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Ⅲ. 중환자실 실습 전 학습내용
1. 중환자 간호의 기본개념
2. 중환자 간호에 필요한 호흡기계, 심맥관계, 신경계 해부․생리
Ⅳ. 중환자실 실습 내용
1. 중환자실의 장비와 기구
2. 중환자의 진단적 검사
3. 중환자실 실습내용을 기록하시오. (이것은 개인적으로 기록하는 것으로 제외함)
4. 중환자실 질환명 정의
5. 중환자실 질환명 정의
6. 두부를 그린 후 ICH, SDH, EDH, IVH의 부위를 표시하시오.
7. CPCR에 대해 기술 하시오.
8. ventilator 적용 대상자 간호
9. CCU 입원대상자 간호
10. ICU에서 흔히 쓰는 약물
1. 중환자 간호의 기본개념
2. 중환자 간호에 필요한 호흡기계, 심맥관계, 신경계 해부․생리
Ⅳ. 중환자실 실습 내용
1. 중환자실의 장비와 기구
2. 중환자의 진단적 검사
3. 중환자실 실습내용을 기록하시오. (이것은 개인적으로 기록하는 것으로 제외함)
4. 중환자실 질환명 정의
5. 중환자실 질환명 정의
6. 두부를 그린 후 ICH, SDH, EDH, IVH의 부위를 표시하시오.
7. CPCR에 대해 기술 하시오.
8. ventilator 적용 대상자 간호
9. CCU 입원대상자 간호
10. ICU에서 흔히 쓰는 약물
본문내용
면 좌위, 반좌위를 취하게 하고 섭취량을 기록한다.
소화되지 않은 잔류음식이 50~60cc가 넘으며 의사에게 보고하고 영양시간을 늦춘다.
참고사이트 경관급식 - http://kr.blog.yahoo.com
/guy014810210/1243151
참고사이트 비관급식 - http://cafe.naver.com/ll313316
.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80&
CAVH set
목적 : 신부전환자에게 시행되는 방법으로서 투석기와 투석막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최종 대사산물을 제거하고 혈액완충계의보충과 산독증을 교정한다.
간호 : 도관과 출구를 관찰할 때는 반드시 손을 씻습니다.
도관과 피부 출구를 매일 조심스럽게 관찰합니다.
출구부위 소독은 하루 1회씩 병원에서 처방한 소독약을 이용하여 소독합니다.
복강 도관을 고정테이프로 잘 고정해서 꼬이거나 잡아당겨지지 않게 합니다.
참고사이트 http://md.khmc.or.kr/03/01_07_1.php
장비와 기구
사용 목적 및 간호
치 료 기 구
혈장교환기
목적 : 혈액속의 독소, 이물질을 제거하고 신선한 혈장으로 교환한다.
간호 :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부작용 여부를 관찰한다.
침대
감압용 침대 (물, 공기, 실리콘)
목적 : 대상자의 피부 손상(욕창 등)을 예방하고 압력을 적게 받게 한다.
간호 : 피부손상방지를 위하여 감압용 침대 매트리스를 사용하고 4시간마다 피부를 사정하고 마사지를 시행한다.
체온조절 침대
목적 : 체온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순환작용을 돕는다.
간호 : 체온을 유지하여 순환을 돕고 대상자가 감각이 없을 경우 화상 등에 주의한다.
특수 치료 침대 (↑견인침대)
목적 : 전신화상이나 특수하게 다친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이다.
간호 : 자료를 찾지 못하였습니다.
기타
안정 장비, 기구
목적 : 보호난간-침대에 있을 때나 침대에서 의자로 이동할 때 대상자의 이동과 안전을 위한 장치이다.
억제대-움직임을 제한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로 위험한 상황에서 손상의 위험이 있는 대상자에게 사용한다.
간호 : 안전을 위해 침상난간을 올려준다.
억제대 사용은 최소한으로 하며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
EVD set
목적 :두개내압이 상승되고 의식이 악화될 때 뇌척수액을 배액시켜 두개내압을 조절한다.
간호 : ICP값과 파형을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모든 연결부위가 안전한지 수시로 관찰한다.
2. 중환자의 진단적 검사
검사명
검사 목적
검사 전 간호
검사 후 간호
X-ray
방사선 검사
방사선이 조직을 관통하여 인체구조의 윤곽을 알고자 함이다.
검사과정을 설명한다.
금속물질은 미리 제거하게 한다.
검사후 특별한 부작용은 없다. 다만 X선에 노출된다는 점이 있기는 하지만 진단 목적의 단순촬영시 노출되는 X선의 양은 미미하여 부작용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참고사이트 http://health.naver.com/medical/testAndTreat/detail.nhn?checkupTreatmentMethodCode=BA000041&checkupTreatmentMethodTypeCode=BA&selectedTab=detail#con
CT
컴퓨터 단층 촬영
조영제사용하는 방사선검사로 병리적 상태를 진단하고자 함이다.
검사 전4시간 동안 금식 한다.
조영제로 인한 과민반응 여부를 사정한다
검사 도중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고 알려준다.
수분섭취를 권장하여 조영제가 쉽게 배출되도록 한다.
MRI
자기공명 영상술
비침습적인 진단법으로 자기장을 이용하여 신체의 생화학정보를 알고자 함이다.
성인의 경우 금식이 힐요하지 않다.
금속성 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검사 전에 방광을 비우게 한다.
특별한 검사후 간호는 없음.
MRI 검사로 인한 부작용은 없으며 영상 촬영 시 함께 사용되는 조영제 알레르기성 약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참고사이트http://health.naver.com/medical/testAndTreat/detail.nhn?checkupTreatmentMethodCode=BA000011&checkupTreatmentMethodTypeCode=BA&selectedTab=detail#con
Angiography
가느다란 카테터를 현관내에 삽입한 후 조영제를 주입하여 혈관을 볼 수 있는 침습적인 방법으로써 혈관상태를 알고자 함이다.
검사절차를 설명하고 조영제에 대한 알레르기유뮤를 사정한다.
조영제가 주입될 때 열감을 느낄 수 있음을 알려준다.
검사 전날 자정부터 금식한다.
천자부위 회복을 위해 검사 후 8시간도안 침상 안정을 권한다.
도관 삽입 부위에의 출혈, 감염 등이 있는지 관찰한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한다.
PAWP, PCWP
폐동맥압,
폐동맥 쐐기압
심한 심부전 환자나 심인성 쇼크, 심장 수술 후 환자에게 측정함으로써 폐울혈과 좌심의 기능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사정하기 위함이다.
측정후 즉시 풍선에서 공기를 빼내야 하며 폐순환이 일어나지 않아 손상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몇 초 이상 팽창된 채로 두어서는 안된다.
catheter 삽입부위 매일 드레싱을 시행한다.
압력 측정마다 cailbration을 시도한다.
지속적으로 수액을 주입해 line을 유지한다.
참고사이트
http://blog.naver.com/tulipie?Redirect=Log&logNo=80011193833
EKG
심전도
심장주기 동안 심장이 생산하는 전기적인 자극을 그래프로 나타내고,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알고자 함이다.
절차를 설명하고 불편감이 없다는 것을 알린다.
피부에 소량의 전극젤을 바른다.
전극과 전선을 연결시킨다.
심전도가 기록된 후 전극을 모두 제거하고 젤을 닦아낸다.
Holter monitor 검사 중 일 경우는 일기를 쓰고 사건을 기록하도록 설명을 하고, Monitor가 전지 않게 목욕, 수영 등 금지시킨다.
Cardio-cathetherization
심도자술
조영제사용하는 방사선 검사로 심방, 동맥, 대혈관 및 판막성 심질환 사정하기 위해 시행한다.
사전 동의서를 받고 절차를 설명한다.
도관삽입 부위를 면도하고 감염의 방지를 위해 소독용 솔로 닦는다.
6~8시간 금식시킨다.
말초맥박이 만져지는 부위를
소화되지 않은 잔류음식이 50~60cc가 넘으며 의사에게 보고하고 영양시간을 늦춘다.
참고사이트 경관급식 - http://kr.blog.yahoo.com
/guy014810210/1243151
참고사이트 비관급식 - http://cafe.naver.com/ll313316
.cafe?iframe_url=/ArticleRead.nhn%3Farticleid=380&
CAVH set
목적 : 신부전환자에게 시행되는 방법으로서 투석기와 투석막을 이용하여 단백질의 최종 대사산물을 제거하고 혈액완충계의보충과 산독증을 교정한다.
간호 : 도관과 출구를 관찰할 때는 반드시 손을 씻습니다.
도관과 피부 출구를 매일 조심스럽게 관찰합니다.
출구부위 소독은 하루 1회씩 병원에서 처방한 소독약을 이용하여 소독합니다.
복강 도관을 고정테이프로 잘 고정해서 꼬이거나 잡아당겨지지 않게 합니다.
참고사이트 http://md.khmc.or.kr/03/01_07_1.php
장비와 기구
사용 목적 및 간호
치 료 기 구
혈장교환기
목적 : 혈액속의 독소, 이물질을 제거하고 신선한 혈장으로 교환한다.
간호 : 활력징후를 측정하고 부작용 여부를 관찰한다.
침대
감압용 침대 (물, 공기, 실리콘)
목적 : 대상자의 피부 손상(욕창 등)을 예방하고 압력을 적게 받게 한다.
간호 : 피부손상방지를 위하여 감압용 침대 매트리스를 사용하고 4시간마다 피부를 사정하고 마사지를 시행한다.
체온조절 침대
목적 : 체온을 적절하게 유지하여 순환작용을 돕는다.
간호 : 체온을 유지하여 순환을 돕고 대상자가 감각이 없을 경우 화상 등에 주의한다.
특수 치료 침대 (↑견인침대)
목적 : 전신화상이나 특수하게 다친 환자들을 치료하기 위한 목적이다.
간호 : 자료를 찾지 못하였습니다.
기타
안정 장비, 기구
목적 : 보호난간-침대에 있을 때나 침대에서 의자로 이동할 때 대상자의 이동과 안전을 위한 장치이다.
억제대-움직임을 제한하는데 사용하는 도구로 위험한 상황에서 손상의 위험이 있는 대상자에게 사용한다.
간호 : 안전을 위해 침상난간을 올려준다.
억제대 사용은 최소한으로 하며 필요한 경우에 사용한다.
EVD set
목적 :두개내압이 상승되고 의식이 악화될 때 뇌척수액을 배액시켜 두개내압을 조절한다.
간호 : ICP값과 파형을 주기적으로 관찰하고 모든 연결부위가 안전한지 수시로 관찰한다.
2. 중환자의 진단적 검사
검사명
검사 목적
검사 전 간호
검사 후 간호
X-ray
방사선 검사
방사선이 조직을 관통하여 인체구조의 윤곽을 알고자 함이다.
검사과정을 설명한다.
금속물질은 미리 제거하게 한다.
검사후 특별한 부작용은 없다. 다만 X선에 노출된다는 점이 있기는 하지만 진단 목적의 단순촬영시 노출되는 X선의 양은 미미하여 부작용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참고사이트 http://health.naver.com/medical/testAndTreat/detail.nhn?checkupTreatmentMethodCode=BA000041&checkupTreatmentMethodTypeCode=BA&selectedTab=detail#con
CT
컴퓨터 단층 촬영
조영제사용하는 방사선검사로 병리적 상태를 진단하고자 함이다.
검사 전4시간 동안 금식 한다.
조영제로 인한 과민반응 여부를 사정한다
검사 도중 움직이지 말아야 한다고 알려준다.
수분섭취를 권장하여 조영제가 쉽게 배출되도록 한다.
MRI
자기공명 영상술
비침습적인 진단법으로 자기장을 이용하여 신체의 생화학정보를 알고자 함이다.
성인의 경우 금식이 힐요하지 않다.
금속성 물질을 제거하도록 한다.
검사 전에 방광을 비우게 한다.
특별한 검사후 간호는 없음.
MRI 검사로 인한 부작용은 없으며 영상 촬영 시 함께 사용되는 조영제 알레르기성 약물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다.
참고사이트http://health.naver.com/medical/testAndTreat/detail.nhn?checkupTreatmentMethodCode=BA000011&checkupTreatmentMethodTypeCode=BA&selectedTab=detail#con
Angiography
가느다란 카테터를 현관내에 삽입한 후 조영제를 주입하여 혈관을 볼 수 있는 침습적인 방법으로써 혈관상태를 알고자 함이다.
검사절차를 설명하고 조영제에 대한 알레르기유뮤를 사정한다.
조영제가 주입될 때 열감을 느낄 수 있음을 알려준다.
검사 전날 자정부터 금식한다.
천자부위 회복을 위해 검사 후 8시간도안 침상 안정을 권한다.
도관 삽입 부위에의 출혈, 감염 등이 있는지 관찰한다.
활력징후를 자주 측정한다.
PAWP, PCWP
폐동맥압,
폐동맥 쐐기압
심한 심부전 환자나 심인성 쇼크, 심장 수술 후 환자에게 측정함으로써 폐울혈과 좌심의 기능상태를 보다 정확하게 사정하기 위함이다.
측정후 즉시 풍선에서 공기를 빼내야 하며 폐순환이 일어나지 않아 손상받지 않도록 하기 위해 몇 초 이상 팽창된 채로 두어서는 안된다.
catheter 삽입부위 매일 드레싱을 시행한다.
압력 측정마다 cailbration을 시도한다.
지속적으로 수액을 주입해 line을 유지한다.
참고사이트
http://blog.naver.com/tulipie?Redirect=Log&logNo=80011193833
EKG
심전도
심장주기 동안 심장이 생산하는 전기적인 자극을 그래프로 나타내고, 심장의 전기적 활동을 알고자 함이다.
절차를 설명하고 불편감이 없다는 것을 알린다.
피부에 소량의 전극젤을 바른다.
전극과 전선을 연결시킨다.
심전도가 기록된 후 전극을 모두 제거하고 젤을 닦아낸다.
Holter monitor 검사 중 일 경우는 일기를 쓰고 사건을 기록하도록 설명을 하고, Monitor가 전지 않게 목욕, 수영 등 금지시킨다.
Cardio-cathetherization
심도자술
조영제사용하는 방사선 검사로 심방, 동맥, 대혈관 및 판막성 심질환 사정하기 위해 시행한다.
사전 동의서를 받고 절차를 설명한다.
도관삽입 부위를 면도하고 감염의 방지를 위해 소독용 솔로 닦는다.
6~8시간 금식시킨다.
말초맥박이 만져지는 부위를
키워드
추천자료
개인위생(기본간호학) 실습보고서
[논문] 배뇨 실습보고서(기본간호학)
신경계 장애 대상자 간호
[간호학] 자연분만(NSVD) 대상자 CASE
기본간호중재와수기 운동과동작 실습보고서
수술 전, 후 간호
간농양 대상자 간호
간호학과> 아두골반불균형-제왕절개 케이스스터디 (여성실습)
레빈 튜브 대상자 간호
[간호학 실습 케이스] TKR (Total Knee Replacement) 인공 슬관절 전치환술 케이스 [인공관절...
[여성간호학 실습 컨퍼런스] 제왕절개 케이스 Case Study
[간호과정 사례보고서 (내외과 양식)] 패혈증 (sepsis) 대상자 케이스 스터디 입니다.
[노인간호학 실습] 치매 dementi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기본 간호학 및 실습] 경구투약과 국소투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