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언어의 계통과 그에 대한 연구 방법
2. 한국어와 알타이어의 관계에 대한 견해
3. 알타이어와 국어의 관계
참고문헌
2. 한국어와 알타이어의 관계에 대한 견해
3. 알타이어와 국어의 관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말한다. 터키어에서 가장 잘 지켜지며, 국어의 경우도 15세기 중엽의 모음조화가 현대 국어보다는 그 체계가 정연했다. ② 어두에 자음군이 오지 못한다. 어두음 제약의 일종으로 한국어의 경우 한 때 자음군으로 판단되는 요소가 나타나기도 하였으나 이것은 일시적인 것으로 판단된다. 국어와 알타이제어에는 볼래 r로 시작하는 단어는 없었던 것으로 믿어지며 외래어의 r은 모음이 첨가되거나 n으로 바뀌었다. ③ 어두에 유음이 오지 못하는 등의 자음 조직상의 제약을 받는다. 이것 역시 어두음 제약 의 일종으로 어두 위치에 유음이 분포할 수 없는 것을 말한다. 예) 리발소 -> 이발소 ④ 형태론적으로 볼 때 교착성(膠着性)의 특징을 보인다. 이것은 어간에 접미사가 첨가되어 문법 기능을 나타내므로 첨가어 또는 교착어라고 한다. 예) 알타이 제어 : 철수는 집에 가ㅆ다. 영희가 밥을 먹는다. ⑤ 자음교체나 모음교체가 문법적 기능을 수행하지 않는다. 즉 문법적 기능은 전적으로 접미사에 의존하므로 인도-유럽어에서처럼 모음교체나 자음교체가 문법적 기능을 담당하지 않는다. 모음과 자음이 바뀜으로써 나타나는 차이는 감정가치의 문제지 문법적인 문제는 아니다. 예) 파랗다-퍼렇다, 붉다-
추천자료
국문학-가사의 명칭,발생,성격,분류
[국문학] 남궁선생전 (南宮先生傳)에 대해서
[국문학]심청전에 대한 연구
[국문학] 방한림전에 대한 연구
[국문학] 설화의 갈래에 따른 특성 비교
국어국문학 국어의미론 요점정리
국문학 - 덴마크의 문학 예술
국문학 - 노르웨이의 문학 예술
[국문학] 원전 구운몽과 최인훈의 구운몽 비교 분석
인문학으로서의 국어국문학
[국어국문학개론]영어절의 의미분석에 관한 연구
[국문학개론] - 동유럽 지역의 한국어 교육과 문법 교육,동유럽 각국 대학교의 한국어 교육, ...
[국문학개론]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문법 연구,-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문법 1, 2의 검토를 ...
[국문학개론] -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에서 문화를 통합시키기 위한 교육적 방안,외국어 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