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우쩌둥시대의 문화대혁명과 천안문사태의 배격과 결과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목차

마우쩌둥시대의 문화대혁명

2천안문사태의 배경과 결과

대약진운동

본문내용

가뭄, 해충피해 등으로 수백만 에이커의 농지가 황폐화되었고 설상가상으로 1960년 6월에는 소련과 중국 사이에서 경제발전 모델에 대한 의견충돌이 원인이 되어 소련이 일방적으로 중국에 파견되어 있는 기술자들을 모두 철수시켜 버렸다. 농업생산에서의 급격한 감축은 공업의 발전을 가로 막았다.
결과와 영향
결국 대약진 운동은 실패로 끝났다. 대약진 운동의 실패는 지도층 내부의 분열을 초래하였고, 경제개발전략 뿐만 아니라 발전전략의 이념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갈등을 빚게 되었다.
팽덕회는 대약진운동의 실패로 모택동 비판세력에 앞장섰으며, 대약진운동이 지나치게 대중동원에 치중하였으며, 소련의 발전모델을 배격하여 중소관계를 악화시켰고, 군대의 사기와 효율성의 저하를 초래했다고 비판했다.
하지만 대세는 모택동의 손을 들어주었으며, 팽덕회는 곧 숙청되고 유소기가 주석의 자리를 이어 받게 되면서 대약진 운동은 전면적으로 수정된다. 유소기는 생산력 증대를 위해 인센티브제도 도입, 국유기업의 효율성 강조, 전문기술습득의 중요성, 지방조직의 권력강화, 기층간부의 규율강화, 그리고 당의 재조직 등을 통해 경제발전의 새로운 틀을 마련한다. 유소기는 농업발전을 우선시 했으며 인센티브 제도의 도입과 맞물려 농업부문에서는 상당한 성과를 얻게 된다. 또한 농기구 공장이나 농촌지역의 발전소와 같은 중소형 공업의 발전을 장려하고 대경(Daqing)유전개발과 같은 새로운 자원개발에도 앞장서게 된다. 1965년 당시 국무원 총리였던 주은래는 이제 경제회복은 끝났으며 1966년부터 제3차 5개년계획을 실시할 준비가 되었다고 발표한다.
[
  • 가격2,0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0.02.08
  • 저작시기2008.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8189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