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범 및 범위
Ⅱ. e-스포츠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e-스포츠의 개념 및 의의
2. e-스포츠의 발전과정
3. e-스포츠의 파급효과
Ⅲ. 국내외 e-스포츠 현황 분석
1. 국내 현황
2. 해외 현황
Ⅳ. e-스포츠의 문제점
1. e-스포츠 환경의 문제점
2. 대회․리그의 문제점
3. 게이머․게임단의 문제점
Ⅴ. e-스포츠를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 방안
1. e-스포츠 성장기반 조성
2. 프로 e-스포츠 경쟁력 강화
3. 국제화 전략을 통한 시장 확대
4. 게임산업과의 협력체제 구축
Ⅵ. 결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방범 및 범위
Ⅱ. e-스포츠에 관한 이론적 고찰
1. e-스포츠의 개념 및 의의
2. e-스포츠의 발전과정
3. e-스포츠의 파급효과
Ⅲ. 국내외 e-스포츠 현황 분석
1. 국내 현황
2. 해외 현황
Ⅳ. e-스포츠의 문제점
1. e-스포츠 환경의 문제점
2. 대회․리그의 문제점
3. 게이머․게임단의 문제점
Ⅴ. e-스포츠를 통한 국가경쟁력 제고 방안
1. e-스포츠 성장기반 조성
2. 프로 e-스포츠 경쟁력 강화
3. 국제화 전략을 통한 시장 확대
4. 게임산업과의 협력체제 구축
Ⅵ. 결론
본문내용
내 게이머들도 높은 인기가 있다 그리고 이미 WEG, CKCG 둥을 통해 한·중 간 e-스포츠 교류가 활발하다. 따라서 통합리그 운영, 게이머 교류 등을 통해 중국을 국내 e-스포츠 리그 권에 포함하고 콘텐츠, 기술·노하우 등의 수출도 확대해야한다.
4. 게임산업과의 협력체제 구축
가. 협력체제 구축
국내 게임사와 협력하여 글로벌 시장에 적합한 e-스포츠 게임을 공동 개발해야한다. 기획단계에서부터 e-스포츠 전문가가 참여하여 관전성, 몰입성, 난이도, 캐릭터 간 밸런스, 국제화 가능성 등을 고려한 e-스포츠 게임을 개발해야한다. 그리고 국산게임을 활용한 e-스포츠 리그를 활성화하고, 해외 순회경기 둥을 통해 국산게임의 해외수출을 기원해야한다. 또한 리그를 활용하여 게임의 흥보·판매를 확대하고, 게임이 확산됨으로써 다시 리그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해야한다.
나. "글로벌 게임 페스트베드"로 부상
전문 게임 방송, 우수한 IT 인프라, 풍부한 게임저번 및 전문가 풀(Pool) 등은 게임 개발 및 보급에 있어 매우 유용한 자원 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프라를 활용하여 게임 개발의 글로벌 거점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구체적으로는 글로벌 게임기업 및 게임관련 서비스 수요(기회, 테스트 통)를 유치해야 할 것이다.
Ⅵ. 결론
'게임 경기 및 이를 둘러싼 제반 활동'을 의미하는 e-스포츠가 주목받고 있다. 단일 경기에 10만 명이 넘는 관중이 모여들기도 하고, 스타 게이머들은 연예인을 능가하는 인기를 누리기도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e-스포츠는 단순한 문화 현상에 머물지 않고 하나의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프로게임 제도가 도입되고, 프로게이머, 게임캐스터 등 불과 10년 전까지만 해도 상상조차 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직업들이 등장하였다. 더불어 우리나라는 대규모 국제대회를 주도하는 등 세계 e-스포츠를 선도하며 '디지털 강국'의 이미지를 전 세계에 발신하고 있다.
국내외 e-스포츠는 모두 1990년대 네트워크 게임의 확산과 함께 시작되었다. 국내의 경우 1998년 스타크래프트의 확산으로 다수의 게임대회가 생겨나면서 e-스포츠가 정착되었긴, 게임방송이 등장학고 대기업들이 참여하면서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했다. 반면 해외의 e-스포츠는 게임매니아들이 참여하는 게임축제의 성격을 띠고 있다. 국내 e-스포츠가 짧은 기간에 새계 최고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배경은 뛰어난 IT인프라, 게임임방송의 출범, 집단적 놀이문화, 역동적 국민기질, 뛰어난 손끝기술 등에서 찾을 수 있다.
21세기는 문화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예견되며, 특히 문화콘텐츠 시장에서 e-스포츠의 육성은 큰 의미를 갖는다. 현재 국내 e-스포츠는 선수, 구단, 기업(스폰서), 미디어, 관중, 시청자 등 프로스포츠 산업의 틀을 갖추고 있다. 연간 100여개 달하는 대회가 개최되고, 240명의 프로게이머와 11개의 게임단이 활동하고 있다. 게임방송은 e-스포츠 경기를 실시간 중계하고, 기업들은 브랜드 마케팅을 위한 게임단이나 대회를 후원한다. e-스포츠 산업 중 프로부문의 시장규모는 2004년 267억원, 2005년 369억원으로 급성장, 2010년에는 12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e-스포츠의 성장과 글로벌 리더십 강화를 위해서는, 먼저 e-스포츠 산업의 자생력을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초 인프라 구축과 법·제도 정비 등 성장기반을 조성해야 하고, 운영체계 정립, 홍행성 제고, 수익원 다양화 등을 통해 프로부문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한견 국제화를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게임산업 등 연관산업과의 협력을 강화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e-스포츠의 종주국은 코리아다. 이러한 대세를 부정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이제는 이 기회를 전략적으로 잘 활용하는 길만 남았다. 한국의 e-스포츠산업이 해외로 진출하여 세계에서 인정받을 때 한국은 이미 e-스포츠 강국이 되어 있을 것이다. 21세기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비상하는 한국의 e-스포츠 경쟁력이 국가경쟁력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내문헌>
권주민 외, “e-스포츠의 활성화 방안”, 「경우논집 제37집」, 충남대학교 경영동우회, 2007
김원제, “문화콘텐츠산업으로서 e-스포츠의 시장 전략에 관한 연구” 게임산업저널. 통권 9호,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5
김원제, 「미디어스포츠 사회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김태훈,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따른 스포츠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김학진, "e-스포츠를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에 관한 연구", 중앙논단, 중앙대학교대학원 제23집, 2005
문화관광부, “e-스포츠 발전 정책 비전”, 2004
문화관광부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5 대한민국 게임백서」, 2005
송해룡, “e-스포츠의 성장과 기업커뮤니케이션”, 게임산업저널 통권9호, 2005
송해룡, 「미디어스포츠」,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이재동 외, 「CT비전 및 중장기 전략수립 보고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5
이안재 외, "신산업으로 발돋움하는 e-스포츠",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5
이안재 외, “e-스포츠 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005
정청래, “스포츠로서 e-스포츠의 위상강화”, 정책자료집, 2005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한중일 문화콘텐츠사업 경쟁력 비교 분석」, 2004
<해외문헌>
McDaniel, S. & Sullivan, C.. 스포츠 경험의 확장: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매개, in L. A. Wenner(ed.). Mediasport, London:Routledge, 1998
Micheal E, Porter. 1997, 김경묵김연성 역, 『경쟁론』, 세종연구원, 2001
<웹사이트>
문화관광부 (http://www.mct.go.kr)
한국게임산업개발원 (http://www.gameinifity.or.kr)
한국e-스포츠협회 (http://www.e-sports.or.kr)
4. 게임산업과의 협력체제 구축
가. 협력체제 구축
국내 게임사와 협력하여 글로벌 시장에 적합한 e-스포츠 게임을 공동 개발해야한다. 기획단계에서부터 e-스포츠 전문가가 참여하여 관전성, 몰입성, 난이도, 캐릭터 간 밸런스, 국제화 가능성 등을 고려한 e-스포츠 게임을 개발해야한다. 그리고 국산게임을 활용한 e-스포츠 리그를 활성화하고, 해외 순회경기 둥을 통해 국산게임의 해외수출을 기원해야한다. 또한 리그를 활용하여 게임의 흥보·판매를 확대하고, 게임이 확산됨으로써 다시 리그의 활성화를 촉진하는 선순환 구조를 형성해야한다.
나. "글로벌 게임 페스트베드"로 부상
전문 게임 방송, 우수한 IT 인프라, 풍부한 게임저번 및 전문가 풀(Pool) 등은 게임 개발 및 보급에 있어 매우 유용한 자원 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인프라를 활용하여 게임 개발의 글로벌 거점 역할을 수행해야한다. 구체적으로는 글로벌 게임기업 및 게임관련 서비스 수요(기회, 테스트 통)를 유치해야 할 것이다.
Ⅵ. 결론
'게임 경기 및 이를 둘러싼 제반 활동'을 의미하는 e-스포츠가 주목받고 있다. 단일 경기에 10만 명이 넘는 관중이 모여들기도 하고, 스타 게이머들은 연예인을 능가하는 인기를 누리기도 한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e-스포츠는 단순한 문화 현상에 머물지 않고 하나의 산업으로 발전하고 있다. 세계 최초로 프로게임 제도가 도입되고, 프로게이머, 게임캐스터 등 불과 10년 전까지만 해도 상상조차 하기 어려웠던 새로운 직업들이 등장하였다. 더불어 우리나라는 대규모 국제대회를 주도하는 등 세계 e-스포츠를 선도하며 '디지털 강국'의 이미지를 전 세계에 발신하고 있다.
국내외 e-스포츠는 모두 1990년대 네트워크 게임의 확산과 함께 시작되었다. 국내의 경우 1998년 스타크래프트의 확산으로 다수의 게임대회가 생겨나면서 e-스포츠가 정착되었긴, 게임방송이 등장학고 대기업들이 참여하면서하나의 산업으로 성장했다. 반면 해외의 e-스포츠는 게임매니아들이 참여하는 게임축제의 성격을 띠고 있다. 국내 e-스포츠가 짧은 기간에 새계 최고수준으로 발전할 수 있었던 배경은 뛰어난 IT인프라, 게임임방송의 출범, 집단적 놀이문화, 역동적 국민기질, 뛰어난 손끝기술 등에서 찾을 수 있다.
21세기는 문화경쟁력이 국가경쟁력을 좌우할 것으로 예견되며, 특히 문화콘텐츠 시장에서 e-스포츠의 육성은 큰 의미를 갖는다. 현재 국내 e-스포츠는 선수, 구단, 기업(스폰서), 미디어, 관중, 시청자 등 프로스포츠 산업의 틀을 갖추고 있다. 연간 100여개 달하는 대회가 개최되고, 240명의 프로게이머와 11개의 게임단이 활동하고 있다. 게임방송은 e-스포츠 경기를 실시간 중계하고, 기업들은 브랜드 마케팅을 위한 게임단이나 대회를 후원한다. e-스포츠 산업 중 프로부문의 시장규모는 2004년 267억원, 2005년 369억원으로 급성장, 2010년에는 12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국내 e-스포츠의 성장과 글로벌 리더십 강화를 위해서는, 먼저 e-스포츠 산업의 자생력을 우선적으로 확보해야 한다. 이를 위해서는 기초 인프라 구축과 법·제도 정비 등 성장기반을 조성해야 하고, 운영체계 정립, 홍행성 제고, 수익원 다양화 등을 통해 프로부문의 경쟁력을 높여야 한다. 한견 국제화를 통해 시장을 확대하고, 게임산업 등 연관산업과의 협력을 강화해 시너지를 창출하는 것 역시 중요하다.
e-스포츠의 종주국은 코리아다. 이러한 대세를 부정할 수 있는 사람은 아무도 없을 것이다. 이제는 이 기회를 전략적으로 잘 활용하는 길만 남았다. 한국의 e-스포츠산업이 해외로 진출하여 세계에서 인정받을 때 한국은 이미 e-스포츠 강국이 되어 있을 것이다. 21세기 동아시아를 넘어 전 세계로 비상하는 한국의 e-스포츠 경쟁력이 국가경쟁력임을 잊지 말아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국내문헌>
권주민 외, “e-스포츠의 활성화 방안”, 「경우논집 제37집」, 충남대학교 경영동우회, 2007
김원제, “문화콘텐츠산업으로서 e-스포츠의 시장 전략에 관한 연구” 게임산업저널. 통권 9호, 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5
김원제, 「미디어스포츠 사회학」, 커뮤니케이션북스, 2005
김태훈, “디지털 미디어 시대에 따른 스포츠 패러다임 변화에 관한 연구”, 용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김학진, "e-스포츠를 통한 국가 경쟁력 제고에 관한 연구", 중앙논단, 중앙대학교대학원 제23집, 2005
문화관광부, “e-스포츠 발전 정책 비전”, 2004
문화관광부한국게임산업개발원, 「2005 대한민국 게임백서」, 2005
송해룡, “e-스포츠의 성장과 기업커뮤니케이션”, 게임산업저널 통권9호, 2005
송해룡, 「미디어스포츠」, 서울:커뮤니케이션북스, 2004
이재동 외, 「CT비전 및 중장기 전략수립 보고서」,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2005
이안재 외, "신산업으로 발돋움하는 e-스포츠", CEO Information, 삼성경제연구소, 2005
이안재 외, “e-스포츠 산업의 현황과 발전방안”, Issue Paper, 삼성경제연구소, 2005
정청래, “스포츠로서 e-스포츠의 위상강화”, 정책자료집, 2005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 「한중일 문화콘텐츠사업 경쟁력 비교 분석」, 2004
<해외문헌>
McDaniel, S. & Sullivan, C.. 스포츠 경험의 확장: 사이버공간에서 이루어지는 매개, in L. A. Wenner(ed.). Mediasport, London:Routledge, 1998
Micheal E, Porter. 1997, 김경묵김연성 역, 『경쟁론』, 세종연구원, 2001
<웹사이트>
문화관광부 (http://www.mct.go.kr)
한국게임산업개발원 (http://www.gameinifity.or.kr)
한국e-스포츠협회 (http://www.e-sports.or.kr)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