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본 자료는 10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
80
-
81
-
82
-
83
-
84
-
85
-
86
-
87
-
88
-
89
-
90
-
91
-
92
-
93
-
94
-
95
-
96
-
97
-
98
-
99
-
100
-
101
-
102
-
103
-
104
-
105
-
106
-
107
-
108
-
109
-
110
-
111
-
112
-
113
-
114
-
115
-
116
-
117
-
118
-
119
-
120
-
121
-
122
-
123
-
124
-
125
-
126
-
127
-
128
-
129
-
130
-
131
-
132
-
133
-
134
-
135
-
136
-
137
-
138
-
139
-
140
-
141
-
142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내용 5
3. 연구결과의 활용 6
Ⅱ. 이론적 배경 7
1. 발달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 개요 7
2.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 15
3. 직업교육의 성과와 지역사회 중심 현장실습 22
Ⅲ. 연구의 방법 46
1. 조사대상 46
2. 조사지 개발 47
3. 조사방법 51
Ⅳ. 연구의 결과 52
1.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 로드맵 개발 52
2. 직업생활과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 56
3. 직업준비와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 74
4. 직업기능과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 97
Ⅴ. 요약 및 제언 133
1. 요약 133
2. 제언 135
참고문헌 138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
2. 연구 내용 5
3. 연구결과의 활용 6
Ⅱ. 이론적 배경 7
1. 발달장애 특수학교 직업교육 개요 7
2.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 15
3. 직업교육의 성과와 지역사회 중심 현장실습 22
Ⅲ. 연구의 방법 46
1. 조사대상 46
2. 조사지 개발 47
3. 조사방법 51
Ⅳ. 연구의 결과 52
1.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 로드맵 개발 52
2. 직업생활과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 56
3. 직업준비와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 74
4. 직업기능과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 97
Ⅴ. 요약 및 제언 133
1. 요약 133
2. 제언 135
참고문헌 138
본문내용
요하다.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관련 기관간 협력이 실질적으로 가능할 수 있도록 지역별 네트워크 구축과 제도적인 방안 마련이 후속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학교를 졸업한 발달장애 특수학교 중증 장애인에 대한 진로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도 볼 수 있었듯이 발달장애 특수학교의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 방안은 지원고용, 보호고용, 자립생활을 위하여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질 높고 체계적인 교육도 진로지도와 연계되지 않고 졸업 학생들이 가정으로 되돌아간다면 무용지물일 것이다. 따라서 발달장애 학교에서 현장중심의 질 높은 직업교육을 받고 졸업하면서 지원고용, 보호고용, 자립생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 노동부에서의 대책도 병행되어야 한다. 즉, 지원고용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고용을 실시하는 직업재활시설의 수가 늘어나고 지원고용모델 개발과 확산 등 연구개발도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보호고용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보호작업장과 근로사업장의 수도 증가되어야 하고, 보호고용 근로자의 임금증대와 새로운 직종개발도 이루어져야 한다. 그 외에도 기관간 연계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정적제도적 지원과 함께 연계 실적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발달장애 특수학교 전공과는 현장중심 직업교육의 종결점이다. 그런데 전공과가 고등학교에서 실시하던 직업교육과 차별성 없이 단순히 고등학교 연장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공과는 발달장애 특수학교 학생들이 지역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마지막 단계이다. 따라서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이 가장 중점적으로 실시해야 할 시기이며,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성과에 도달할 수 있도록 현장실습을 가장 강조해야 할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은 전공과에서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위영나운환(2001). 직업재활개론. 도서출판 나눔의 집.
강병호이유훈김형일(2003). 특수교육기관의 직업교육 운영 내실화 방안.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교육인적자원부(2002). 직업과 교사용 지도서.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2007). 전국특수학교 현장중심 직업교육 운영계획(미간행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국립특수교육원(2002). 장애학생 전환과정 지원자료. 국립특수교육원.
국립특수교육원(2006).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개발. 국립특수교육원.
김진호(2003). 특수교육 분야에서 본 현행 성인직업재활체계 및 서비스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개선 및 협력 방안. 직업재활연구, 13(2), 1-30
김춘만(2007).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모델화 사업(사례 중심으로). (사)동안복지재단.
김형일 외(2002). 장애학생 전환 지원자료1, 2, 3. 국립특수교육원
노승윤(2002). 실기교육방법론. 서울: 양서원.
박희찬 외(1994). 장애인직업: 정신지체인을 위한 직업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인간과 복지.
박희찬 외(2001). 직업재활시설의 사업과 운영.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박희찬 외(2006). 장애청소년 전환교육. 서울: 시그마 프레스
박희찬정민호김기석(2005). 정신지체특수학교 직업교육 혁신을 위한 교사참조요목 개발과 적용방안. 가톨릭대학교.
백영배(2000). 현장실습 중심의 전환교육 활동이 발달장애학생의 직업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법인 위캔 위캔센터(2005). 위캔 치료공동체 적용 및 효과성연구.
송영욱(2001). 새로운 자립개념의 정립과 자립생활의 실천을 위하여. 장애인 자립생활 실천을 위한 과제와 전망: 국제장애인복지실천세미나자료집.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엄승연(1996). 정신지체인의 고용안정을 위한 지원체계 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오길승(1994). 발달장애인을 위한 지원고용 지침서.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오길승(2003).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한국적인 적용에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2003 지원고용 전문요원 국제 WorkshopⅠ.
오혜경(1998). 장애인 자립생활 실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리뷰’ 제 3집.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유애란(2003). 전환교육에 있어 발달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교사인식과 교수실태. 직업재활연구.
이유훈김계옥정동일정희섭(2002).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 분석Ⅰ.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장애인복지관련시설 및 기관일람표(2005). 국립재활원.
장혜성(2003). 지역사회적응 전환 프로그램의 실제: 자기관리 능력 증진. 이화대학교 특수 교육연구소.
조인수(2000). 장애인 전환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허석(2004).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의 산업체 현장실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교육대학원.
황운성(1998). 현직훈련을 통한 정신지체인의 직업적응과정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Brown, D.(2002).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of 1984
Odom, S. L., Horner, O. R., Snell, M. E., & Blacher, J.(2007). Handbook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w York: Guilford.
Sitlington, P. L., Clark, G. M., & Kolstoe, O. P. (2000).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Boston: Allyn & Bacon.
The Rehabilitation Act Amendment of 1986
Wehman, P. (Ed.) (2001). Supported employment in business: Expanding the capac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St. Augustine, FL: Training Resource Network.
여섯째, 학교를 졸업한 발달장애 특수학교 중증 장애인에 대한 진로대책이 강구되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도 볼 수 있었듯이 발달장애 특수학교의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 방안은 지원고용, 보호고용, 자립생활을 위하여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하지만 아무리 질 높고 체계적인 교육도 진로지도와 연계되지 않고 졸업 학생들이 가정으로 되돌아간다면 무용지물일 것이다. 따라서 발달장애 학교에서 현장중심의 질 높은 직업교육을 받고 졸업하면서 지원고용, 보호고용, 자립생활로 이어질 수 있도록 보건복지부, 노동부에서의 대책도 병행되어야 한다. 즉, 지원고용이 확대될 수 있도록 지원고용을 실시하는 직업재활시설의 수가 늘어나고 지원고용모델 개발과 확산 등 연구개발도 이루어져야 한다. 아울러 보호고용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보호작업장과 근로사업장의 수도 증가되어야 하고, 보호고용 근로자의 임금증대와 새로운 직종개발도 이루어져야 한다. 그 외에도 기관간 연계가 활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재정적제도적 지원과 함께 연계 실적에 대한 인센티브를 제공하는 방안을 마련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발달장애 특수학교 전공과는 현장중심 직업교육의 종결점이다. 그런데 전공과가 고등학교에서 실시하던 직업교육과 차별성 없이 단순히 고등학교 연장으로 운영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전공과는 발달장애 특수학교 학생들이 지역사회로 나아가기 위한 마지막 단계이다. 따라서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이 가장 중점적으로 실시해야 할 시기이며, 고등학교 직업교육의 성과에 도달할 수 있도록 현장실습을 가장 강조해야 할 시기이기도 하다. 그러므로 이 연구에서 제시하고 있는 지역사회 현장실습 중심 직업교육은 전공과에서 가장 활발하게 적용되어야 할 것이다.
참 고 문 헌
강위영나운환(2001). 직업재활개론. 도서출판 나눔의 집.
강병호이유훈김형일(2003). 특수교육기관의 직업교육 운영 내실화 방안.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교육인적자원부(2002). 직업과 교사용 지도서.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교육인적자원부(2007). 전국특수학교 현장중심 직업교육 운영계획(미간행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국립특수교육원(2002). 장애학생 전환과정 지원자료. 국립특수교육원.
국립특수교육원(2006). 특수학교 직업교육과정 개정(시안) 연구개발. 국립특수교육원.
김진호(2003). 특수교육 분야에서 본 현행 성인직업재활체계 및 서비스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개선 및 협력 방안. 직업재활연구, 13(2), 1-30
김춘만(2007). 중증장애인 직업재활 모델화 사업(사례 중심으로). (사)동안복지재단.
김형일 외(2002). 장애학생 전환 지원자료1, 2, 3. 국립특수교육원
노승윤(2002). 실기교육방법론. 서울: 양서원.
박희찬 외(1994). 장애인직업: 정신지체인을 위한 직업프로그램의 구성 및 적용.
인간과 복지.
박희찬 외(2001). 직업재활시설의 사업과 운영. 한국장애인단체총연맹
박희찬 외(2006). 장애청소년 전환교육. 서울: 시그마 프레스
박희찬정민호김기석(2005). 정신지체특수학교 직업교육 혁신을 위한 교사참조요목 개발과 적용방안. 가톨릭대학교.
백영배(2000). 현장실습 중심의 전환교육 활동이 발달장애학생의 직업적응력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대구대학교대학원.
사회복지법인 위캔 위캔센터(2005). 위캔 치료공동체 적용 및 효과성연구.
송영욱(2001). 새로운 자립개념의 정립과 자립생활의 실천을 위하여. 장애인 자립생활 실천을 위한 과제와 전망: 국제장애인복지실천세미나자료집. 한국장애인복지관협회
엄승연(1996). 정신지체인의 고용안정을 위한 지원체계 연구. 한국장애인고용촉진공단.
오길승(1994). 발달장애인을 위한 지원고용 지침서. 서울: 서울장애인종합복지관
오길승(2003). 지원고용 프로그램의 한국적인 적용에서의 문제점과 개선 방향. 2003 지원고용 전문요원 국제 WorkshopⅠ.
오혜경(1998). 장애인 자립생활 실천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리뷰’ 제 3집. 가톨릭대학교 사회복지연구소.
유애란(2003). 전환교육에 있어 발달장애학생의 자기결정에 대한 교사인식과 교수실태. 직업재활연구.
이유훈김계옥정동일정희섭(2002). 특수교육기관 운영실태 분석Ⅰ. 안산: 국립특수교육원
장애인복지관련시설 및 기관일람표(2005). 국립재활원.
장혜성(2003). 지역사회적응 전환 프로그램의 실제: 자기관리 능력 증진. 이화대학교 특수 교육연구소.
조인수(2000). 장애인 전환교육. 대구대학교 출판부.
허석(2004). 정신지체 특수학교 고등부의 산업체 현장실습에 관한 연구. 석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교육대학원.
황운성(1998). 현직훈련을 통한 정신지체인의 직업적응과정 연구. 석사학위논문, 서울대학교대학원.
Brown, D.(2002). Career choice and development. San Francisco. CA: Jossey-Bass.
Developmental Disabilities Act of 1984
Odom, S. L., Horner, O. R., Snell, M. E., & Blacher, J.(2007). Handbook of developmental disabilities. New York: Guilford.
Sitlington, P. L., Clark, G. M., & Kolstoe, O. P. (2000). Transition education and services for adolescents with disabilities. Boston: Allyn & Bacon.
The Rehabilitation Act Amendment of 1986
Wehman, P. (Ed.) (2001). Supported employment in business: Expanding the capacity of workers with disabilities. St. Augustine, FL: Training Resource Network.
키워드
추천자료
- Jo-Ann Sowers,『지체부자유 및 중복장애 학생의 직업교육과 고용』을 읽고...
- 재활심리치료
- 장애인 특수교육 현황 및 문제점진단과 개선방안
- [특수 교육] 발달장애 아동의 놀이치료 사례
- 전환교육(특수, 장애인직업)의 정의, 전환교육(특수, 장애인직업)의 현실과 내용, 전환교육(...
- [특수교육]발달장애의 이해
-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정의, 전환교육(장애, 특수교육)의 중요성, 전환교육(장애, 특수...
- 전환교육(장애, 특수, 직업)의 정의와 목표, 전환교육(장애, 특수, 직업)의 운영현황, 전환교...
- 우리나라에서는 장애아동을 특수학교에서 교육하는 것이 아니라 일반학교에서 일반아동과 같...
- 장애인의 통합교육의 현실적인 벽 장애학생으로 인한 비장애학생들의 학습권침해등의 문제와 ...
- [유아교육과] [특수아교육 A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
- [특수아교육 A형] 특수아에 대한 법적, 학문적 정의를 제시하고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장애아 ...
- 장애학생의 학교생활을 돕는 통합 교육의 지도사례를 중심으로
- (특수아교육A형)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ADHD 개념, 원인, 특성, 판별및평가방법, 교육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