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더쉽 강의를 듣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리더쉽 강의를 듣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새 새대를 열어갈 우리들의 리더십

진정한 시민사회의 리더란?

최근 카리스마의 경향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보고

남녀와 커뮤니케이션

턱, 차별, 아픔이 없는 리더

토론하는 리더

마지막 21세기 리더십 강의

본문내용

스러움에만 빠져있던 나를 하루바삐 고쳐야 한다고 생각했다. 10개를 설명들을 때 10개가 전부 내 귀에 들어오지 않을 때가 대부분이다. 하지만 이번 강연은 10개중 1개라도 내 가슴에 와 닿고 귀에 들어왔다. 무언가 얻어간다는 기분을 정말 오랜만에 느껴본다.
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보고
\"죽은 시인의 사회\"의무대인 웰튼 아카데미는 미국 내에서 아이비리그 진학률이 가장 높은 사립 고등학교 가운데 하나로 해마다 졸업생의 70%이상이 아이비리그로 진학한다. 학생들의 철저하고 엄격한 기숙사 생활교육 아래 교육의 목표는 오직 아이비리그 진학이다. 그것은 학교가 바라는 것이었고 학부모들이 바라는 것이었다. 그리고 학생들 자신들도 그렇게 되기를 원했다. 학교는 그것을 오래된 전통으로 목숨처럼 지켰고 학부모들은 그런 웰튼 아카데미를 믿고 자식들을 학교로 보냈다. 학생들은 점점 기형적인모습으로 변해갔지만 그것을 이상하게 생각하는 학생들은 아무도 없었다. 이러한 웰튼 아카데미에 존 키팅이란 젊은 국어 선생이오면서 학교는 잔잔한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국어교사로 나타는 그는 다른 교사들과 달랐다. 첫 수업부터 학생들에게 명문대 합격을 위한 맹목적인 공부보다는 스스로 생각하고 스스로 인생을 설계하는 창조적인 삶을 위한 공부를 할 것을 요구했다. 학생들로 하여금 주체적인 판단을 가로막는 그 모든 억압과 그 모든 굴절된 삶의 방식에서 벗어나 거칠 것 없이 능동적으로 살아가는 독립적이고개성이강한인간이되기를가르쳤다. 그런 그가 학생들에게 던진 한마디는 ‘카르페 디엠’ 곧 ‘오늘을 즐겨라’였다. 학생들은 스스로 문제점들을 느껴 가면서 조금씩 변화하기 시작했다. 키팅 선생님의 가르침에 가장 먼저 변화를 보인 것은 닐과 그의 친구들이었다. 닐은 웰튼 아카데미최고의 모범생으로 학업 성적도 가장 뛰어났다. 닐은 친구들과 함께 ‘죽은 시인의 사회’ 라는 비밀 조직을 만든다. 그리고 ‘부모님이 원하는 것을 하던 삶’에서‘자기 자신이 원하는 것을 하는 삶’으로 스스로를 점점 바꾸어 간다. 이 소설은 이러한 변화의 과정을 섬세하게 묘사한다. 늘 자신 없고 무기력하기만 하던 토드 앤더슨은 키팅 선생을 만난 뒤부터 활기차고 자신감 넘치는 모습으로 변해간다. 다른 사람 앞에서 큰 소리로 대답하는 것조차 어려워하던 토드는 자작시까지 짓고 그 시를 친구들 앞에서 낭독하기에 이른다. 이러한 토드의 변화는 소설 결말에서 절정에 이르게 되는데 키팅 선생을 징계하기 위한 거짓된 서류에 그는 끝내 서명하지 않는다. 토드보다 더 적극적으로 ‘죽은 시인의 사회’ 모임에 참여했던 낙스와 믹스가 학교 쪽의 강요를 못 이겨 서명한 것에 견주면 토드가 얼마나 용감한 학생으로 바뀌었는지 잘 알 수 있다. 토드의 변화와 함께 닐이 새로운 자아를 찾아가는 모습 역시 감동적이다. 닐은 단 한번도 아버지의 말을 거역한 적이 없는 학생이었다. 그런데 이 소설에서 닐은 처음이자 마지막으로 아버지의 명령을 거부한다. 그리고 자기가 하고 싶어 했던 연극을 열정적으로 마무리 짓고 스스로 목숨을 끊고 만다. 토드와 닐이 힘겹게 찾아가는 참된 자아의 모습, 여기에다 사랑하는 여자친구 크리스를 위한 낙스의 엉뚱한 행동과 웰튼 아카데미를 상대로 일종의 공개적인 불만을 드러낸 달튼의 독특한 행동은 키팅 선생의 창조적이고 자율적인 가르침이 실천적으로 드러나는 좋은 예라고 할 수 있다. 닐의 자살과 존 키팅이 학교를 떠나는 것으로 이야기는 마무리되지만 그렇다고 비극적으로 끝나는 것은 아니다. 키팅 선생의 수업 방식에 불만을 품었던 라틴어선생 맥 카리스트가 자기도 모르는 사이 키팅 선생의 수업 방식을 흉내 내는 것을 보여줌으로서 작가는 웰튼의 변화가 계속된다는 것을 암시한다. 그리고 수업도중 학생들 모두가 책상 위로 올라가 키팅 선생에게 작별인사를 보내는 맨 마지막 장면을 통해 작가는 웰튼의 변화가 이제부터 시작이라는 것을 은연중에 말하고 있다. 키팅 선생님은 새로운 교육방식을 창조해냈다. 기존의 고정관념을 탈피해서 새로운 것을 창조해냄으로써 여러 부정적 방해요소에도 굴하지 않고 자신의 기술을 끝까지 고집한 것이다. 책상에 앉아서 시를 읽고 평론가들의 분석을 줄줄이 외우는 수업방식이 아니라 교실 밖으로 나와서 눈으로 직접보고 마음으로 느끼면서 시 자체로서의 의미를 깨닫는 것이다. 또한 학생들과 나란히 발을 맞추어 걸으면서 자기 혼자만이 아니라 함께 조화를 이룰 때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몸으로 직접 느끼게 해준다. 이것은 결국 자기 혼자만의 뛰어난 능력만 있어서 그 일이 성공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각자 스스로의 셀프리더십을 발휘해서 그것들이 여러 사람들과 조화를 이룰 때 그 때 비로소 ‘성공’이라고 이름 붙일 수 있는 것이다. 처음에는 공부를 하기위해 책을 올려놓는 곳으로만 여겨졌던 책상에 올라가는 일이 낯설었던 그들이다. 하지만 높은 곳에 올라가서 밑을 내려다보고 느끼는 새로운 과정에서 처음에는 낯설었지만 마지막에 키팅이 떠날 때는 자기 자신들도 의지와 상관없이 키팅의 교육방식에 동화되어 있었던 것이다. 키팅이 가르친 것은 영어라는 과목중의 일부일지 모르나 그가 진정으로 가르친 것은 그들의 자신감을 키워주는 신기술이었다.
자신이 신기술에 도전할 때는 자기 자신에 대한 확고한 믿음과 미래에 대한 확신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자기 자신도 어떻게 될지 잘 모르겠다는 불확실한 믿음으로 상대방에게 대하면 그를 믿는 사람들도 불확실한 믿음을 갖게 될 것은 뻔하기 때문이다. 그러한 면에서 키팅은 자신과 학생들에 대한 확고한 믿음으로 새로운 기술에 도전한 성공한 리더이다.
강연제목 : 양성평등의 리더십 강연일시 : 4월 11일 강연자 : 한혜진
남녀와 커뮤니케이션
1. 강연의 개요 : 해양경찰청 한혜진 과장님께서는 여성 할당제가 역으로 성차별을 발생함을 말씀 하셨고 양성평등의 의미는 무엇인가 한번 생각해볼 기회를 주셨다. 남자들도 꾸미고 다녀야 하는 시대가 왔고 여성의 외모에 대해 이야기하고 다니는 시대는 지났음을 강조 하셨다. 또 리더십에 관한 이야기를 해주셨는데 savant 리더십 (하인의 리더십, 경청 공감)에 대해 이야기 하시면서 헤르만 헤세의 동방으로의 여행에서 착안
  • 가격1,0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0.03.16
  • 저작시기2006.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59114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