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속문화의 현대적 의미 고찰과 지평 모색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무속문화의 현대적 의미 고찰과 지평 모색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Ⅰ. 머리말
1. 연구대상과 목적
2. 선행연구
3. 조사연구방법

Ⅱ. ‘인생상담 및 고민해결’의 의미 및 지평 모색

Ⅲ. ‘생계 수단의 방편’으로의 의미 및 지평 모색
1. 세습무의 쇠퇴와 강신무의 확산
2. 굿판과 공수 위주의 무속인 역할

Ⅳ. ‘전통 계승과 창출’의 의미 및 지평 모색

Ⅴ. ‘볼거리 제공 및 콘텐츠의 원천적 소스’로의 의미 및 지평 모색
1. 드라마로 탄생한 무속, ‘왕꽃선녀님’
2. 축제화 된 ‘은산별신제’
3. 원천강 본풀이의 애니메이션 ‘오늘이’

Ⅵ. 맺음말

※ 참고 자료

본문내용

의미 및 지평 모색
오늘날 무속은 무속 자체로서의 기능을 가지기 보다는 다양한 기능을 가진다고 볼 수 있다. 물론 무속인의 역할인 공수와 굿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지만 무속문화의 전반적인 것은 전통 계승, 창출, 심적 안식처 제공, 콘텐츠의 원천적 소스, 생계 수단의 방편 등의 기능을 한다. 생산과 소비를 반복하는 오늘날 사회에서 무속도 빠질 수 없는 생산과 소비의 주체가 되고 있다. 특히 오늘날 무속은 축제와 만화 등 콘텐츠의 원천 소스로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이것은 곧 무속의 전통을 계승하는 차원이자 새로운 창출의 기회를 의미한다.
언제부터인지는 정확히 알 수 없으나, 무속을 예술 및 콘텐츠의 소재로 이용한지는 오래되었다. 무속을 원천적 자원으로 이용하게 된 데에는 특별한 의미가 있다. 그것은 한국인의 전통을 반영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작업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가진다.
a 한민족의 원형적 문화 찾기
b 무속 세계관의 미적 탐구
c 한국적 문화양상으로써 서양의 것과 접목
d 무속집단에 대한 조명 양종승, 「기획주제 : 미디어와 도시민속학 ; 무속 소재 TV 드라마와 한국 사회 -MBC TV 일일드라마 \"왕꽃선녀님\"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민속학 연구소, 2005, p2.
오늘날에 맞게 변화창출접목의 현상을 거치면서 무속은 나름대로의 전통을 계승해 나가고 창출해 내고 있다. 동시에 무속의 전통뿐만 아니라 국가적인 이미지로 한국의 전통을 조명하는 데에도 기여한다. 이는 곧 한민족의 원형적 문화를 계승하고 발전시킴으로써 한민족 자체의 전통을 계승하는 차원이기도 하다.
세계화를 논하는 현대 사회에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라 논하면서, 한국적인 것을 찾아 나서려는 움직임이 시도되고 있다. 무속의 기원이 언제부터인지는 정확하게 알 수 없지만 많게는 고대 이전까지 거슬러 올라간다. 오랜 시간에 걸쳐 전승된 무속은 구전으로 전승되어 왔다. 구전으로 전승되는 민속 문화는 구전전승이 행해지면서 그들의 사고체계가 담긴다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한국 무속에도 한국인의 사고체계가 반영될 것이라 여겨진다. 곧 한국의 무속은 한국인의 사고를 포함한 한국 전통을 대표하는 것 중 하나라고도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한국적인 것을 찾으려는 시도가 생겨나면서 무속도 빼놓을 수 없는 자료이다. 콘텐츠가 각광받는 오늘날 사회에서 한국의 전통이라 할 수 있는 무속문화를 이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함으로써 무속은 전통 계승의 의미를 지니며, 새로운 무속의 지평을 열었다는 점에서 창출의 의미도 동시에 가진다고 볼 수 있겠다.
‘무속의 전통계승과 창출의 의미 및 지평’은 무속을 이용한 만화, 축제, 물질 등 넓은 범위의, 즉 전반적인 의미이자 지평모색이다. 오늘날의 무속이 제 위치를 확립하며 계승되기 위해서는 전통계승과 창출의 의미를 지니는 것은 당연한 것이므로 총체적인 의미라 할 수 있다. 따라서 Ⅳ장에서 밝히고자 한 전통계승과 창출의 의미 모색은 본고 Ⅴ장과 밀접한 관련을 맺으므로 자세한 사례와 내용 제시는 Ⅴ장에서 다루도록 하겠다.
Ⅴ. ‘볼거리 제공 및 콘텐츠의 원천적 소스’로의 의미 및 지평 모색
세계화의 과정에서 한국이라는 것을 인식하고 자기 정당화를 위한 일이 필요하게 되었다. ‘한국적인 것이 무엇이냐’라는 물음은 세계화에 대한 자기 정당화에 불과하다. 여기서 가장 한국적인 것의 하나로 등장한 것이 무속신앙이다. 무속을 긍정적으로 보아서라기보다는 한국적인 것이기 때문이라는 경향이 강할 것이다. 강용권, 『무속신앙의 현대적 의미고찰』, 「靑泉 姜龍權 博士 頌壽 紀念 論叢」, 同刊行委員會, 1986.
한국 사회에서 무속을 소재로 한 예술화 작업은 오래된 일이다. 영화, 연극, 무용, 음악 등 무형적 표현의 예술분야는 물론이고 미술, 디자인, 장식 등 유형적 표현의 예술분야까지 광범위하게 다루어져 왔다. 양종승, 「기획주제 : 미디어와 도시민속학 ; 무속 소재 TV 드라마와 한국 사회 -MBC TV 일일드라마 \"왕꽃선녀님\"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민속학 연구소, 2005.
이렇듯 무속을 주제로 한 여러 콘텐츠들이 제작되고 있으며, 무속을 주제로 한 지역축제들도 대두되고 있다. ‘은산별신제’, ‘강릉 단오제’, 그리고 ‘탐라국 입춘 굿 놀이’ 등 좁은 범위의 마을굿에 해당되었던 것들이 어느새 전 세계적인 축제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또한 ‘바리데기’와 ‘원천강 본풀이’ 등 구전되어 온 무가들은 소설 및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되어 무속의 전통을 계승하고 있다. 이 뿐만 아니라 2004년에는 ‘왕꽃선녀님’이라는 드라마에서 신병에 걸린 여성을 주인공으로 삼기도 했다.
다음에서 무속을 이용한 대표적인 콘텐츠들의 예를 통해, 오늘날 무속이 콘텐츠로서 가지는 의미에 대해 보다 자세하게 살펴 볼 것이다.
1. 드라마로 탄생한 무속, ‘왕꽃선녀님’
‘왕꽃선녀님’은 2004년 MBC에서 인기몰이를 한 드라마이다. 혈통으로 대물림되는 무계집안의 무당이야기이다. 동시에 현대인의 운명을 영적 세계에서 다루고 있는 현대적 감각의 텔레비전 예술극이다. 따라서 무속의 영적 세계를 중심으로 조명된 드라마 ‘왕꽃선녀님’의 극적구도는 무신 존재 인식, 신병이래, 무당의 인간성 도덕성 윤리성 회복 등으로 되어 있다. 양종승, 「기획주제 : 미디어와 도시민속학 ; 무속 소재 TV 드라마와 한국 사회 -MBC TV 일일드라마 \"왕꽃선녀님\"을 중심으로-」, 경희대학교 민속학 연구소, 2005.
드라마의 시놉시스 참고사이트: http://www.imbc.com/broad/tv/drama/fairy/story/index.html
는 다음과 같다.
A화목한 집안에서 자란 주인공, 초원은 부유한 집안의 능력있는 정수와 약혼함

B초원은 친구들과 나이트클럽에 갔다가, 대형 스피커에 올라가 있는 귀신들을 보고 기절함

C초원은 본격적으로 밥맛이 없고 어깨를 누가 누르는 거 같고 기운이 없는 등 병원에 가도 원인을 알 수 없는 증세가 심해짐

D초원은 단순한 두통과 피곤으로 인한 증세로 치부함

E초원네 식구들은 점점 심각해지는 초원의 증세에 결국 무병임을 알아차림

F친할아버지 백광은 집안에 먹칠을 할 수 없다며 초원을

키워드

무속,   현대적 변용,   굿,   사제,   무당,   역할
  • 가격3,500
  • 페이지수17페이지
  • 등록일2011.06.28
  • 저작시기2010.6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68702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