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물다양성의 위기와 보전대책
본 자료는 9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해당 자료는 9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9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물다양성의 위기와 보전대책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 론

2.생물다양성(生物多樣性)이란 ?
1) 유전자의 다양성
2) 종의 다양성
3) 생태계의 다양성

3 생물다양성의 규모와 현황

4 생물다양성의 가치
1) 생물자원으로써의 경제적 가치
2) 생태학적 가치
3) 문화적 가치

5. 생물다양성의 가치평가

6. 생물다양성의 위기

7. 생물다양성의 보전
1) 생물다양성의 보전
(1) 서식지 보호
(2) 서식지의 분단화 금지
(3) 환경오염 방지
(4) 난획 금지
2) 종과 개체군 레벨의 보전
3) 생태계 레벨의 보전

8. 생물다양성의 지속적 이용

9. 국내 생물다양성 보전의 문제점
1)현 황
2) 보존 전략
(1) 자연생태계 보전지역
(2) 천연보호구역
(3) 자연공원과 자연보존지구
(4) 조수보호구
(5) 생물권 보전지역

10. 결 론

본문내용

필요한 지역을 자연환경보전구역이나 자연 생태계 보전지역으로 지정하고 자연 생태계의 보호를 위하여 필요한 조치를 위할 것을 관계 기관의 장에게 요청할 수 있다. 현재까지 지정된 지역은 \'지리산 원시림 원상보전지\' 등 8개소 이다(표 6). 그러나 이들 8개 지역이 차지하는 면적은 99㎢로서 전국토의 0.1%에 불과하며, 특히 일부지역은 지나치게 좁은 면적만을 보전지역으로 설정하여 보전 목적의 달성이 어려운 실정이므로 환경부에서는 이러한 지역을 광역으로 확대하여 지정하고 또한 민통선 부근의 다른 지역의 추가 지정을 한다. 궁극적으로 환경부에서는 2005년까지 전국토의 5%에 해당하는 5.000㎢를 자연 생태계 보전지역으로 지정할 목표로 추진 중이다.
(2) 천연보호구역 - 문화재 보호법에 의하여 문화체육부 장관은 문화재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기념물 중 중요한 것을 사적, 명승 또는 천연기념물로 지정할 수 있으며, 천연기념물의 지정에 있어서 문화재의 보호상 특히 필요한 경우에는 이를 위한 \'보호물\' 또는 \'보호구역\'으로 지정할 수 있다. 천연보호구역은 인간의 간섭이 미치지 않도록 자연 그대로 보존하여 자연 생태학적 변천과정을 연구하고, 또 유전자원을 보존하여 후손에게 정해주고자 절대 보존하는 구역인 것이다. 현재까지 홍도, 설악산, 한라산, 대암산-대우산, 향로봉-건봉산 등이 지정되어 있다.
홍도 천연보호구역은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리에 여러 개의 섬으로 구성되며, 설악산 천연 보호구역은 설악산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며, 한라산 천연보호구역을 제주도 한라산 해발 800~1,300m 이상의 구역과 특수 식물상이 보전된 일부 계곡 등의 지역이 포함된다. 대암산-대우산 천연보호구역은 강원도 인제군과 양구군 일월지역이며, 향로봉-건봉산 지역은 강원도 고성군과 인제군 일원을 지정하고 있다
(3) 자연공원과 자연보존지구 - 자연공원법은 자연 풍경지 보존 및 적정한 이용을 도모하며 국민의 보건휴양 및 정서 생활의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자연공원을 지정관리하고 있는데, 자연공원에는 국립공원, 도립공원 및 군립공원이 포함된다. 1967년에 국립공원 제 1호로서 지리산 국립공원이 지정된 이후 20여개소의 국립공원이 지정되었는데, 전체 지정면적은 육지면적 4,125㎢(전국토의 약 4.2%), 해상면적 2,348㎢로서 모두 6,473㎢(전국토의 약 6.5%)이다. 국립공원의 효율적인 보호와 이용을 도모하기 위하여 용도구역(자연보존지구, 자연환경지구, 취락지구, 집단시설지구)을 공원 계획으로 결정한다. 자연보전지구는 자연보전 상태가 원시성을 지니고 있거나 보존할 동물, 식물 또는 천연기념물 등이 있거나 자연풍경이 특히 수려하여 특별히 보호할 필요가 있는 곳에 지정한다. 그리고 자연환경지구는 자연보존지구, 취락지구, 집단시설지구를 제외한 전 지역을 지정한다.
(4) 조수보호구 - 시도지사는 조수의 보호 증식을 위하여 필요한 때에는 대통령령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조수보호구\'를 설정할 수 있으며, 특히 필요한 때에는 조수보호구 안에 \'특수보호구역\'을 설정할 수 있다. 조수보호구는 산림조수서식보호구, 대규모서식보호구, 집단도래보호구, 집단번식보호구, 유치지구보호구, 특정조수서식보호구, 애호지구보호구, 특별보호지구 등으로 구분된다. 현재 전국적으로 507개소(113,190ha)가 지정되어 있다.
(5) 생물권 보전지역 - UNESCO의 인간과 생물권 계획에 의하여 우리나라에서는 1982년에 \'설악산생물권보전지역\'이 지정(163.7㎢)되었는데, 대부분이 설악산 국립공원 구역과 설악산 천연림 보호구역과 중첩된다. 본래 생물권 보호지역은 자연 생태계 내의 동식물 군집의 다양성과 보전을 통해 현재와 미래에 있어서 종의 유전적 다양성 보존을 목적으로 지정한다. UNESCO 한국위원회에서는 지정 후 별다른 학술적 조사연구를 시해하지 못하고 있었으나 최근에 일부 용역사업으로 수생동물 및 육상식물에 대한 모니터링을 실시 중이다.
10. 결론
생물다양성의 보호는 우리 인류의 생존과 안녕을 위해 절대적으로 필요한 일이다. 자연계를 구성하는 모든 종들은 다 상호의존적이기 때문에 그 균형을 깨는 일은 그 어느 구성원에게도 궁극적인 이득이 될 수 없다. 따라서 인간도 다른 종들과 마찬가지로 생태적 제한 속에서 살아야 하고 지구의 청지기로서 그 임무를 충실히 이행해야 한다. 생물다양성은 또 생명의 기원을 구명하는데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단서를 갖고 있기 때문에 그 일부만이라도 잃을 경우 우리 자신의 존재 이유와 기원의 비밀을 푸는데 심각한 어려움을 줄 것이다.
이 같은 경제적 가치 및 존재 가치를 떠나서라도 윤리적 또는 철학적 관점에서 생물다양성의 보호를 분석해야 한다. 자연계에 존재하는 모든 종들은 인간의 필요와 무관히 존재할 권리와 가치를 지니고 있다. 인간에게 다른 종을 파괴할 권리가 있는 것은 결코 아니다. 자연은 경제적 가치를 능가하는 미적 그리고 정신적 가치를 지니고 있다. 그래서 대부분의 종교와 철학, 그리고 문화적 가치관들은 자연을 보호해야 한다고 가르친다. 이제 과학도 그 이유를 분명히 밝히고 있다.
[참고문헌 & 웹 싸이트]
에드워드 O. 윌슨 지음 / 황현숙 옮김, 생명의 다양성, 1995년10월, 까치글방
김진수, 손요환, 신준환, 이도원, 최재천, 리처드 프리맥(Richard Primack). 2000. 보전생물학. 서울: 사이언스북스.
최재천. 1997. 보존생물학. 과학사상 23: 256-267.
http://bh.knu.ac.kr/%7Esdsong/Biodiversity%20Crises%20%26%20Conservation.htm
http://w3.kunsan.ac.kr/%7Ehaedong/nature_die/nature_die3.htm
http://www.unep.or.kr/highlight/geo/03.html
http://www.ui4u.net/nature/nature/nature17.html
http://www.greenvi.or.kr/main1/center/classrm/class3-18.htm
http://100.naver.com/100.php?where=100&id=707119
  • 가격1,000
  • 페이지수26페이지
  • 등록일2007.11.23
  • 저작시기2003.11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43805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