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성모멘트 을 식 (7)에서 구한다.
(7) 과정 (4)의 에서 과정 (6)의 을 빼어, 두 물체의 관성모멘트 을 구한다.
(8) (7)의 결과와 이론값 를 비교해 본다.
4. 실험 기구 및 장치
① 관성모멘트 측정장치
② 추걸이 및 추
③ 수준기
④ 초시계
⑤ 줄자
⑥
|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12.06.0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성 모멘트(moment of inertia)인 mr2으로 주어진다는 것을 보여준다. (막대는 매우 가볍기 때문에 막대의 관성 모멘트는 무시될 수 있다.)
5. 실험 중에 의문이 들었던 사항들에 대하여
예비 레포트를 작성하며 실험을 준비할 때에는 추걸이의 무게
|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5.1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관성모멘트 I값도 커지고 회전속력은 작아진다. 반대로 여자가 팔을 오므리면 질량이 회전축에 모이므로 r이 작아져 관성모멘트는 작아지고 회전속력이 커진다.
이 현상과 오늘 실험과 어떤 관계가 있는가?
이 현상과 우리가 한 실험과 연관
|
- 페이지 8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0.03.2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험의 기본 실험장치가 되는 A-base입니다. 사진 중간의 회전축에 실이 묶어져 있는 것이 보입니다. 그리고 그 실 끝에는 추걸이가 있고 그 추걸이에 추를 매달게 됩니다.
.
원반입니다. A-base에 이 원반을 올려놓고 원반의 관성모멘트를 측정하게
|
- 페이지 10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10.04.14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험
기계진동학(교재) Ⅰ. 서론
1. 실험목적
2. 실험내용
3. 이론적 배경
1) 진동계 진동특성
2) 시간대역 해석과 주파수역 해석
3) 외팔보지동계의 충격가진응답
4) 충격가진 실험확대율
5) , 를 못 구하는 이유
Ⅱ.
|
- 페이지 9페이지
- 가격 1,300원
- 등록일 2008.03.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측정함과 동시에와 를 측정한다.
③ ②에서 얻은 값들을 사용하여 를 계산한다.
④ 문제의 이해를 돕기 위해 반지름 인 구의 관성모멘트를 계산으로 유도하여라. 1.실험제목
2.실험일시
3.실험목적
4.실험기구
5.이론
6.실험방법
|
- 페이지 2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4.05.2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진동계 [ribrometer] (건축용어사전, 2011.1.5., 성안당)
[2] [네이버 지식백과] 지진계 [seismograph] (센서용어사전, 2011.1.20, 일진사)
[3] [네이버 지식백과] 가속도계 [accelerometer] (전기용어사전, 2011.1.10., 일진사)
[4] William J. Palm (2007), 『진동공학』, 양보
|
- 페이지 11페이지
- 가격 6,300원
- 등록일 2017.09.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멘트 또는 각운동량이라고 한다. 이 밖에 자성체의 자화의 세기를 나타내는 자기모멘트, 유전체편극의 크기를 나타내는 전기쌍극자모멘트 등 이와 비슷한 물리량이 많다.
이 실험에서 사용하는 이론은 굽힘 모멘트로(Bending moment)써 보(beam)
|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11.01.25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없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모멘트로 불린다.
평면에 대한 면적 2차 모멘트
(x축에 대한 면적 2차 모멘트)
(y축에 대한 면적 2차 모멘트)
(평면에 수직인 z축에 대한 극면적 2차 모멘트)
단면에 대한 면적 2차모멘트
<참고문헌>
금오공대 기계공학부 교수, 기계공학실험,
|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5,000원
- 등록일 2021.05.3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
험은 실험3번이었다. 단진동을 할 때 각도에 따라 공이 받는 구심력이 달라지므로 MBB 안에 공이 움직이게 된다. 그러므로 전체 MBB의 관성모멘트가 고정된 값이 아니게 된다. 이다. 이 때 인 관성모멘트가 바뀌게 됨으로써 주기가 변화하게 된
|
- 페이지 13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9.03.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