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춰지지 않는다면 주요어도 문단모양에서 왼쪽3ch 오른쪽 3ch를 해주시면 됩니다.
‘주요어: 임정환, 제목, 소속’를 보시면 주요어 한뒤 :를 붙여 쓰고 그리고 한칸(스페이스바로 한칸) 띄우고 단어쓰고 ,를 바로 붙여쓰고 그다음 또 한칸 띄우고 단어쓰고 ,쓰고 띄우고 단어 이렇게 쓰셔야 합니다.
주요어까지 다 쓰셨으면, 두줄 띄웁니다( 신명조 10, 줄간격 150%)
3. 본문 (서론, 방법, 결과, 논의)
본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2단으로 편집된다는 것과 신명조체 10, 장평95, 자간-10%, 줄간격 160%를 기본으로 한다는 것이다. 본문을 쓰기 시작하면 위에 기준을 딱 맞추고 시작합시다.
본문의 내용은 서론, 방법, 결과, 논의 부분으로 전부다 드래그해서 선택한뒤 우클릭, 그리고 글자모양에 들어갑니다. 그리고나서
이렇게 장평과 자간을 맞춥니다.
줄간격도 160%로 맞추는 것 잊지 마시구요.
이제 본문의 처음인 서론을 쓰게되는데,
서론은 신명조 10, 보통, 양쪽 정렬, 문단 첫줄은 두 칸 띄고 시작, 여기서부터 2단 시작입니다. 2단으로 편집하는 것은 [쪽] ->[단]에서 단을 둘로 바꾸면 되지만 아마 학부생단계에서는 쓸 일이 없으니 패스하겠습니다.
서론에서는 내용을 쓸 때 처음에 스페이스바로 두 번 누르고(두 칸 띄고) 시작합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두 칸의 여백이 보이죠?
이제 서론에 들어갈 내용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서론에는 먼저 연구배경에대해 서술합니다. 관련 연구 문헌을 논의하되 현재 연구의 내력을 적절히 소개하고 그 관련 연구를 충분히 참고하였음을 기술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본 연구의 목적과 그 논리에 대해 진술해야 합니다.
그리고 끝에는 어떤 결과를 기대했으며, 왜 그런 기대를 했는지를 정확히 설명하고 본연구의 가설도 설 명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서론에서 문단을 나눌 경우에 다시 시작되는 문단에서는 다시한번 두 칸의 여백을 두어야 합니다. 즉 문단을 나눌 때 스페이스바 두 번을 띄우고 다음 문단을 시작하여야 합니다.
또한 서론에서 소제목을 달 경우가 있습니다. 문단을 넘기는 것만으로 구분이 잘안될때는 소제목을 사용하는데 이전의 문단 다음 신명조 10, 줄간격 160%로 한줄 띄운뒤 소제목을 씁니다.
서론의 소제목은 중고딕 10, 진하게, 양쪽정렬로 씁니다. 소제목을 쓴 뒤에는 문단바꾸고 바로 글시작하면 됩니다. 아래그림을 참고하십시오.
서론까지 다 썼다면 이제 한 줄(신명조 10, 160%) 띄우고 방법을 기술합니다.
방법은 신명조 11, 진하게, 가운데 정렬로 쓰고 방과 법 사이에 스페이스바 두칸을 띄웁니다. ‘방 법’ 이 규정이지만 한 칸을 띄워도 되고, 붙여도 용인이 됩니다. ‘방 법’을 쓰셨으면 신명조 10, 줄간격 160%로 한 줄을 띄우고 소제목 들을 씁니다.
방법의 소제목에는 연구대상, 측정도구, 절차 등이 있고 왠만하면 참가자, 도구, 이런 말들보다 규격에 맞게 쓰는게 좋습니다.
방법의 소제목은 중고딕 10, 진하게, 양쪽 정렬, 띄어쓰기 없이 씁니다. 소제목을 썼다면 소제목 내용과 한 줄을 띄웁니다(160%). 그리고 내용을 쓰기전에 스페이스바로 한칸을 띄우고 내용을 씁니다.(다른데는 다 두칸인데 여기만 한칸입니다. 참고해 두십시다.)
방법에 들어가는 내용들은 모두 신명조 10, 양쪽 정렬입니다.
그림으로 보자면,
아래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내용 시작전에 한칸을 띄우고 다음 소제목과도 한줄을 띄웁니다(160%).
방법을 전부 썼다면 결과를 씁니다. 결과에는 수집된 자료 및 자료에 대한 통계적 처치 방법을 요약합니다. 표나 그림을 통해 설명하면 좋습니다.
결과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신명조 11, 진하게, 가운데 정렬로 쓰고 결과 가운데를 스페이스바 두 번을 눌러 두칸 띄운다. ‘결 과’ 로 쓰면 됩니다. 결과와 내용은 한줄을 띄웁니다(160%).
결과에서도 서론에서 쓰듯이 결과 소제목을 달기도 하는데(한국심리학회지에서는 결과의 내용이라고 표기되어있음.) 결과 소제목은 중고딕 10, 진하게, 양쪽정렬로 하시면 됩니다.
한국심리학회지에 나온 결과의 내용은 오타입니다.
결과에 들어가는 내용들은 모두 신명조 10, 양쪽정렬 줄간격 160%입니다.
표나 그림을 표기할 때는 결과의 내용을 보충하는 것뿐이지 대신하는 것은 아니므로 잘 이해할수 있도록 충분한 설명을 결과의 내용에 써야한다. 표는 세로줄이 없어야하며 페이지를 넘어 잘리면 안된다.(논문 맨위나 맨아래에 그림이나 표가 위치하는 게 좋다.)
표제목은 표 1. 표제목 의 방식으로 쓰며 중고딕 9, 보통, 표의 위쪽 좌측에 두어야 한다.
옆과 같이 표는 세로줄이 없고, 표 바로위에 표 1. 제목이 위치해 있고 (마침표 찍지 않습니다.) 이전 문단과 한줄 띄워져있고, 다음 문단과도 한줄 띄워져있습니다. 다음 문단 시작할 땐 두칸을(스페이스바 두 번) 띄웁니다.
그림을 첨부 할때도 마찬가지입니다.
표랑 다른점이 있다면 그림 아래에
그림 1. 그림제목을 씁니다.
그림제목도 역시 중고딕 9, 보통, 양쪽정렬입니다.
결과에 들어가야할 내용은 통계치와 가설이 유의미하게 나왔는지 해석만 쓰시면됩니다. 그 이외의 것은 논의에서 다루고요, 또한 결과 시작부분에서 연구의 목적에 대해 다시 설명해주면 좋습니다.
결과의 내용이 모두끝나면 한줄을 띄우고(160%) 논의를 씁니다. 논의는 신명조 11, 진하게, 가운데 정렬로 결과와, 방법과 같이 논과 의를 스페이스 바 두 번을 써서 띄웁니다. ‘논 의’처럼 말이죠. 논의를 썼으면 논의의 내용과 구분을 짓기위해 한줄을 띄웁니다(160%). 논의의 내용은 신명조 10, 보통, 양쪽정렬입니다.
첫문단은 두칸을 띄우고(스페이스바 두 번) 시작합니다. 논의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다시한번 평가하고 자신의 원가설에 비추어 결과의 함축점들을 논의합니다. 여기서는 자유롭게 결과를 검토하고 해석하고 제한점을 검토하며 추론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만약 논의가 간단하고 단순하다면 ‘결과 및 논의’ 로 만들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논의는 길수록 좋거든요).
본 논문이 어떤 기여를 했는지, 본 연구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주요어: 임정환, 제목, 소속’를 보시면 주요어 한뒤 :를 붙여 쓰고 그리고 한칸(스페이스바로 한칸) 띄우고 단어쓰고 ,를 바로 붙여쓰고 그다음 또 한칸 띄우고 단어쓰고 ,쓰고 띄우고 단어 이렇게 쓰셔야 합니다.
주요어까지 다 쓰셨으면, 두줄 띄웁니다( 신명조 10, 줄간격 150%)
3. 본문 (서론, 방법, 결과, 논의)
본문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2단으로 편집된다는 것과 신명조체 10, 장평95, 자간-10%, 줄간격 160%를 기본으로 한다는 것이다. 본문을 쓰기 시작하면 위에 기준을 딱 맞추고 시작합시다.
본문의 내용은 서론, 방법, 결과, 논의 부분으로 전부다 드래그해서 선택한뒤 우클릭, 그리고 글자모양에 들어갑니다. 그리고나서
이렇게 장평과 자간을 맞춥니다.
줄간격도 160%로 맞추는 것 잊지 마시구요.
이제 본문의 처음인 서론을 쓰게되는데,
서론은 신명조 10, 보통, 양쪽 정렬, 문단 첫줄은 두 칸 띄고 시작, 여기서부터 2단 시작입니다. 2단으로 편집하는 것은 [쪽] ->[단]에서 단을 둘로 바꾸면 되지만 아마 학부생단계에서는 쓸 일이 없으니 패스하겠습니다.
서론에서는 내용을 쓸 때 처음에 스페이스바로 두 번 누르고(두 칸 띄고) 시작합니다.
아래의 그림과 같습니다.
두 칸의 여백이 보이죠?
이제 서론에 들어갈 내용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서론에는 먼저 연구배경에대해 서술합니다. 관련 연구 문헌을 논의하되 현재 연구의 내력을 적절히 소개하고 그 관련 연구를 충분히 참고하였음을 기술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나서 본 연구의 목적과 그 논리에 대해 진술해야 합니다.
그리고 끝에는 어떤 결과를 기대했으며, 왜 그런 기대를 했는지를 정확히 설명하고 본연구의 가설도 설 명하여야 합니다.
그리고 서론에서 문단을 나눌 경우에 다시 시작되는 문단에서는 다시한번 두 칸의 여백을 두어야 합니다. 즉 문단을 나눌 때 스페이스바 두 번을 띄우고 다음 문단을 시작하여야 합니다.
또한 서론에서 소제목을 달 경우가 있습니다. 문단을 넘기는 것만으로 구분이 잘안될때는 소제목을 사용하는데 이전의 문단 다음 신명조 10, 줄간격 160%로 한줄 띄운뒤 소제목을 씁니다.
서론의 소제목은 중고딕 10, 진하게, 양쪽정렬로 씁니다. 소제목을 쓴 뒤에는 문단바꾸고 바로 글시작하면 됩니다. 아래그림을 참고하십시오.
서론까지 다 썼다면 이제 한 줄(신명조 10, 160%) 띄우고 방법을 기술합니다.
방법은 신명조 11, 진하게, 가운데 정렬로 쓰고 방과 법 사이에 스페이스바 두칸을 띄웁니다. ‘방 법’ 이 규정이지만 한 칸을 띄워도 되고, 붙여도 용인이 됩니다. ‘방 법’을 쓰셨으면 신명조 10, 줄간격 160%로 한 줄을 띄우고 소제목 들을 씁니다.
방법의 소제목에는 연구대상, 측정도구, 절차 등이 있고 왠만하면 참가자, 도구, 이런 말들보다 규격에 맞게 쓰는게 좋습니다.
방법의 소제목은 중고딕 10, 진하게, 양쪽 정렬, 띄어쓰기 없이 씁니다. 소제목을 썼다면 소제목 내용과 한 줄을 띄웁니다(160%). 그리고 내용을 쓰기전에 스페이스바로 한칸을 띄우고 내용을 씁니다.(다른데는 다 두칸인데 여기만 한칸입니다. 참고해 두십시다.)
방법에 들어가는 내용들은 모두 신명조 10, 양쪽 정렬입니다.
그림으로 보자면,
아래의 그림에서 볼 수 있듯이, 내용 시작전에 한칸을 띄우고 다음 소제목과도 한줄을 띄웁니다(160%).
방법을 전부 썼다면 결과를 씁니다. 결과에는 수집된 자료 및 자료에 대한 통계적 처치 방법을 요약합니다. 표나 그림을 통해 설명하면 좋습니다.
결과는 방법과 마찬가지로 신명조 11, 진하게, 가운데 정렬로 쓰고 결과 가운데를 스페이스바 두 번을 눌러 두칸 띄운다. ‘결 과’ 로 쓰면 됩니다. 결과와 내용은 한줄을 띄웁니다(160%).
결과에서도 서론에서 쓰듯이 결과 소제목을 달기도 하는데(한국심리학회지에서는 결과의 내용이라고 표기되어있음.) 결과 소제목은 중고딕 10, 진하게, 양쪽정렬로 하시면 됩니다.
한국심리학회지에 나온 결과의 내용은 오타입니다.
결과에 들어가는 내용들은 모두 신명조 10, 양쪽정렬 줄간격 160%입니다.
표나 그림을 표기할 때는 결과의 내용을 보충하는 것뿐이지 대신하는 것은 아니므로 잘 이해할수 있도록 충분한 설명을 결과의 내용에 써야한다. 표는 세로줄이 없어야하며 페이지를 넘어 잘리면 안된다.(논문 맨위나 맨아래에 그림이나 표가 위치하는 게 좋다.)
표제목은 표 1. 표제목 의 방식으로 쓰며 중고딕 9, 보통, 표의 위쪽 좌측에 두어야 한다.
옆과 같이 표는 세로줄이 없고, 표 바로위에 표 1. 제목이 위치해 있고 (마침표 찍지 않습니다.) 이전 문단과 한줄 띄워져있고, 다음 문단과도 한줄 띄워져있습니다. 다음 문단 시작할 땐 두칸을(스페이스바 두 번) 띄웁니다.
그림을 첨부 할때도 마찬가지입니다.
표랑 다른점이 있다면 그림 아래에
그림 1. 그림제목을 씁니다.
그림제목도 역시 중고딕 9, 보통, 양쪽정렬입니다.
결과에 들어가야할 내용은 통계치와 가설이 유의미하게 나왔는지 해석만 쓰시면됩니다. 그 이외의 것은 논의에서 다루고요, 또한 결과 시작부분에서 연구의 목적에 대해 다시 설명해주면 좋습니다.
결과의 내용이 모두끝나면 한줄을 띄우고(160%) 논의를 씁니다. 논의는 신명조 11, 진하게, 가운데 정렬로 결과와, 방법과 같이 논과 의를 스페이스 바 두 번을 써서 띄웁니다. ‘논 의’처럼 말이죠. 논의를 썼으면 논의의 내용과 구분을 짓기위해 한줄을 띄웁니다(160%). 논의의 내용은 신명조 10, 보통, 양쪽정렬입니다.
첫문단은 두칸을 띄우고(스페이스바 두 번) 시작합니다. 논의에서는 연구의 결과를 다시한번 평가하고 자신의 원가설에 비추어 결과의 함축점들을 논의합니다. 여기서는 자유롭게 결과를 검토하고 해석하고 제한점을 검토하며 추론을 끌어낼 수 있습니다. 만약 논의가 간단하고 단순하다면 ‘결과 및 논의’ 로 만들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논의는 길수록 좋거든요).
본 논문이 어떤 기여를 했는지, 본 연구가 어떤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추천자료
문헌정보학
중간기문헌이란 무엇인가
욥기와_유사한_고대_근동의_문헌들
[문헌정보학, 문헌정보학 역사]문헌정보학의 역사, 문헌정보학의 필요성, 문헌정보학의 관련...
[조사방법, 현장조사, 협동학습조사, 문헌연구조사, 평가모형조사]조사방법의 종류, 조사방법...
[문헌정보학][문헌정보학 정의]문헌정보학의 정의, 문헌정보학의 발전사, 문헌정보학의 도큐...
[문헌정보학][문헌][정보학][교육][분리현상]문헌정보학의 의미, 문헌정보학의 필요성, 문헌...
[문헌정보학과]문헌정보학과의 역사, 문헌정보학과의 교육범위, 문헌정보학과의 교육과정, 문...
[문헌정보학][탈식민성]문헌정보학의 약력, 문헌정보학의 교과과정, 문헌정보학의 학문성, 문...
[문헌정보학과][문헌정보학 교과과정]문헌정보학과의 목적, 문헌정보학과의 교과과정, 문헌정...
문헌고찰-수술실 (동공반사, 지혈법, SKIN TEST)
문헌고찰-지주막하출혈
문헌고찰-화학요법을 받는 백혈병환자 간호
문헌검토의 필요성과 문헌검토를 통해 얻을 수 있는 내용들을 요약하여 정리하시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