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급 또는 변제받을 권리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지급 또는 변제를 받지 못하였음을 주장하는 자가 배당표에 배당을 받는 것으로 기재된 다른 채권자들을 상대로 배당이의의 소를 제기할 수 있는지 여부(적극)
집행공탁과 민법의 규정에 의한
|
- 페이지 15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3. 기간계산의 역산방법
4. 객관식 문제
제2장 소멸시효
제1절 서설
제2절 소멸시효의 요건
제3절 소멸시효의 효력
제4절 소멸시효의 중단
제5절 소멸시효의 정지
제6절 기타의 규정
제7절 소멸시효와 제척기간
제8절 객관식 문제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01.04.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급받은 금원을 타에 소비하였다고 해서 타인의 물을 보관 중 횡령하였다고 볼 수는 없다.
(3) 제746조의 적용범위
1) 제746조와 물권적 청구권
대판 79.11.13. 79다483 민법 제746조는 단지 부당이득제도만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동법 제103조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09.04.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구권에 있어서는 상계를 제외한 기타의 효역을 가진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5. 결 어
_ 근대민법은 채권을 인정하는 경우, 소구할 수 있는 것을 원칙으로 하여 국가공권역에 의한 보호를 가한다. 그러나 예외적이기는 하지만 소구할 수는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4.05.2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급을 거절하거나 친권자 또는 후견인의 동의 내지 동반을 요구하는 경우, 친권자 또는 후견인에게 임금을 지급한 경우 동조 위반이 된다.
그러나 동조 위반에 대한 벌칙규정을 두고 있지 않으며 이는 입법상 실책이라 아니할 수 없다. 그러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10.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원용설)
3. 판 례
4. 검 토
Ⅲ. 중간생략등기청구권
1. 학 설
2. 판 례
3. 검 토
Ⅳ. 부동산등기특별조치법과 중간생략등기
1. 문제점
2. 학 설
(1) 단속규정설
(2) 효력규정설
3. 판 례
4. 검 토
Ⅴ. 중간생략등기의 합의가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5.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규정
1) 비용상환청구권
2) 부속물매수청구권
3) 관행으로서의 권리금
4) 종래 소득세법 시행규칙
5) 관련 주요입법안
4. 권리금의 발생원인
5. 임차인이 권리금을 보호받는 방안
1) 제도적 보호 방안
(1) 직접적 보호
(2) 간접적 보호
2)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6,000원
- 등록일 2024.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지급한 경우, B는 불공정 법률행위를 이유로 매매계약의 무효를 주장할 수 있다. 그러나, 이 때 A는 지급한 계약금을 부당이득으로써 반환을 청구할 수 없게 된다. Ⅰ. 들어가며
Ⅱ. 목적의 확정
Ⅲ. 목적의 가능
Ⅳ. 목적의 적법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4.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청구권이 발생한다.
2.신의칙 위반 여부는 직권조사사항이다.
<대법원 60.11.9.선고 4292민상856판결 및 대법원 61.12.7.선고, 4294민상174판결>
권리남용금지의 원칙을 규정한 민법 제2조 제2항은 강행규정이므로 당사자의 주장이 없더라도 직권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3.01.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민법은 채권의 본래적 소멸원인인 변제 이외에 대물변제, 공탁, 상계, 경개, 면제 그리고 혼동을 채권의 일반적 소멸원인으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채권도 일종의 권리이므로 법률행위의 취소, 해제, 해제조건의 성취, 기한의 도래, 소멸시효
|
- 페이지 29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11.08.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