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들어가는말
제1부 중세 신비주의의 이해
1.신비주의의 정의
2.신비주의의 형성과정
3.중세시대의 신비주의
1) 클레르보의 성 베르나르두스
2) 성 보나벤투라
3) 성 토마스 아퀴나스
4. 스콜라주의 이후의 신비주의자들
5.맨발의 까르멜수도회
6.프로테스탄트의 신비주의
1) 재세례파
2) ‘사랑의 가족’
3) 야콥 뵈메(1575~1624)
4) 퀘이커교
5) 18세기 이후
6) 19-20세기
제2부 [마틴루터의 독일신학]의 신비주의
1. [마틴루터의 독일신학]의 배경
2. [독일신학]과 신비신학
3. “하나님의 친구들”
4. 요한 타울러
5.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6. 루터와 수도원 입문
1)루터의 영적 시험들
2)루터의 수도원 생활
7. [마틴루터의 독일신학]에 나타나는 신비주의
1)자기부인과 포기
2)진정한 자유와 순종
3) 인간이 경계해야 할것.
제 3부 루터의 구원론과 신비주의
: 신비 용어 사용 중심으로
1. excessus
2. raptus
3. gemitus
-맺는 말
제1부 중세 신비주의의 이해
1.신비주의의 정의
2.신비주의의 형성과정
3.중세시대의 신비주의
1) 클레르보의 성 베르나르두스
2) 성 보나벤투라
3) 성 토마스 아퀴나스
4. 스콜라주의 이후의 신비주의자들
5.맨발의 까르멜수도회
6.프로테스탄트의 신비주의
1) 재세례파
2) ‘사랑의 가족’
3) 야콥 뵈메(1575~1624)
4) 퀘이커교
5) 18세기 이후
6) 19-20세기
제2부 [마틴루터의 독일신학]의 신비주의
1. [마틴루터의 독일신학]의 배경
2. [독일신학]과 신비신학
3. “하나님의 친구들”
4. 요한 타울러
5. 마이스터 에크하르트
6. 루터와 수도원 입문
1)루터의 영적 시험들
2)루터의 수도원 생활
7. [마틴루터의 독일신학]에 나타나는 신비주의
1)자기부인과 포기
2)진정한 자유와 순종
3) 인간이 경계해야 할것.
제 3부 루터의 구원론과 신비주의
: 신비 용어 사용 중심으로
1. excessus
2. raptus
3. gemitus
-맺는 말
본문내용
ation)으로서 gemitus와 관련짓고 있다” 변길용, [마틴루터의 구원론과 중세영성,], 한국학술정보(주) 2007, p.132에서 오버만 재인용함.
그에 의하면 루터에게 있어서 gemitus는 인간의 무능성과 하나님에 대한 전적 의존성을 의미한다. 특히 루터가 synderesis의 의미를 스콜라주의의 의미와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만 하다. 그는 synderesis를 인간의 능력 혹은 신인협력성과 분리시켜, 단순히 인간에게 가야 할 목표만을 지시하는 기관으로만 인정하였다. 결국 루터는 자신의 구원론을 다루면서 중세 스콜라주의와 독일신비주의신학의 신비적 용어들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그 의미들을 답습하는 대신, 믿음의 틀 안에서 새롭게 해석해냄을 볼 수 있다. 특별히 단순한 법정적 칭의라는 사법적이고 객관적 의미로는 구원의 입체성과 전체성을 파악하기 힘든 면이 있다. 그러나 루터는 excessus, raptus, 그리고 gemitus의 용어를 통해 경험적, 신비적, 초월적 역사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오버만은 사색(speculation)이 아닌, 실재성(reality)라는 점에서 이부분을 강조한다. 변길용, [마틴루터의 구원론과 중세영성,], 한국학술정보(주) 2007, pp.133-135
그만큼 경험적 차원으로서의 구원론이 루터에게 있어서 강조됨을 주장하기를 원하였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용어들을 확인하면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해 법정적 칭의론과 함께 그의 성화론이 자연스럽게 흡수될 수 있으며 또한 루터의 신비주의적 요소가 긍정적으로 인정될 수 있었다. 또한 신화교리를 직접 받아들이기는 힘들지만 그 교리의 긍정적 요소들을 루터가 흡수하여 중세의 신비주의와 함께 자신의 구원론 속에 용해시켰음을 보았다. 루터는 중세 신비주의 특히 그리스도 중심적인 신비주의적 배경을 갖고 자신의 구원론을 펼쳐 나갔다.
-맺는말
본 연구를 통해 루터와 신비주의에 대한 연구로서, 중세 신비주의를 통해 신비주의가 무엇인지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독일신학]을 살펴봄으로 그 저술 배경과 루터와의 연관성을 보았다. 마지막으로 실제적으로 루터의 구원론에 있어 신비적인 요소를 확인했다. 그러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는다.
첫째, 기독교 신비주의에 대한 이해이다. 기독교 신비주의는 하나님과 인간과의 신비적 합일을 통해 극복하는 것이고 이 합일은 존재의 근원자인 하나님에게로 돌아감을 의미하는데 그것은 ‘정화’와 ‘조명’과 ‘연합’이었다. ‘자기부인’과 경건적 삶에서 자기 영혼을 정화하고 하나님의 모습을 보거나 하나님의 조명을 받아 신비적 체험을 통한 하나님과 일치에서 하나님과 하나가 되며 그 영혼이 하나님 안에서 평안과 안식을 느끼는 것이다. 그 결과 성령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따르는 삶으로 인도하는 것이다.
둘째는 루터가 감명받은 익명의 [독일신학]이 하나님의 친구들 운동 단체와 깊은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그 내용은 그것은 중세 교회에 대한 반발이며 교회의 백성들에 대한 신앙적 공포심을 주입한 것에 대한 처방에 대한 면죄의 보상에 반기를 들고 교황이나 사재의 중재가 아닌 하나님과의 깊은 합일을 통해 하나님의 존재를 인식하려는 시도였다. 이러한 것이 [독일신학]의 형성 근거가 되었고 이것이 루터에게 큰 영향을 미친것이며 후에 종교개혁의 큰 영적 원동력이 되었다.
셋째는 독일 신비주의가 초기의 그의 경건훈련 및 개신교적 경건을 이루는 과정이 되었음을 확인한다. 결국 루터는 자기 자신을 비우고 그리스도를 따라 간다는 신비주의적 경건자체를 의미있게 보고 올라가는 신앙이 아닌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은총의 신학임을 깨닫는다. 그러므로 [오직 믿음]으로 [오직 은총]으로 구원을 받는 루터신학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래의 중세의 상향적 신비주의를 역시나 인간적 행위로 보고 배격하였지만 순수한 프로테스탄트적 신비주의 영성은 그의 구원론의 여러 가지 신비용어를 채택함으로 초기의 영향으로 끝난 것이 아닌 건전한 영성으로 승화되어 그의 신학 곳곳에 건전하게 스며있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결국 루터는 독일의 신비주의의 영향 아래에 있었지만 그의 수도원생활과 여러 가지 깨달음을 통해 얻은 것은 그러한 방법으로는 하나님께 나아가지 못함을 깨닫고 오직 십자가만이 우리의 신학이다(CRUX SOLA EST NOSTRA THEOLOGIA))WA 5.176.32-3) 알리스터 맥그래스, [루터의 십자가 신학], 정진오 최대열 공역, 컨콜디아사 2006, p.25
라는 대명제로 오늘날까지 살아있는 신앙과 신학을 전수하고 그리스도께로 인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 참고 문헌-
번역서<
마틴루터, [마틴루터의 독일신학], 최대형역, 은성, 2003
버나드 맥긴 외, [기독교 영성 2] 중세부터 종교개혁까지, 엄성욱 외, 은성, 2004
로버트 G. 투틀, [웨슬레와 신비주의], 권태형 역, 은성, 1993
칼 하인츠 츠어 뮐렌,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 정병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3
베른하르트 로제, [마틴루터의 신학], 정병식 역, 한국신학연구소, 2009
베른하르트 로제, [루터연구입문], 이형기 역,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7
알리스터 맥그래스, [루터의 십자가 신학], 정진오 최대열 공역, 컨콜디아사, 2006
휴 T. 커어 편저, [루터신학개요], 김영한 역, 총회출판국, 1991
국내서적<
이형기, [종교개혁 신학사상], 장로회신학대학출판부, 1993
변길용, [마틴루터의 구원론과 중세영성,], 한국학술정보(주), 2007
이대복, [이단종합연구(Heresy Synthesis Research)], 큰샘출판사, 2000
학술지<
김기련, [독일 신비주의와 종교개혁], 신학과 현장 제5집, 1995
국내논문<
박성민, 석사학위논문, [마틴 루터의 영성신학의 발전과정에 대한 역사적 고찰], 감리교 신학대학원, 2007
김창남, 석사학위논문, [독일 신비주의에 대한 이해], 목원대학교, 2002
나상문, 석사학위논문, [[독일신학]과 루터사상의 관계연구], 한영신학교, 2005
김창남, 석사학위논문, [독일 신비주의에 대한 이해], 목원대학교, 2002
그에 의하면 루터에게 있어서 gemitus는 인간의 무능성과 하나님에 대한 전적 의존성을 의미한다. 특히 루터가 synderesis의 의미를 스콜라주의의 의미와 다르게 해석하고 있다는 점은 매우 주목할만 하다. 그는 synderesis를 인간의 능력 혹은 신인협력성과 분리시켜, 단순히 인간에게 가야 할 목표만을 지시하는 기관으로만 인정하였다. 결국 루터는 자신의 구원론을 다루면서 중세 스콜라주의와 독일신비주의신학의 신비적 용어들을 충분히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그는 그 의미들을 답습하는 대신, 믿음의 틀 안에서 새롭게 해석해냄을 볼 수 있다. 특별히 단순한 법정적 칭의라는 사법적이고 객관적 의미로는 구원의 입체성과 전체성을 파악하기 힘든 면이 있다. 그러나 루터는 excessus, raptus, 그리고 gemitus의 용어를 통해 경험적, 신비적, 초월적 역사를 함께 볼 수 있도록 해 주고 있다. 오버만은 사색(speculation)이 아닌, 실재성(reality)라는 점에서 이부분을 강조한다. 변길용, [마틴루터의 구원론과 중세영성,], 한국학술정보(주) 2007, pp.133-135
그만큼 경험적 차원으로서의 구원론이 루터에게 있어서 강조됨을 주장하기를 원하였던 것임을 알 수 있다.
용어들을 확인하면서 그리스도와의 연합을 통해 법정적 칭의론과 함께 그의 성화론이 자연스럽게 흡수될 수 있으며 또한 루터의 신비주의적 요소가 긍정적으로 인정될 수 있었다. 또한 신화교리를 직접 받아들이기는 힘들지만 그 교리의 긍정적 요소들을 루터가 흡수하여 중세의 신비주의와 함께 자신의 구원론 속에 용해시켰음을 보았다. 루터는 중세 신비주의 특히 그리스도 중심적인 신비주의적 배경을 갖고 자신의 구원론을 펼쳐 나갔다.
-맺는말
본 연구를 통해 루터와 신비주의에 대한 연구로서, 중세 신비주의를 통해 신비주의가 무엇인지 확인해 보았다. 그리고 [독일신학]을 살펴봄으로 그 저술 배경과 루터와의 연관성을 보았다. 마지막으로 실제적으로 루터의 구원론에 있어 신비적인 요소를 확인했다. 그러면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는다.
첫째, 기독교 신비주의에 대한 이해이다. 기독교 신비주의는 하나님과 인간과의 신비적 합일을 통해 극복하는 것이고 이 합일은 존재의 근원자인 하나님에게로 돌아감을 의미하는데 그것은 ‘정화’와 ‘조명’과 ‘연합’이었다. ‘자기부인’과 경건적 삶에서 자기 영혼을 정화하고 하나님의 모습을 보거나 하나님의 조명을 받아 신비적 체험을 통한 하나님과 일치에서 하나님과 하나가 되며 그 영혼이 하나님 안에서 평안과 안식을 느끼는 것이다. 그 결과 성령은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를 따르는 삶으로 인도하는 것이다.
둘째는 루터가 감명받은 익명의 [독일신학]이 하나님의 친구들 운동 단체와 깊은 연관이 있다는 것이다. 그 내용은 그것은 중세 교회에 대한 반발이며 교회의 백성들에 대한 신앙적 공포심을 주입한 것에 대한 처방에 대한 면죄의 보상에 반기를 들고 교황이나 사재의 중재가 아닌 하나님과의 깊은 합일을 통해 하나님의 존재를 인식하려는 시도였다. 이러한 것이 [독일신학]의 형성 근거가 되었고 이것이 루터에게 큰 영향을 미친것이며 후에 종교개혁의 큰 영적 원동력이 되었다.
셋째는 독일 신비주의가 초기의 그의 경건훈련 및 개신교적 경건을 이루는 과정이 되었음을 확인한다. 결국 루터는 자기 자신을 비우고 그리스도를 따라 간다는 신비주의적 경건자체를 의미있게 보고 올라가는 신앙이 아닌 하늘로부터 내려오는 은총의 신학임을 깨닫는다. 그러므로 [오직 믿음]으로 [오직 은총]으로 구원을 받는 루터신학을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래의 중세의 상향적 신비주의를 역시나 인간적 행위로 보고 배격하였지만 순수한 프로테스탄트적 신비주의 영성은 그의 구원론의 여러 가지 신비용어를 채택함으로 초기의 영향으로 끝난 것이 아닌 건전한 영성으로 승화되어 그의 신학 곳곳에 건전하게 스며있는 것을 살펴 볼 수 있었다.
결국 루터는 독일의 신비주의의 영향 아래에 있었지만 그의 수도원생활과 여러 가지 깨달음을 통해 얻은 것은 그러한 방법으로는 하나님께 나아가지 못함을 깨닫고 오직 십자가만이 우리의 신학이다(CRUX SOLA EST NOSTRA THEOLOGIA))WA 5.176.32-3) 알리스터 맥그래스, [루터의 십자가 신학], 정진오 최대열 공역, 컨콜디아사 2006, p.25
라는 대명제로 오늘날까지 살아있는 신앙과 신학을 전수하고 그리스도께로 인도하고 있다는 것이다.
- 참고 문헌-
번역서<
마틴루터, [마틴루터의 독일신학], 최대형역, 은성, 2003
버나드 맥긴 외, [기독교 영성 2] 중세부터 종교개혁까지, 엄성욱 외, 은성, 2004
로버트 G. 투틀, [웨슬레와 신비주의], 권태형 역, 은성, 1993
칼 하인츠 츠어 뮐렌, [종교개혁과 반종교개혁], 정병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3
베른하르트 로제, [마틴루터의 신학], 정병식 역, 한국신학연구소, 2009
베른하르트 로제, [루터연구입문], 이형기 역, 크리스찬다이제스트, 1997
알리스터 맥그래스, [루터의 십자가 신학], 정진오 최대열 공역, 컨콜디아사, 2006
휴 T. 커어 편저, [루터신학개요], 김영한 역, 총회출판국, 1991
국내서적<
이형기, [종교개혁 신학사상], 장로회신학대학출판부, 1993
변길용, [마틴루터의 구원론과 중세영성,], 한국학술정보(주), 2007
이대복, [이단종합연구(Heresy Synthesis Research)], 큰샘출판사, 2000
학술지<
김기련, [독일 신비주의와 종교개혁], 신학과 현장 제5집, 1995
국내논문<
박성민, 석사학위논문, [마틴 루터의 영성신학의 발전과정에 대한 역사적 고찰], 감리교 신학대학원, 2007
김창남, 석사학위논문, [독일 신비주의에 대한 이해], 목원대학교, 2002
나상문, 석사학위논문, [[독일신학]과 루터사상의 관계연구], 한영신학교, 2005
김창남, 석사학위논문, [독일 신비주의에 대한 이해], 목원대학교, 20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