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
Ⅱ. 관광인프라에 관한 이론적 고찰 2
1. 관광인프라의 개념 및 유형 2
2. 관광인프라의 구성요소 3
Ⅲ. 당진군의 관광인프라 현황 및 문제점 5
1. 당진군의 관광인프라 현황분석 5
2. 당진군의 관광인프라 문제점 10
Ⅳ. 당진군의 관광인프라 구축방안 12
1. 관광인력 측면 12
2. 관광시설 측면 14
3. 관광자원 측면 15
4. 관광정책 측면 15
Ⅴ. 결론 17
1. 연구결과의 요약 17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18
< 참고 문헌 > 19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
2. 연구의 방법 및 구성 1
Ⅱ. 관광인프라에 관한 이론적 고찰 2
1. 관광인프라의 개념 및 유형 2
2. 관광인프라의 구성요소 3
Ⅲ. 당진군의 관광인프라 현황 및 문제점 5
1. 당진군의 관광인프라 현황분석 5
2. 당진군의 관광인프라 문제점 10
Ⅳ. 당진군의 관광인프라 구축방안 12
1. 관광인력 측면 12
2. 관광시설 측면 14
3. 관광자원 측면 15
4. 관광정책 측면 15
Ⅴ. 결론 17
1. 연구결과의 요약 17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18
< 참고 문헌 > 19
본문내용
하고 온라인상과 오프라인 상에서 공동으로 추진하는 것이다. 다시 말해, 소비자중심의 소프트상품을 개발하는데 민간기업체가 반드시 참여해야 한다는 판단을 통하여 국내 유명 여행사들과 업무제휴를 체결하여 본격적인 상품이 개발되어야 한다.
Ⅴ.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본 연구는 당진이 서해안시대의 관광허브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당진이 보유한 관광의 잠재적 자원인 자연자원, 인문자원, 시설자원 등 당진이 보유한 잠재적 관광자원을 발굴하여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Sustainable)이고 유산적 가치(Mitigation)를 지닌 관광인프라 구축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었다.
현재 당진군의 관광인프라 현황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관광인력, 관광시설, 관광자원, 관광정책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인력에 대한 문제점은, ①잦은 업무이동으로 홍보, 마케팅, 개발 등의 담당업무에 전문성이 있는 인력이 부족하다. ②관광관련 교육 및 훈련의 부족으로 관련정보 및 지식, 기술 측면에서 미흡하다. ③홍보전문 인력, 인터넷마케팅 전문인력 등 분야별로 특화된 전문 인력이 미흡하다. ④관광개발대상지 지역민의 개발에 대한 그릇된 인식과 주민들 간의 갈등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⑤관광패턴이 다양화되고 전문적 지식을 갖춘 안내인력 수요가 늘어나는데 비해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
둘째, 관광시설에 대한 문제점은, ①숙박을 비롯한 관광시설인프라의 부족으로 관광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숙박지가 부족하다. ②각종 테마공원, 놀이시설, 먹을거리 장소, 주차장, 생태공원과 같은 교육 및 휴식장소 등이 부족하다. ③특성화된 해양인프라를 갖추지 못하고, 항포구별로 특화된 아이덴티티(Identity)가 미약하다. ④특화된 교통인프라가 없고, 연계성도 뚜렷하지 못하다. ⑤관광안내 표지판을 비롯한 안내시스템이 부족하다.
셋째, 관광자원에 대한 문제점은, ①친수공간을 이용하여 관광자원화가 가능한 공간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자원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②지역축제와 무형문화제에 대한 적극적인 육성 지원이 미흡하며 당진만의 독특한 문화예술의 창조적 기반이 미약하다. ③빠른 산업화로 인해 자연자원의 훼손과 빠른 지가 상승으로 관광지개발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④관광자원에 대한 군민들의 인식 및 자연환경과 지역문화의 소중함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다.
넷째, 관광정책에 대한 문제점은, ①관광산업은 수지개선 및 고용창출, 지역경제개발 등 긍정적 파급효과가 광범위하나 관광에 대한 인식이 아직은 타 부문에 비하여 낮다. ②중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수립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투자와 관리가 미흡하다. ③예산을 배정하는 데 있어서 관광정책의 계획실행 차원에서 관리되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 ④관광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당진군의 관광인프라 현황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한 관광인프라 구축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인력 측면에서는 ①관광객의 수요에 대응, ②전문 인력 충원, ③지속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실시, ④관광전문인력화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관광시설 측면에서는 ①하드웨어 인프라 구축, ②숙박인프라 구축, ③관광안내시스템 구축, ④관광교통인프라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관광자원 측면에서는 ①문화 및 공연예술 공간 설치, ②쾌적한 친수공간 조성, ③체험과 교육할 수 있는 시설인프라 뒷받침 등을 제시하였다.
넷째, 관광정책 측면에서는 ①문화 인프라에 대한 지원, ②환경적, 지리적 여건 최대한 활용, ③관광 IT인프라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구축, ④생태보전, 자연보호에 대한 대책 강구, ⑤선택과 집중의 원칙 적용, ⑥민관 Win-Win 협력체계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본 연구는 관광인프라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해 봄으로써 새로운 해양관광 문화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당진군 관광인프라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연구과정에서 한계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본 연구에서 관련 자료 및 문헌이 부족하였는데, 특히 관광인프라의 성공적인 구축사례에 대한 자료획득이 어려워 국내 사례와 비교분석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또한 제한된 개인의 능력부족, 전문적인 지식의 결여로 자료의 수집이 미진하였거나 해석상의 오류도 있을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관광인프라 구축방안 중에는 여러 가지 제한 요소 때문에 현실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조사 범위를 좀 더 확대하고, 합리적인 조사와 실증적 사례를 통한 후속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선도적인 해양관광의 국내외의 도시와 비교하여 인프라구축을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참고 문헌 >
[1] 고의수, “중국관광객 유치를 위한 관광인프라 확충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 김문기, “한반도 접경지역 관광개발에 관한 연구 : 판문점 지역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 나재암, “서울시 관광특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4] 당진군, 당진통계연보, 2009
[5] 문화관광부, “서해안권 광역관광개발계획”, 문화관광부, 2006
[6] 박석희, 신관광자원론, 일신사, 2001
[7] 박철희, “당진의 현재와 발전방향”, 충남발전연구원, 2010
[8] 이미혜, 관광개발론, 대왕사, 1999
[9] 이장춘, 관광개발정책론, 창문각, 1983
[10] 이장춘, 관광정책학, 대왕사, 1996
[11] 이장춘, 최신관광자원론, 대왕사, 1997
[12] 정형기, “중소도시 관광인프라 구축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3] 조광익김남조, “관광의 영향이 지역주민의 태도와 관광개발에 미치는 구조효과분석”, 관광학 연구 제26권 제2호 통권39호, 2002
[14] 한국관광공사, “관광시설의 발전전망", 관광시장정보, 2000
[15] Frdgen & Joseph, Dinension of Tourism 1991
Ⅴ.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
본 연구는 당진이 서해안시대의 관광허브로 자리잡을 수 있도록, 당진이 보유한 관광의 잠재적 자원인 자연자원, 인문자원, 시설자원 등 당진이 보유한 잠재적 관광자원을 발굴하여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Sustainable)이고 유산적 가치(Mitigation)를 지닌 관광인프라 구축방안을 제시하는데 그 의의가 있었다.
현재 당진군의 관광인프라 현황을 파악하여 이에 대한 문제점을 관광인력, 관광시설, 관광자원, 관광정책으로 나누어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인력에 대한 문제점은, ①잦은 업무이동으로 홍보, 마케팅, 개발 등의 담당업무에 전문성이 있는 인력이 부족하다. ②관광관련 교육 및 훈련의 부족으로 관련정보 및 지식, 기술 측면에서 미흡하다. ③홍보전문 인력, 인터넷마케팅 전문인력 등 분야별로 특화된 전문 인력이 미흡하다. ④관광개발대상지 지역민의 개발에 대한 그릇된 인식과 주민들 간의 갈등이 심하게 나타나고 있다. ⑤관광패턴이 다양화되고 전문적 지식을 갖춘 안내인력 수요가 늘어나는데 비해 전문 인력이 부족하다.
둘째, 관광시설에 대한 문제점은, ①숙박을 비롯한 관광시설인프라의 부족으로 관광객들이 이용할 수 있는 숙박지가 부족하다. ②각종 테마공원, 놀이시설, 먹을거리 장소, 주차장, 생태공원과 같은 교육 및 휴식장소 등이 부족하다. ③특성화된 해양인프라를 갖추지 못하고, 항포구별로 특화된 아이덴티티(Identity)가 미약하다. ④특화된 교통인프라가 없고, 연계성도 뚜렷하지 못하다. ⑤관광안내 표지판을 비롯한 안내시스템이 부족하다.
셋째, 관광자원에 대한 문제점은, ①친수공간을 이용하여 관광자원화가 가능한 공간들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이에 대한 자원개발이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②지역축제와 무형문화제에 대한 적극적인 육성 지원이 미흡하며 당진만의 독특한 문화예술의 창조적 기반이 미약하다. ③빠른 산업화로 인해 자연자원의 훼손과 빠른 지가 상승으로 관광지개발에 부담이 가중되고 있다. ④관광자원에 대한 군민들의 인식 및 자연환경과 지역문화의 소중함에 대한 인식이 미흡하다.
넷째, 관광정책에 대한 문제점은, ①관광산업은 수지개선 및 고용창출, 지역경제개발 등 긍정적 파급효과가 광범위하나 관광에 대한 인식이 아직은 타 부문에 비하여 낮다. ②중장기적인 계획을 가지고 수립되어야 하며 지속적인 투자와 관리가 미흡하다. ③예산을 배정하는 데 있어서 관광정책의 계획실행 차원에서 관리되어야 하지만 그렇지 못하다. ④관광정책을 일관성 있게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이러한 당진군의 관광인프라 현황 및 문제점 분석을 통한 관광인프라 구축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인력 측면에서는 ①관광객의 수요에 대응, ②전문 인력 충원, ③지속적이고 전문적인 교육 실시, ④관광전문인력화 등을 제시하였다.
둘째, 관광시설 측면에서는 ①하드웨어 인프라 구축, ②숙박인프라 구축, ③관광안내시스템 구축, ④관광교통인프라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셋째, 관광자원 측면에서는 ①문화 및 공연예술 공간 설치, ②쾌적한 친수공간 조성, ③체험과 교육할 수 있는 시설인프라 뒷받침 등을 제시하였다.
넷째, 관광정책 측면에서는 ①문화 인프라에 대한 지원, ②환경적, 지리적 여건 최대한 활용, ③관광 IT인프라의 체계적이고 효율적인 구축, ④생태보전, 자연보호에 대한 대책 강구, ⑤선택과 집중의 원칙 적용, ⑥민관 Win-Win 협력체계 구축 등을 제시하였다.
2. 연구의 한계점 및 향후 연구과제
본 연구는 관광인프라에 대한 기존 연구들을 고찰해 봄으로써 새로운 해양관광 문화도시로의 도약을 위한 당진군 관광인프라 구축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모든 연구과정에서 한계점이 있다고 할 수 있다. 우선 본 연구에서 관련 자료 및 문헌이 부족하였는데, 특히 관광인프라의 성공적인 구축사례에 대한 자료획득이 어려워 국내 사례와 비교분석을 수행하지 못하였다. 또한 제한된 개인의 능력부족, 전문적인 지식의 결여로 자료의 수집이 미진하였거나 해석상의 오류도 있을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제시한 관광인프라 구축방안 중에는 여러 가지 제한 요소 때문에 현실에 그대로 적용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을 수 있음을 밝혀둔다.
향후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극복하기 위해 조사 범위를 좀 더 확대하고, 합리적인 조사와 실증적 사례를 통한 후속 연구가 많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며, 특히 선도적인 해양관광의 국내외의 도시와 비교하여 인프라구축을 연구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으로 판단된다.
< 참고 문헌 >
[1] 고의수, “중국관광객 유치를 위한 관광인프라 확충방안 연구”, 연세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2] 김문기, “한반도 접경지역 관광개발에 관한 연구 : 판문점 지역을 중심으로”,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7
[3] 나재암, “서울시 관광특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명지대학교 행정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4] 당진군, 당진통계연보, 2009
[5] 문화관광부, “서해안권 광역관광개발계획”, 문화관광부, 2006
[6] 박석희, 신관광자원론, 일신사, 2001
[7] 박철희, “당진의 현재와 발전방향”, 충남발전연구원, 2010
[8] 이미혜, 관광개발론, 대왕사, 1999
[9] 이장춘, 관광개발정책론, 창문각, 1983
[10] 이장춘, 관광정책학, 대왕사, 1996
[11] 이장춘, 최신관광자원론, 대왕사, 1997
[12] 정형기, “중소도시 관광인프라 구축연구”,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07
[13] 조광익김남조, “관광의 영향이 지역주민의 태도와 관광개발에 미치는 구조효과분석”, 관광학 연구 제26권 제2호 통권39호, 2002
[14] 한국관광공사, “관광시설의 발전전망", 관광시장정보, 2000
[15] Frdgen & Joseph, Dinension of Tourism 199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