적으로 고도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
|
- 페이지 30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3.06.17
- 파일종류 압축파일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물질일 때 질량이 큰 쪽이 열용량이 크다
열용량의 개념
? 열용량 자체는 시량성(示量性)이지만 질량을 한정하면 시강성(示强性)의 양이 된다. 실험적으로는 보통 측정하기 쉬운 를 구하고 필요에 따라 다음의 열역학적 관계식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7,500원
- 등록일 2013.02.17
- 파일종류 피피티(ppt)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열반응
③△G°= -RT lnK
lnKeq =
= I. 열역학 제 2 법칙
II. 엔트로피와 가역과정
III. 자유 에너지
IV. 화학반응에 관련된 엔트로피 변화
V. 열역학 제 3 법칙
VI. 자유에너지변화를 계산
VII. 자유에너지 변화와 반응혼합물의 조성
VII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9.06.0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물질의 농도를 평형 상수식에 대입하여 평형상수식에 대입하여 평형상수 KC의 값과 비교하므로 방향을 예측할 수 있다.
③ 농도를 계산할 수 있다.
반응에 대한 평형상수의 값을 알면 처음 농도로 부터 평형상태의 조성 즉, 성분비를 알 수 있
|
- 페이지 16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4.03.2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Gof(O3)]
=(51.29 + 0)kJ/mol -(86.55K + 163.2)kJ/mol
= -198.46 kJ/mol
△G°= -RT lnK
lnK = = = 80.10
K = e80.10 = 6.03 x 1034
풀이)
①△G°=△H°-T△S°
= -18 kcal/mol - (293 K x 13 x 10-3 kcal/molK) = -21.809 kcal/mol
②△G° < 0 이므로 발열반응
③△G°= -RT lnK
lnKeq =
=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4,200원
- 등록일 2012.11.2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열을 주고받는다면 식 K = W + U의 좌변에 Q를 더할 수 있다.
K + Q = W + U
위 식은 마찰에 의해 발생하는 열과 일 사이의 관계에 주변으로부터 열의 출입을 고려한 식이다. 만약 운동에너지를 고려할 필요가 없다면 위 식은 열역학 제 1법칙이 된다.
|
- 페이지 6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3.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1. J. M. Smith · H. C. Van Ness · M. M. Abbott, 『화학공학 열역학』, 7th Edition; Mc Graw Hill, 2007년, pp195-196
2. Robert H. Perry · Don Green, Perry\'s, Chemical Engineers\' Handbook, 6th Ed; 1987
3. Mc. Murry · John, Organic Chemistry, Thomson, 7th Edition; 2008
4. http://www.cheric.org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8.12.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변수이다.
앞 차시에서 학습한 와 정역학 방정식()을 이용하면
로 쓸 수 있다. 따라서 실제 기온감율()와 건조단열감율()보다 작으면 는 양으로서 안정함을 의미한다.
3페이지
그러나 밀도는 대략적으로 고도에 따라 지수적으로 감소하므로 는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3.06.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열손실이 없다면 Wc Cp < Wh Cp 일때는 수열유체의 출구온도가 가열유체의 입구온도와 같고 Wh Cph < Wc Cp 일때는 가열유체의 출구온도가 수열유체의 입구온도와 같다. 즉, 유용도는 실제의 열전달율을 단지 열역학 2법칙에 의해서만 제한받는
|
- 페이지 4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7.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