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통합검색
  • 대학레포트
  • 논문
  • 기업신용보고서
  • 취업자료
  • 파워포인트배경
  • 서식

전문지식 95건

탕하여 이변화지야니라. 십전대보탕과 십사미건중탕등 일체의 크게 보하는 약제는 모두 이중탕 건중탕 사역탕 등으로부터 변화시킨 것이다. 【灸甘草湯】 구감초탕 治傷寒의 脈代結하고 心動悸라. 치상한의 맥대결하고 심동계라. 구감초탕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虎之名義 甚可畏者는 性甚寒凉하니 無汗 脈浮하고 表未全解하면 猶宜 柴胡 解肌之藥이라. 백호지명의 심가외자는 성심한량하니 무한 맥부하고 표미전해하면 유의 시호 해기지약이라. 백호탕의 이름 뜻은 매우 두려워할만하니 약성이 매우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2.03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 則所謂三百九十七、一百一十三者,可以應病變萬有於無窮矣, 이른바 397조문과 113처방이 병에 상응하여 모든 변화에 다함이 없음이 있다. 豈惟治中風傷寒云乎哉。 어찌 오직 상풍 상한으로 치료를 말하겠는가? 46 47 48 49 50 51 52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3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선복화, 단 정력자, 감초 각각 2g이다. 作一貼 水煎 食後服(醫鑒). 위 약재를 썰어 1첩을 만들어 물로 달여 식후에 복용한다.(의감) 세간명목탕 산열음자 시호탕 사물용담탕 영양각산 영양각산 지황음 이황산 정심원 속효산 노감석산 성초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6.07.11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성대하여 기맥이 막혀서 유즙이 소통치 않거나 혹은 경락이 응체하여 유방안이 창통하거나 혹은 옹종이 생겨서 장차 농을 생성하려고 함을 치료한다. 氣滯少乳는 湧泉名이라. 기가 정체하여 젖이 적게 나옴은 용천산이 유명하다. 湧泉散 용
  • 페이지 4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2.09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탕 人蔘 黃 白朮 茯 陳皮 當歸 山茱萸 山藥 五味子 麥門冬 甘草 各五分 熟地一錢半 牧丹皮一錢 薑煎服하니라. 삼기보폐탕은 인삼, 황기, 백출, 복령, 진피, 당귀, 산수유, 산약, 오미자, 맥문동, 감초 각각2g, 숙지황 6g, 목단피 4g과 생강에 달여
  • 페이지 5페이지
  • 가격 1,000원
  • 등록일 2007.03.16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상한의 팔구일에 사기장복전양경을 오하로 허기리하여 이열불해하고 이치흉만 번경 섬어하여 소변이 불리하니 개심위열 이진액이 불행 고야오. 시호용골모려탕의 처방 뜻은 상한병 8~9일에 사기가 장차 다시 양경락에 전수하려 함을 잘못 사
  • 페이지 7페이지
  • 가격 1,400원
  • 등록일 2006.01.2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상한골절동통야. 풍습이 서로 치며 몸이 아픔은 상한의 골절이 아픔이 아니다. 與桂枝附子湯溫散其風濕, 從表而解也。 여계지부자탕온산기풍습 종표이해야. 계지부자탕을 투여하여 그 풍습사를 따뜻하게 발산함은 표부를 따라 해소함이다.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3,000원
  • 등록일 2006.01.08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상한론의 ‘처방’들을 만든 것은 받아들일 수 있는 사실이 된다. 그러나 ‘三陰三陽’이라는 대원칙으로 병의 전변과정과 종류를 분류하고 탕증에 대한 적용의 연역적인 시스템을 구축하여 진짜 [傷寒論 ]을 완성한 사람은 장중경이 아닌
  • 페이지 3페이지
  • 가격 800원
  • 등록일 2005.05.02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환자는 대시호탕으로 사하한다고 하였다. 此는 仲景의 餘議니 當的從之니라. 차는 중경의 여의니 당적종지니라. 이는 장중경의 남은 논의이니 당연히 따라야 한다. - 상한처음증상 - 열많고한적음 - 한열왕래 - 표증리증한증열증
  • 페이지 12페이지
  • 가격 2,000원
  • 등록일 2006.01.10
  • 파일종류 한글(hwp)
  • 참고문헌 있음
  • 최근 2주 판매 이력 없음
이전 1 2 3 4 5 6 7 8 9 10 다음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