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설계 사양
2 설계 회로도
3 설계 결과 그래프
4 설계 사양과 비교
5 검토 및 느낀점
2 설계 회로도
3 설계 결과 그래프
4 설계 사양과 비교
5 검토 및 느낀점
본문내용
에 대한 설명이 필요.
2 설계 회로도
3 설계 결과 그래프
주파수 20Hz
주파수 2000Hz
주파수 20000Hz
4 설계 사양과 비교
항목
설계 결과(시뮬레이션)
비교
주파수
f = 20 Hz
전압 이득
Av 최대값
Vin(pp) = 0.007V
Vout(pp)=0.985V
Av = 140
전력이득 =43dB
출력 전력 Pout(rms) 최대값
Pout(rms) = 14.843mW
최대전력 0.5w 이하의 값이 나왔으며 설계조건에 만족한다.
주파수
f = 2,000 Hz
전압 이득
Av 최대값
Vin(pp) = 0.007V
Vout(pp)=5.803V
Av = 829
전력이득 =58.4dB
출력 전력 Pout(rms) 최대값
Pout(rms) = 498.637mW
최대전력 0.5w 이하의 값이 나왔으며 설계조건에 만족한다.
주파수
f = 20,000 Hz
전압 이득 Av 최 대값
Vin(pp) =0.007V
Vout(pp)=5.690V
Av = 813
전력이득 =58.2dB
출력 전력 Pout(rms) 최대값
Pout(rms) = 495.542mW
최대전력 0.5w 이하의 값이 나왔으며 설계조건에 만족한다.
멀티심 Grapher를 이용하여 엑셀로 최대값,최소값을 찾아내서 기입하였기 때문에, 오실로스코프에서 Cursor로 최대/최소값을 측정하지 않앗습니다.
5 검토 및 느낀점
회로(20000Hz)를 보드선도로 측정하면 다음과 같은 그래프가 나타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한 전압 이득값으로 전력 이득값()를 구하게 되면 주어진 조건에서 거의 비슷한 이득값을 얻어낼 수 있다. 주파수에 따라 보드선도의 그래프는 약간씩 달라지지만, 이득값은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보드선도에선 1000Hz부터 약 50Khz까지 일정한 이득값을 나타내다가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실제 시뮬레이션 측정 결과 20Hz에서의 이득값은 2000Hz, 20000Hz와 다른값을 나타내었고, 출력 전력 최댓값과 전압이득값 역시 많은 차이를 보인다. 전력이득 값()은 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그리고 가변저항을 조정하게 되면, 0%일 때부터 100%가 될 때까지 저항이 증가할수록 전압의 이득값이 더 커지는걸 알게 되었고, 이에 따라 가변저항을 조정함으로써 오디오 전력 증폭기의 이득을 조정할 수 있는걸 알게 되었다.
● 20Khz일 때 가변저항 값에 따른 출력전력 및 그래프
0
%
90%
3
0%
9
5
%
6
0
%
1
0
0
%
2 설계 회로도
3 설계 결과 그래프
주파수 20Hz
주파수 2000Hz
주파수 20000Hz
4 설계 사양과 비교
항목
설계 결과(시뮬레이션)
비교
주파수
f = 20 Hz
전압 이득
Av 최대값
Vin(pp) = 0.007V
Vout(pp)=0.985V
Av = 140
전력이득 =43dB
출력 전력 Pout(rms) 최대값
Pout(rms) = 14.843mW
최대전력 0.5w 이하의 값이 나왔으며 설계조건에 만족한다.
주파수
f = 2,000 Hz
전압 이득
Av 최대값
Vin(pp) = 0.007V
Vout(pp)=5.803V
Av = 829
전력이득 =58.4dB
출력 전력 Pout(rms) 최대값
Pout(rms) = 498.637mW
최대전력 0.5w 이하의 값이 나왔으며 설계조건에 만족한다.
주파수
f = 20,000 Hz
전압 이득 Av 최 대값
Vin(pp) =0.007V
Vout(pp)=5.690V
Av = 813
전력이득 =58.2dB
출력 전력 Pout(rms) 최대값
Pout(rms) = 495.542mW
최대전력 0.5w 이하의 값이 나왔으며 설계조건에 만족한다.
멀티심 Grapher를 이용하여 엑셀로 최대값,최소값을 찾아내서 기입하였기 때문에, 오실로스코프에서 Cursor로 최대/최소값을 측정하지 않앗습니다.
5 검토 및 느낀점
회로(20000Hz)를 보드선도로 측정하면 다음과 같은 그래프가 나타난다.
시뮬레이션을 통해 구한 전압 이득값으로 전력 이득값()를 구하게 되면 주어진 조건에서 거의 비슷한 이득값을 얻어낼 수 있다. 주파수에 따라 보드선도의 그래프는 약간씩 달라지지만, 이득값은 비슷한 값을 나타냈다. 보드선도에선 1000Hz부터 약 50Khz까지 일정한 이득값을 나타내다가 이후 점차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낸다. 실제 시뮬레이션 측정 결과 20Hz에서의 이득값은 2000Hz, 20000Hz와 다른값을 나타내었고, 출력 전력 최댓값과 전압이득값 역시 많은 차이를 보인다. 전력이득 값()은 를 이용하여 구하였다. 그리고 가변저항을 조정하게 되면, 0%일 때부터 100%가 될 때까지 저항이 증가할수록 전압의 이득값이 더 커지는걸 알게 되었고, 이에 따라 가변저항을 조정함으로써 오디오 전력 증폭기의 이득을 조정할 수 있는걸 알게 되었다.
● 20Khz일 때 가변저항 값에 따른 출력전력 및 그래프
0
%
90%
3
0%
9
5
%
6
0
%
1
0
0
%
추천자료
전자회로 실험 실습기
전자오르간[전자회로 실험 텀프로젝트]
[전자회로실험] 정류기와 능동필터
[전자회로실험] 이미터팔로워 실험
[전자회로실험] 차동증폭기
[전자회로실험] 전압레귤레이션
Ch8. 멀티플랙서와 디멀티플랙서<디지털회로실험//경희대학교>
전자회로 실험(김동식 저) - 1장 다이오드 특성 및 반파 정류회로 실험
전자회로 실험 리포트
전자회로 실험 JFET특성
[전자회로실험] 이미터 접지 바이어스와 증폭도 발표자료입니다.
[전자공학실험] 예비보고서 02장 - 신호와 잡음, 그리고 접지 : 전기신호를 다루는 회로실험...
[전자회로 실험] 반파정류기와 전파정류기의 출력파형을 관찰하고 측정
전자회로 설계 및 실험 - 다이오드 특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