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과 테라피 (미술치료의 역사,의미,종류,이론, 융의 분석심리학)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미술과 테라피 (미술치료의 역사,의미,종류,이론, 융의 분석심리학)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go)
-인간의 마음에는 우선 나(자아)라는 것이 있고, 나의 둘레에는 의식이 있다. 내가 의식하고 있는 모든 것, 나의 생각, 나의마음, 내 느낌 등 무엇이든 자아를 통해서 연상되는 정신적 내용은 의식이다.
- 자아 콤플렉스 : 그런데 무의식을 바다에 비유한다면 의식은 자그마한 섬과 같다. 의식은 우리 정신의 모든 것을 대변하지 않으며, 그것은 극히 자그마한 일부에 지나지 않는다. 자아란 그 자그마한 일부(의식)의 중심이다. 그래서 그것을 많은 콤플렉스의 하나로 보고 이를 자아 콤플렉스라 부른다.
-자기(self,=자기원형) : 자기는 성격의 모든 부분의 통일성, 완전성 및 전체성을 향해 노력하는 것으로 본 것이다. 이는 또한 의식과 무의식 과정의 통화를 이루려 노력한다. 융은 자기를 하나의 원형으로 보아 자기원형이라는 표현도 아울러 쓰고 있다. 자아(ego)가 의식 세계의 중심이라면, 자기(self)는 의식과 무의식을 통틀어 전체 성격의 중심이라고 할 수 있다.
8) 정신(마음의 구조)
-정신은 상호 작용하는 여러 가지 체계와 수준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의식, 개인 무의식, 집단무의식이다.
-의식 체계 중 자아 : 의식체계에는 자아가 있다. 의식의 작용은 사물을 지각하고 인식하고 평가하고 선택하며 결단하는 것이다. 이를 관찰하는 것이 자아이다.
-무의식 체계 중 개인적 무의식 : 억압된 욕망과 충동들뿐 아니라 단순히 잊어버리거나 지나친 개인적 경험의 내용들도 포함되어 있다. 개인적 무의식은 개인의 특수한 생활 경험과 관련되고 개인의 성격상의 특성을 이루는 것들이다.
-무의식 체계 중 집단적 무의식 : 원형, 아니마, 아니무스 등 인류의 근원적 속성이다. 자기는 이 모든 것을 아우르는 중심 역할을 한다.
9)외향성과 내향성
-융은 개인이 지향하는 태도를 크게 외향성과 내향성으로 나누었다.
-외향성 : 외향성의 사람은 심리적 에너지로서의 리비도가 외부, 다른 사람 등 객관의 세계로 흐른다.
-내향성 : 내향성의 사람은 에너지를 밖으로 내보내지 않고 가능한 한 안에 간직하려 한다. 주관적 삶에 방향과 가치를 두며, 자신의 내적 충실을 가하고자 노력한다.
10) 융의 4가지 기능 제시
-융은 개인이 세상을 경험하고, 이에 대처하는 방식으로 4가지 기능을 제시한 바 있다. 4가지는 사고, 감정, 감각, 직관으로 이 4가지 중 가장 발달 된 것을 주기능이라 하고, 가장 발달이 안 된 기능을 열등기능이라 이름 붙였다.

키워드

추천자료

  • 가격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1.01
  • 저작시기2014.8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23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