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Ⅱ. 이론적 배경
1. 인터넷 쇼핑
2. 인터넷 쇼핑 행동의 충동구매
3. 충동구매의 분류
Ⅲ. 인터넷 쇼핑몰의 충동구매소비자의 특성.
1. 충동구매집단의 분류와 그에 따른 소비자 특성
2. 충동구매집단의 구매 이후 소비자 특성
3. 인구, 통계적 심리적 측면에서의 충동구매소비자 특성
1) 충동구매 유형 집단별 충동구매소비자 특성
2) 소비자 상황에 따른 충동구매 소비자 특성
4. 브라우징의 구분에 따른 충동구매소비자 특성
5. 상품 유통 측면에서의 충동구매 소비자의 특성
6. 제품 속성에 따른 충동구매 소비자 특성
7. 기타 충동구매 소비자 특성
1) 자기 통제성
2) 구매행위 자체를 통한 즐거움 추구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1. 연구의 배경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Ⅱ. 이론적 배경
1. 인터넷 쇼핑
2. 인터넷 쇼핑 행동의 충동구매
3. 충동구매의 분류
Ⅲ. 인터넷 쇼핑몰의 충동구매소비자의 특성.
1. 충동구매집단의 분류와 그에 따른 소비자 특성
2. 충동구매집단의 구매 이후 소비자 특성
3. 인구, 통계적 심리적 측면에서의 충동구매소비자 특성
1) 충동구매 유형 집단별 충동구매소비자 특성
2) 소비자 상황에 따른 충동구매 소비자 특성
4. 브라우징의 구분에 따른 충동구매소비자 특성
5. 상품 유통 측면에서의 충동구매 소비자의 특성
6. 제품 속성에 따른 충동구매 소비자 특성
7. 기타 충동구매 소비자 특성
1) 자기 통제성
2) 구매행위 자체를 통한 즐거움 추구
Ⅲ. 결론 및 제언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기 위해서는 상점 및 제품 속성에 대한 관심도 중요하지만 개인의 심리적 요소에 대한 깊은 고려가 필요하다. 변현수, 김진화(1996), \"상점 속성, 제품 속성, 개인 속성이 웹 상점에서의 충동구매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19권 제3호, 1039~1057
덧붙여, 기업의 입장에서 충동구매소비자에 대한 마케팅적 접근이 가능하다. 충동구매 소비자 중에서 구매 이후에 만족하는 집단은 자극적 충동구매집단과 상기적 충동구매집단이지만 최종적으로 자신이 같은 제품을 다시 구매하거나타인에게 제품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조성하여 기업의 이윤을 증가시키는 집단은 자극적 충동구매집단이다. 표2에서 살펴보면 자극적 충동구매집단은 주로 성별은 남성, 연령은 30대, 직업은 주부에게서 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들에게 집중적으로 충동구매를 유발할 수 있는 마케팅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충동구매성향이 강할수록 관심 있는 제품에 관해 평소에 지속적인 정보탐색을 많이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웹 마케터들은 여러 경로를 통하여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은 충동구매는 개인적사회적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도 사실이다. 최근 기업들이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매출증대를 위하여 소비자의 과도한 충동구매를 유발시키고 있다. 기업의 이윤증대라는 측면에서는 아무런 문제점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단기적인 매출 증대는 가능할 수 있으나,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매경험이 증가할수록 충동구매의 빈도는 낮아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장기적인 매출증대는 어렵다고 보아진다. 또한, 실망한 충동구매자들에 의한 이미지 악화도 무시할 수 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과도한 충동구매자의 발생을 막기 위하여 본 연구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은 방지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소비자의 충동구매를 막을 수 있는 예방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하다. 현재 인터넷 시장의 충동구매자는 남성의 비율이 높지만 잠재적 소비자인 여성이나 청소년, 인터넷 구매 경험 빈도가 낮은 초보자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물질주의 소비성향이 충동구매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내용에는 물질주의 가치가 소비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기통제성이 약한 소비자의 경우 충동구매성향이 높았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프로그램대상자들에게 즉흥적인 구매 욕구를 넘어서는 의지력을 키워줄 수 있게 해야 한다.
한편, 서두에 밝힌 것과 같이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에서 충동구매 소비자의 특성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다른 논문에서 이미 연구된 바에 따르면 소비자 특성이외에도 제품관여도, 기업신뢰도 등과 같은 판매제품의 특성 김화동 (2005), \"인터넷 쇼핑 충동구매유형에 따른 소비자 특성 및 구매 후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7-4호, 316
과 인터넷 마케터의 자극과 같은 외부요인도 충동구매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다방면의 접근을 통한 연구가 향후에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김영숙 (2000), \"사이버 마아켓에서의 소비자 충동구매성향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12),
2) 권도균 (1998), \"사이버 쇼핑몰 구축의 허와 실\", LG인터넷 전자상거래팀, 1998년 마이크로소프트 2월호
3) 조경훈 (1998), \"사이버 쇼핑몰 구축의 허와 실\", LG인터넷 전자상거래팀, 1998년 마이크로소프트 2월호
4) 성영신 (1999), \"컴퓨터 친숙도와 쇼핑 오리엔테이션에 의한 i-소비자 세분화\", 한국 마케팅 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5) 양윤, 백수원 (2003), \"인터넷 쇼핑에서의 지각된 위험과 소비자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6) 이현정 김수미 (2006),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의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제 14 권 제 6 호
7) 강경자 (1999), \"쇼핑성향에 따른 여대생의 충동구매와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4)
8) 김화동 (2005), \"인터넷 쇼핑 충동구매유형에 따른 소비자 특성 및 구매 후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7-4호
9) 양윤, 강승숙 (2002), \"충동구매경향성에 따른 소비자의 혁신성향과 정보탐색에서의 차이\", 광고연구, 57
10) 양우식 (1995), \"충동구매행동의 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소비자심리, 내적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전달영, 경준수 (2002), \"인터넷 쇼핑몰에서 쇼핑가치와 쇼핑몰 애호도의 결정요인: 엔터테인먼트 상품을 중심으로\", 경영쥔연구, 31(6)
12) 이호배, 이현우 (2003), \"인터넷 쇼핑몰에서 브라우징이 구매충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32권 제5호
13) 김수영(2000), \"대형할인매장 이용자의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변혁수, 김진화, (2006), \"상점 속성, 제품 속성, 개인 속성이 웹 상점에서의 충동구매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19권 제3호
15) 안승철 (1996), \"충동구매 소비자의 구매행위와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제34권 4호
16) Hoffman, Donna L., &Novak TOmas P. (1996) A New Marketing Paradigm for Electronic ommerce. The Information Society, Special issue on Eletronic Commerce, 13(Jun-Mar)
17 Baumeister, Roy F.(2002), \"Yielding to Temptation: Self Control Failure, Impulsive Purchasing,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rach, 28(March)
18) Stern, H,(1962), \"The Significance of Impulse Buying Today\", Journal of Marketing, 26(April)
덧붙여, 기업의 입장에서 충동구매소비자에 대한 마케팅적 접근이 가능하다. 충동구매 소비자 중에서 구매 이후에 만족하는 집단은 자극적 충동구매집단과 상기적 충동구매집단이지만 최종적으로 자신이 같은 제품을 다시 구매하거나타인에게 제품의 긍정적인 이미지를 조성하여 기업의 이윤을 증가시키는 집단은 자극적 충동구매집단이다. 표2에서 살펴보면 자극적 충동구매집단은 주로 성별은 남성, 연령은 30대, 직업은 주부에게서 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들에게 집중적으로 충동구매를 유발할 수 있는 마케팅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충동구매성향이 강할수록 관심 있는 제품에 관해 평소에 지속적인 정보탐색을 많이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웹 마케터들은 여러 경로를 통하여 인터넷 쇼핑몰에 대한 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와 같은 충동구매는 개인적사회적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도 사실이다. 최근 기업들이 인터넷 쇼핑몰을 통한 매출증대를 위하여 소비자의 과도한 충동구매를 유발시키고 있다. 기업의 이윤증대라는 측면에서는 아무런 문제점이 없을 수도 있다. 그러나 단기적인 매출 증대는 가능할 수 있으나, 앞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구매경험이 증가할수록 충동구매의 빈도는 낮아진다는 점을 감안할 때, 장기적인 매출증대는 어렵다고 보아진다. 또한, 실망한 충동구매자들에 의한 이미지 악화도 무시할 수 없다. 이러한 측면에서 과도한 충동구매자의 발생을 막기 위하여 본 연구에 입각하여 다음과 같은 방지책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소비자의 충동구매를 막을 수 있는 예방 프로그램의 실시가 필요하다. 현재 인터넷 시장의 충동구매자는 남성의 비율이 높지만 잠재적 소비자인 여성이나 청소년, 인터넷 구매 경험 빈도가 낮은 초보자들을 대상으로 집중적으로 실시해야 할 것이다. 물질주의 소비성향이 충동구매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기 때문에 프로그램의 내용에는 물질주의 가치가 소비생활에 미치는 영향을 다루어야 할 것이다. 또한, 자기통제성이 약한 소비자의 경우 충동구매성향이 높았다는 점을 생각해 볼 때, 프로그램대상자들에게 즉흥적인 구매 욕구를 넘어서는 의지력을 키워줄 수 있게 해야 한다.
한편, 서두에 밝힌 것과 같이 본 연구는 인터넷 쇼핑에서 충동구매 소비자의 특성을 중심으로 논하였다. 다른 논문에서 이미 연구된 바에 따르면 소비자 특성이외에도 제품관여도, 기업신뢰도 등과 같은 판매제품의 특성 김화동 (2005), \"인터넷 쇼핑 충동구매유형에 따른 소비자 특성 및 구매 후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7-4호, 316
과 인터넷 마케터의 자극과 같은 외부요인도 충동구매에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다방면의 접근을 통한 연구가 향후에 실시되어야 할 것이다.
Ⅳ. 참고문헌
1) 김영숙 (2000), \"사이버 마아켓에서의 소비자 충동구매성향 분석\", 대한가정학회지, 38(12),
2) 권도균 (1998), \"사이버 쇼핑몰 구축의 허와 실\", LG인터넷 전자상거래팀, 1998년 마이크로소프트 2월호
3) 조경훈 (1998), \"사이버 쇼핑몰 구축의 허와 실\", LG인터넷 전자상거래팀, 1998년 마이크로소프트 2월호
4) 성영신 (1999), \"컴퓨터 친숙도와 쇼핑 오리엔테이션에 의한 i-소비자 세분화\", 한국 마케팅 학회, 추계학술발표논문집
5) 양윤, 백수원 (2003), \"인터넷 쇼핑에서의 지각된 위험과 소비자 특성\", 한국심리학회지: 소비자 광고
6) 이현정 김수미 (2006), \"인터넷 쇼핑몰에서의 의류의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제 14 권 제 6 호
7) 강경자 (1999), \"쇼핑성향에 따른 여대생의 충동구매와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7(4)
8) 김화동 (2005), \"인터넷 쇼핑 충동구매유형에 따른 소비자 특성 및 구매 후 행동의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광고홍보학보, 제7-4호
9) 양윤, 강승숙 (2002), \"충동구매경향성에 따른 소비자의 혁신성향과 정보탐색에서의 차이\", 광고연구, 57
10) 양우식 (1995), \"충동구매행동의 제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소비자심리, 내적특성을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전달영, 경준수 (2002), \"인터넷 쇼핑몰에서 쇼핑가치와 쇼핑몰 애호도의 결정요인: 엔터테인먼트 상품을 중심으로\", 경영쥔연구, 31(6)
12) 이호배, 이현우 (2003), \"인터넷 쇼핑몰에서 브라우징이 구매충동에 미치는 영향\", 경영학연구 제32권 제5호
13) 김수영(2000), \"대형할인매장 이용자의 충동구매에 관한 연구\", 대구효성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4) 변혁수, 김진화, (2006), \"상점 속성, 제품 속성, 개인 속성이 웹 상점에서의 충동구매 성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대한경영학회지 제19권 제3호
15) 안승철 (1996), \"충동구매 소비자의 구매행위와 심리적 특성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제34권 4호
16) Hoffman, Donna L., &Novak TOmas P. (1996) A New Marketing Paradigm for Electronic ommerce. The Information Society, Special issue on Eletronic Commerce, 13(Jun-Mar)
17 Baumeister, Roy F.(2002), \"Yielding to Temptation: Self Control Failure, Impulsive Purchasing, and Consumer Behavior\", Journal of Consumer Reserach, 28(March)
18) Stern, H,(1962), \"The Significance of Impulse Buying Today\", Journal of Marketing, 26(April)
추천자료
소비자행동-인구통계학적 특징 및 사회계층
비교광고사례와소비자행동에미치는영향
소비자행동 관점에서본 애니콜의 마케팅 전략
소비자행동론 개념정리
소비자행동론 번역본
소비자행동 - 구매5단계
소비자행동의 개관
소비자행동연구의 발달(의료마케팅)
소비자행동론: 속성 중요도-만족도 모델
소비자행동과 제품, 가격 및 유통전략
소비자행동사례분석
소비자행동론 사례분석 <교재관련내용 사례분석>
소비자행동분석, 처음처럼,처음처럼마케팅전략,처음처럼마케팅분석,소주시장,소주시장분석,롯...
소비자행동론,마케팅실패사례,브랜드마케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사례분석,swot,stp,4p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