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003)(제7판). 서울 : 현문사
3. 변영순(2004). 최신 수술환자간호. 서울 : 수문사
4. 윤혜상(2004). 수술실 환자 간호(개정판). 서울 : 청구문화사
5. 강경자(1999). 수술환자 간호(성인간호실무교육). 서울 : 수문사 레포트,의약학,간호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1.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압박으로 인하여 다음과 같은 합병증이 발생할 수 있다.
적절한 압박 : 늑골골절, 흉골 골절, 심장 좌상, 폐좌상
부적절한 압박 : 상부하부 늑골 골절, 기흉, 간비장 손상, 심장파열, 심장압전, 대동맥손상, 식도위점막의 파열
인공호흡 합병증
|
- 페이지 17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5.12.1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압박이 가해져 늑골 골절이 올수 있다.
2. 늑골 골절시 기흉이 발생할 수 있다.
3. 검상돌기에 압박을 가하면 골절되면서 간과 비장에 손상을 주어 출혈이 있을 수 있다.
4. 대뇌저산소증으로 전신경련이 일어나거나 심장도 파열될 수 있다.
참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10.2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압박을 가할 때 손꿈치를 흉골에서 떼지 않는다.
* 팔꿈치를 절대 굽혀서는 안된다.
* CPR을 15초 이상 중단하여서는 안된다.
* 순간적인 힘을 가하지 않고 어깨와 허리의 힘으로 압박한다.
* 처치자의 손가락을 흉곽에 붙이지 않는다(늑골골절
|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8.11.2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압박한다.
5. 처치자의 손가락을 흉곽에 붙이지 않는다(늑골골절의 원인이 될 수 있다.)
※. 부작용
-심장압박시 : 늑골골절, 간.비장파열, 심장좌상 등
-인공호흡시 : 폐포손상, 위 내용물 역류, 복부팽만 등이 올 수 있으므로 심폐소생술은 정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2.03.1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압박 -> 늑골 골절-> 기흉 올 수 있다.
- 검상돌기에 압박을 가하면 골절되면서 간과 비장 등에 손상을 주어 출혈 일으키기도 함.
- 대뇌저산소증으로 뇌 손상이 오고 대사성 산독증이나 뇌손상으로 전신경련이 일어날 수도 있으며 심장도
|
- 페이지 14페이지
- 가격 2,300원
- 등록일 2012.10.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압박 시 중단을 최소화, 과도한 인공호흡 피해야함.
- 마지막 흉부압박과 전기충격 전달 간의 시간 차이 및 전기충격 전달 후 즉각적인 압박 재 개 간의 시간차이를 줄여야 함.
√ 합병증
- 늑골 골절되어 기흉 초래
- 검상돌기 압박 시 골절, 간
|
- 페이지 1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8.02.2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압박을 위해 구조자는 강하고 빠른 압박을 가해야 함
③ 모든 환자에게 분당 100회 이상의 속도로 흉부압박을 시행함
④ 흉부압박 대 인공호흡의 비율은 30회 압박 후 2회 인공호흡을 실시함
(4) 합병증
① 늑골 골절로 인해 기흉이 올 수 있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500원
- 등록일 2018.04.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압박의 합병증에는 늑골골절, 폐손상, 간열상 등이 있는데 이를 최소화하려면 실습으로 숙달해야한다. 또한 하임리크법같은 압박법과 흉부압박법은 절대 사람을 상대로 실습해서는 안되며, 인형으로 하도록 한다.
맥박의 확인은 대개 경동
|
- 페이지 28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5.05.1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
- 눈의 상처나 이물이 박혀 있는 상처 그리고 두개골 골절의 경우엔 직접압박을 하지 않는다.
- 피에 젖은 드레싱을 제거하지 말고 그 위에 새 드레싱을 덧붙여 압박한다.
- 피가 순환되지 않을 정도로 압박붕대를 단단하게 감지 않도록 한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5.17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