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면서
2. 이집트의 유사문학
3. 메소포타미아의 유사문학
4. 기타 문헌
5. 마치며
6. 참고문헌
2. 이집트의 유사문학
3. 메소포타미아의 유사문학
4. 기타 문헌
5. 마치며
6. 참고문헌
본문내용
있다. 그리고 그는 제우스와 같은 신의 입장에서 제우스를 미워하며 제우스에 대해 어떠한 긍휼도 기대하지 않는다. 그리고 결말부분에서 도 회복되는 욥과는 다르게 프로메테우스는 더욱 땅속으로 들어가게 되며 더욱 고통 받게 된다.
5. 마치며
욥기를 읽으면서 ‘하나의 문학작품으로서의 욥기는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해본 적이 있었다. 이번 특강을 준비하면서 욥기 외에 다양한 고대의 문헌들을 접해보고 욥기와 비교해보고 그 내용과 구조적인 면을 살펴보면서 이러한 고민에 대해 어느 정도의 답변을 제시 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분명히 욥기와 고대 문헌의 공통점을 부인할 수는 없고, 성경을 고대 근동 전체를 포함하는 환경과 배경을 떠나서는 적절하게 연구 될 수 없음을 알게 되었으며, 상호의존성이나 연관성의 문제에 있어서도 딱 잘라서 이야기 할 수는 없지만, 욥기와 다른 문헌들에는 현저한 차이점들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다른 문헌들과는 다르게 욥기만의 독특하고 특징적인 내용들과 문학양식, 구조 등이 있다는 것은 확실하게 알게 된 것 같다.
그리고 경전으로만 받아들였던 욥기를 완벽한 문학양식과 내용, 구조를 갖추고 있는 하나의 문학작품으로도 받아들일 수 있게 된 것 같다. 이러한 비교 연구를 통해서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욥기의 특징과 문학작품으로서의 욥기의 특징을 모두 살펴볼 수 있었고, 가능하다면 욥기 이외에도 구약과 관련된 다양한 문헌들을 조사해보는 작업들도 구약성경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6. 참고문헌
◆ M. H. Pope, 한국신학연구소 역, 『욥기 주석』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3)
◆ N. H. 스나이드, 김성애 역, 『욥기의 형성사』(서울: 성바오로 출판사, 1984)
◆ 구덕관 『지혜와 율법』(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 박동현『구약학개관』(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 다니엘 에스테스, 강성열 역,『지혜서와 시편개론』(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7)
◆ 이군호『성서주석 욥기』(대한기독교서회, 1998)
◆ 안근조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학의 비교 문학적 고찰 / 욥기 선언서 (용 38-41장)의 특이성”
『Hermeneia Today』제28호 2004. 09. 01
◆ 이정란 “욥기와 고대근동 지혜문헌 비교”, 浸禮神學大 神學大學院 1998.02
◆ 주용수 “고대근동의 지혜와 이스라엘 지혜 비교연구 :욥기를 중심으로” 목원대 신학대학원 2001.02
5. 마치며
욥기를 읽으면서 ‘하나의 문학작품으로서의 욥기는 어떻게 받아들일 수 있을까’라는 고민을 해본 적이 있었다. 이번 특강을 준비하면서 욥기 외에 다양한 고대의 문헌들을 접해보고 욥기와 비교해보고 그 내용과 구조적인 면을 살펴보면서 이러한 고민에 대해 어느 정도의 답변을 제시 할 수 있게 된 것 같다. 분명히 욥기와 고대 문헌의 공통점을 부인할 수는 없고, 성경을 고대 근동 전체를 포함하는 환경과 배경을 떠나서는 적절하게 연구 될 수 없음을 알게 되었으며, 상호의존성이나 연관성의 문제에 있어서도 딱 잘라서 이야기 할 수는 없지만, 욥기와 다른 문헌들에는 현저한 차이점들을 갖고 있음을 알 수 있고, 다른 문헌들과는 다르게 욥기만의 독특하고 특징적인 내용들과 문학양식, 구조 등이 있다는 것은 확실하게 알게 된 것 같다.
그리고 경전으로만 받아들였던 욥기를 완벽한 문학양식과 내용, 구조를 갖추고 있는 하나의 문학작품으로도 받아들일 수 있게 된 것 같다. 이러한 비교 연구를 통해서 하나님의 말씀으로서의 욥기의 특징과 문학작품으로서의 욥기의 특징을 모두 살펴볼 수 있었고, 가능하다면 욥기 이외에도 구약과 관련된 다양한 문헌들을 조사해보는 작업들도 구약성경을 이해하는데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 같다.
6. 참고문헌
◆ M. H. Pope, 한국신학연구소 역, 『욥기 주석』 (서울: 한국신학연구소, 1993)
◆ N. H. 스나이드, 김성애 역, 『욥기의 형성사』(서울: 성바오로 출판사, 1984)
◆ 구덕관 『지혜와 율법』(대한기독교출판사, 1982)
◆ 박동현『구약학개관』(장로회신학대학교출판부, 2003)
◆ 다니엘 에스테스, 강성열 역,『지혜서와 시편개론』(크리스챤다이제스트, 2007)
◆ 이군호『성서주석 욥기』(대한기독교서회, 1998)
◆ 안근조 “고대 메소포타미아 문학의 비교 문학적 고찰 / 욥기 선언서 (용 38-41장)의 특이성”
『Hermeneia Today』제28호 2004. 09. 01
◆ 이정란 “욥기와 고대근동 지혜문헌 비교”, 浸禮神學大 神學大學院 1998.02
◆ 주용수 “고대근동의 지혜와 이스라엘 지혜 비교연구 :욥기를 중심으로” 목원대 신학대학원 2001.02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