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경음화 현상은 ㅂ, ㄷ, ㄱ, ㅅ, ㅈ이 음절의 말음 ㅂ, ㄷ, ㄱ 뒤에서 경음이 되는 현상으로 ‘먹보’ [먹뽀], ‘믿다’ [믿따], ‘입고’ [입꼬], ‘입술’ [입쑬], ‘잡자’ [잡짜] 등의 예가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로는 장애음의 경음화 현상을 적용 하여 발음하지 않아도 의사소통에 큰 문제가 되지 않기 때문에 반드시 교육해야 하는 항목은 아닙니다.
동일 조음위치 장애음 탈락 현상은 음절말음 ㅂ, ㄷ, ㄱ이 동일한 조음위치를 가진 장애음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으로 ㅂ은 ㅂ, ㅍ, ㅃ 앞에서, ㄷ은 ㄷ, ㅌ, ㄸ, ㅅ, ㅆ,ㅈ, ㅊ, ㅉ 앞에서, ㄱ은 ㄱ, ㅋ, ㄲ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으로 ‘밥보다’ [밥뽀다]→[바뽀다], ‘맡다’ [맏따]→[마따], ‘믿습’니다 [믿씀니다]→[미씀니다], ‘웃자’ [
동일 조음위치 장애음 탈락 현상은 음절말음 ㅂ, ㄷ, ㄱ이 동일한 조음위치를 가진 장애음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으로 ㅂ은 ㅂ, ㅍ, ㅃ 앞에서, ㄷ은 ㄷ, ㅌ, ㄸ, ㅅ, ㅆ,ㅈ, ㅊ, ㅉ 앞에서, ㄱ은 ㄱ, ㅋ, ㄲ 앞에서 탈락하는 현상으로 ‘밥보다’ [밥뽀다]→[바뽀다], ‘맡다’ [맏따]→[마따], ‘믿습’니다 [믿씀니다]→[미씀니다], ‘웃자’ [
추천자료
한국어와 핵 이동: 종결형을 중심으로
남성어와 여성어의 음운, 어휘의 차이
결혼이주여성의 의사소통 문제
국어교육과 한국어 교육
미래 한국어의 개선 과제 개요
다언어사회에서의 다언어현상과 양층언어현상
한국어학과 한국어교육.(정체성위주)
[교육대학원 한국어학과 석사과정-한국어교육개론] 한류 열풍에 따른 세계 속의 한국어교육 현장
국문학 - 언어의 계통과 그에 대한 연구 방법, 한국어와 알타이어의 관계에 대한 견해, 알타...
[교재교수법]교재만들기(다문화가족을 위한 한국어) - 제1과 학교상담, 제2과 환불, 제3과 숙...
[국어교육]한국어 교육의 특수성과 한국어 교사의 전문성
우리나라의 다문화 현상과 관련하여 고려해야 할 과제를 최소한 5가지 이상 제시.
외국어습득론(모국어와 외국어 습득 비교)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문제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