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문과교육평가][한문교과교육평가]한문교육평가(한문과교육평가)의 계획과 한문교육평가(한문과교육평가)의 방법, 한문교육평가(한문과교육평가)의 현안 및 향후 한문교육평가(한문과교육평가)의 개선 방안 분석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한문과교육평가][한문교과교육평가]한문교육평가(한문과교육평가)의 계획과 한문교육평가(한문과교육평가)의 방법, 한문교육평가(한문과교육평가)의 현안 및 향후 한문교육평가(한문과교육평가)의 개선 방안 분석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한문교육평가(한문과교육평가)의 계획

Ⅲ. 한문교육평가(한문과교육평가)의 방법

Ⅳ. 한문교육평가(한문과교육평가)의 현안
1. 기존의 과제형 평가
2. 한문과 평가의 운영

Ⅴ. 향후 한문교육평가(한문과교육평가)의 개선 방안
1. 현장 적용성 및 자율성이 떨어지고 모호하다
2. 성취 기준 영역 설정에 있어서 한문과 교육과정의 논리와 특성에 따라 구별하고, 모든 학생을 동일하게 취급해서는 안된다
3. 평가를 위한 평가기준에 대한 도구 선택과 활동 과제가 단편적이라는 것이다
4. 실업계 고등학교 학생들의 기초학력 정도를 감안하지 않았다
5. 동아시아권에서의 한자의 활용을 위한 일본의 약자 및 중국의 간자의 학습에 대한 기준이 없다
6. 고등학교 교육용 기초한자 900자에 대한 평가기준이 급별로 정해져 있지 않다
7. 성취 수준을 정함에 있어 난이도나 중요도 등을 따져야 한다
8. 교수 학습 활동 시간 및 학생 수준의 조정이 필요하다
9. 성취 기준 영역을 설정함에 있어 실용적인 사안을 고려해야 한다
10. 반드시 목표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인식은 제고되어야 한다
11. 암기 위주에서 탐구 위주로 탈바꿈해야 한다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특히 자연계의 경우는 3학년에서는 이수하지 않기 때문에 더욱더 그러하다. 교과별 주어진 시간은 정해져 있고, 해야 될 학업 성취는 이를 따라갈 수 없기 때문에 학생들은 소화해 낼 수 있는 학습량으로 인하여 과중한 학업은 교육의 질을 떨어뜨릴 수밖에 없는 것이다. 이러한 상황에는 여전히 진도 나가기가 바쁘고 성취 수준 도달 여부에 대한 평가가 의미를 가지지 못하게 되며 평가가 서열 매기기의 수준을 벗어나지 못하게 된다.
9. 성취 기준 영역을 설정함에 있어 실용적인 사안을 고려해야 한다
현행 설정된 평가기준을 보면 한자ㆍ한자어ㆍ한문을 대영역으로 하고 이를 각 중영역으로 나누고 또 이를 소영역으로 나누어 각각의 평가기준을 정해 놓고 있다. 이에 대해서 한자와 한자어 영역에서는 나누지 못한다 하더라도, 한문영역 만큼은 읽기ㆍ듣기ㆍ이해ㆍ감상ㆍ쓰기ㆍ활용 등으로 영역을 세분화하는 것이 타당하리라 본다. 문어체로 쓰인 것인 만큼 읽기에서 활용까지의 과정을 거쳐 제대로 된 한문교육을 시켜야 한다.
10. 반드시 목표지향적이어야 한다는 인식은 제고되어야 한다
현행 평가기준 및 평가기준에 대한 평가원에서 연구된 논의는 국가 공통 목표지향 평가를 근거로 수행된 결과물로 교육 목표와 학습내용을 중점으로 평가기준이 짜여져 있다. 이러한 태도는 재고되어야 한다. 교육 평가의 의미를 목표지향적으로만 인식하겠다는 정의에 약간 수정하여 목표를 벗어나는 인식을 수용하여 평가기준 개발의 폭을 넓혀야 한다.
11. 암기 위주에서 탐구 위주로 탈바꿈해야 한다
현행 성취 기준은 교과 내용 중심적 평가와 이를 위한 총괄평가에 편중되어있다. 이러한 결과론적 평가에 근거하는 교육은 학생을 단순 암기 기계로 전락시켰으며, 수동적으로 따라가기만 하는 학습태도를 초래하였다. 교사를 위한 교육이 아니라 학생을 우선하는 교육이 선행되어 기본 학습 능력만 강조하다 보니 학생 개개인의 창의성은 무시된 것이 사실이다. 7차는 시대의 변화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인간형을 양성을 지향하는 만큼 이에 역점을 두고 성취 기준을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무엇보다 학생이 자율적으로 참여하는 학습태도를 지니도록 해야 하며, 능동적으로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서는 암기 위주의 평가기준에서 벗어나 탐구 위주의 성취 기준으로 끌어 올려 학생의 사고력 및 창의력을 신장시키는데 기여해야 한다.
Ⅵ. 결론
한문과는 다른 교과와 그 성격이 매우 다르다. 따라서 교육학적인 이론에 대한 능동적인 자기화가 필요하다. 앞서 지적된 한문과 수행평가의 문제는 모두 자기화가 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비롯된 결과이다. 교육학에 수행평가 도구 개발의 과정이 진술되어 있지만, 이것은 교육학적인 도구 개발이다. 이를 한문과에 맞게 재구성할 필요가 있다. 개별 교사들은 각자 자신들의 필요에 의한 수행평가를 실시하고 있다. 그러나 그 많은 한문교사들 가운데 자신이 실시하고 있는 수행평가를 평가 도구의 유형으로 개발하는데는 게으른 편이다. 한문과의 평가 도구를 교육학과에서 해줄 수는 없는 일이다. 보다 적극적으로 평가 도구 개발에 나서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 21세기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2001), 교육과학사
○ 김재춘·부재율·소경희·채선희(2002), 예비·현직 교사를 위한 교육과정과 교육 평가, 교육과학사
○ 김상홍, 21세기 한문교육의 정상화 과제
○ 교육인적자원부(2006), 한문과 교육과정 개정안 토론회, 교육인적자원부
○ 정연택(1986), 중고등학교의 한자교육의 당위성과 효과적인 지도방법, 원광대석사논문
○ 황정규(2000), 한국 교육 평가의 쟁점과 대안, 교육과학사
○ 한국 교육 평가 연구회(1997), 수행평가의 이론과 실제, 충남대학교
  • 가격5,000
  • 페이지수8페이지
  • 등록일2010.03.29
  • 저작시기2021.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502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