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푸코의 권력] 푸코의 규율권력(기율권력)에 대하여 설명하여라
1. 규율권력
2. 규율권력의 작동 방식
1) 분할의 기술(art of distributions)- 공간의 배분 및 활용
2) 행위의 통제- 동작의 조율
3) 발생의 구조(organization of geneses)- 시간의 축적
4) 힘의 조합(composition of forces)
3. 규율권력의 기술과 수단
1) 위계적 감시(hierarchical observation)
2) 정상화 판단(normalizing judgement)
3) 검사(examination)
참고문헌
1. 규율권력
2. 규율권력의 작동 방식
1) 분할의 기술(art of distributions)- 공간의 배분 및 활용
2) 행위의 통제- 동작의 조율
3) 발생의 구조(organization of geneses)- 시간의 축적
4) 힘의 조합(composition of forces)
3. 규율권력의 기술과 수단
1) 위계적 감시(hierarchical observation)
2) 정상화 판단(normalizing judgement)
3) 검사(examination)
참고문헌
본문내용
이다. 따라서 검사는 개인들에 가시성을 부여하여, 그들을 구별하고 그들에 대한 판단을 내릴 수 있게 해주는 것이다. 바로 이러한 점 때문에 규율의 메커니즘 속에서 검사는 고도로 관례화 되어있다. “검사 안에는 권력의 의식(儀式)과 경험의 형식, 힘의 배치와 진리의 확립이 결합되어 있다.”
규율 과정의 한가운데에서 검사는 그 대상으로 여겨지는 자들의 예속과 예속된 자들의 객체화를 선언한다. 권력 관계와 지식관계의 중첩은 검사를 통해 명백히 드러난다. 그리하여 푸코는 “이 빈약한 기술에서 지식의 영역 전체, 권력의 종류 전체를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 즉, 정신병리학에서 교육학에 이르기까지, 병의 진단에서 노동력의 고용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우리에게 친숙하면서도 사소하게 여겨지는 이 검사야말로 권력 메커니즘에서 지식을 추출하여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일 수 있다며 푸코는 그 중요성을 강조한다.
푸코에 따르면 검사는 권력 행사의 특정한 형식과 지식 형성의 특정한 유형을 연결하는 전체 메커니즘을 도입하였다.
우선 검사는 권력 행사에서 가시성의 경제를 역전시켰다. 주권권력의 예에서도 드러나듯, 전통적으로 권력은 스스로를 드러내고 과시하는 것이었으며, 그러한 권력에 복종하는 자들은 기본적으로 어둠에 머무르며 그러한 권력으로부터 빛을 받거나, 또는 권력의 일부를 부여받아 반사할 뿐이었다. 그러나 규율권력은 자신의 모습을 최대한 드러내지 않으면서 행사되고, 오히려 권력에 복종하는 사람들이 의무적으로 가시성을 가져야 하게 된다. 규율권력에서 보여져야 하는 것은 권력이 아니라 복종하는 개인들인 것이다. 여기서 검사는 권력이 자신에게 복종하는 자들을 대상화하는 기술에 해당하게 된다. 규율권력은 대상의 배치를 통해 자신의 힘을 드러내는데 검사는 그러한 권력의 의식(儀式)에 해당하였다.
이러한 점은 주권권력의 정치적 의식이 화려하게 과장된 동시에 규범화된 ‘소비행위’, 예컨대 대관식이나 개선식과 같이 군주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에 집중된 것이었던 반면, 주권권력에서 규율권력으로 넘어가는 전환기의 정치적 의식은 화려한 형식과 검사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는 열병식이었다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열병식에서 신하들은 시선을 통해서만 모습을 드러내는 권력의 감시앞에 ‘객체’로 나타난다. 군주의 비영속적인 가시성은 신하들의 필연적인 가시성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또한 검사는 개별성(개인)이 기록의 장에 들어가게끔 한다. 검사는 신체와 시간에 관한 섬세한 기록을 남긴다. 검사는 집약적인 기록과 서류 보관의 체계를 수반하는 것이다. 기록은 규율 메커니즘의 본질적인 부분을 구성한다. 검사는 개인을 감시의 장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이들을 다시 기록의 네트워크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기록은 검사를 통해 확인된 개별적인 특징들을 동질화(homogenize)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정상성과 평균을 확인할 수 있게끔 하였다. 기록의 축적과 분류, 범주의 설정과 비교를 통해 평균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또한 기록의 장치 전체를 통해 두 가지 가능성이 생긴다. 첫째, 개인은 분석과 기술(記述)이 가능한 대상으로 구성된다. 이제 개인은 개별적인 행위와 특정 모습으로 환원되지 않고 나름의 소질과 능력의 진화 과정 전체를 통해 영속적인 지식체의 시선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둘째, 전체 현상에 대한 측정, 집단전체에 대한 서술, 집단적 사실에 대한 묘사, 개인들 간의 격차와 ‘인구’의 분포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규율(discipline)’은 그 단어의 다른 의미인 ‘학문(discipline)’과 연결된다. (정신의학과 같은) ‘임상적인’ 학문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개인을 학문의 대상으로 삼으며, 개인의 개별적인 기록을 전체로 통합하고 이를 누적시키는 체계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검사는 우리 각 개인을 ‘사례(case)’로 다룬다. 여기서의 사례는 지식의 대상이자 동시에 권력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법학에서 이야기되는 것처럼 어떤 행위를 규정하고 법률의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상황의 총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관찰되고 평가되어 기록되며 다른 개인들과 비교되는 개별성으로의 개인 그 자체를 뜻한다. 이와 같은 사례로서의 개인은 훈련되고, 교정되며, 분류되고, 정상화되며, 배제되게 될 것이었다. 오랫동안 개인은 평민이든 하층민이든지 간에 누구라도 개별적인 기술의 대상이 아니었다. 주목받고, 관찰되고, 상세하게 이야기되고, 매일같이 끊임없는 보고의 대상이 된다는 것은 하나의 특권을 가진 군주나 귀족에게나 있을 법한 일이었다. 한 인간의 일대기, 그 생애의 이야기, 생애의 흐름에 따라 작성되는 역사적 기록은 모두 그의 권위를 드러내주는 여러 의식의 구성요소들이었다. 그런데 규율의 방식은 이러한 관계를 전도시키고, 기술대상으로 삼는 개인의 수준을 낮추고 개인에 관한 기술을 하나의 통제수단과 지배방법이 되게 한다. 새로운 권력 양태에서 개인들은 각자의 개인성을 자신의 지위로 받아들이고, 자신을 특징짓고, 어떤 식으로든 자신을 하나의 ‘사례’로 만드는 특징이나 척도, 차이와 ‘평가’의 규약에 따라 묶여있게 된다. 푸코는 이러한 검사를 다음의 말로 정리한다.
결국 검사는 개인을 권력의 효과이자 대상으로, 지식의 효과이자 대상으로 구성하는 과정들의 중심에 있는 것이다. 검사는 위계화한 감시와 정상화 판단을 결합하여 배분과 분류, 힘과 시간의 최대 추출, 유전적(genetic) 축적의 지속, 적성에 대한 세포적, 유기적, 유전적, 조합적 개별성의 최적 결합이라는 거대한 규율적 기능을 보장하는 것이다. 개별적 차이에 관한 권력 양식이라는 한마디로 특징을 수 있는 규율은 이러한 검사에 의해 의례화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규율권력은 ‘분할의 기술’, ‘행위의 통제’, ‘발생의 구조’, ‘힘의 조립’의 방식들과 ‘위계적 감시’, ‘정상화 판단’, 그리고 이들을 결합하는 ‘검사’의 기술과 수단들을 통하여 작동하는 것이었다.
참고문헌
Foucault, Michel. 2009. 『감시와 처벌』. 오생근 역. 나남.
홍은영. 2004. 『푸코와 몸에 대한 전략』, 철학과 현실사, 2004,
규율 과정의 한가운데에서 검사는 그 대상으로 여겨지는 자들의 예속과 예속된 자들의 객체화를 선언한다. 권력 관계와 지식관계의 중첩은 검사를 통해 명백히 드러난다. 그리하여 푸코는 “이 빈약한 기술에서 지식의 영역 전체, 권력의 종류 전체를 발견할 수 있다”고 한다. 즉, 정신병리학에서 교육학에 이르기까지, 병의 진단에서 노동력의 고용에 이르기까지 광범위하게 활용되는, 우리에게 친숙하면서도 사소하게 여겨지는 이 검사야말로 권력 메커니즘에서 지식을 추출하여 구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만드는 것일 수 있다며 푸코는 그 중요성을 강조한다.
푸코에 따르면 검사는 권력 행사의 특정한 형식과 지식 형성의 특정한 유형을 연결하는 전체 메커니즘을 도입하였다.
우선 검사는 권력 행사에서 가시성의 경제를 역전시켰다. 주권권력의 예에서도 드러나듯, 전통적으로 권력은 스스로를 드러내고 과시하는 것이었으며, 그러한 권력에 복종하는 자들은 기본적으로 어둠에 머무르며 그러한 권력으로부터 빛을 받거나, 또는 권력의 일부를 부여받아 반사할 뿐이었다. 그러나 규율권력은 자신의 모습을 최대한 드러내지 않으면서 행사되고, 오히려 권력에 복종하는 사람들이 의무적으로 가시성을 가져야 하게 된다. 규율권력에서 보여져야 하는 것은 권력이 아니라 복종하는 개인들인 것이다. 여기서 검사는 권력이 자신에게 복종하는 자들을 대상화하는 기술에 해당하게 된다. 규율권력은 대상의 배치를 통해 자신의 힘을 드러내는데 검사는 그러한 권력의 의식(儀式)에 해당하였다.
이러한 점은 주권권력의 정치적 의식이 화려하게 과장된 동시에 규범화된 ‘소비행위’, 예컨대 대관식이나 개선식과 같이 군주의 영광을 드러내는 것에 집중된 것이었던 반면, 주권권력에서 규율권력으로 넘어가는 전환기의 정치적 의식은 화려한 형식과 검사의 결합이라고 할 수 있는 열병식이었다는 점에서 잘 드러난다. 열병식에서 신하들은 시선을 통해서만 모습을 드러내는 권력의 감시앞에 ‘객체’로 나타난다. 군주의 비영속적인 가시성은 신하들의 필연적인 가시성으로 전환되는 것이다.
또한 검사는 개별성(개인)이 기록의 장에 들어가게끔 한다. 검사는 신체와 시간에 관한 섬세한 기록을 남긴다. 검사는 집약적인 기록과 서류 보관의 체계를 수반하는 것이다. 기록은 규율 메커니즘의 본질적인 부분을 구성한다. 검사는 개인을 감시의 장에 위치시키는 동시에 이들을 다시 기록의 네트워크에 위치시키는 것이다. 기록은 검사를 통해 확인된 개별적인 특징들을 동질화(homogenize)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였으며, 정상성과 평균을 확인할 수 있게끔 하였다. 기록의 축적과 분류, 범주의 설정과 비교를 통해 평균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해진 것이다.
또한 기록의 장치 전체를 통해 두 가지 가능성이 생긴다. 첫째, 개인은 분석과 기술(記述)이 가능한 대상으로 구성된다. 이제 개인은 개별적인 행위와 특정 모습으로 환원되지 않고 나름의 소질과 능력의 진화 과정 전체를 통해 영속적인 지식체의 시선 아래에 위치하게 된다. 둘째, 전체 현상에 대한 측정, 집단전체에 대한 서술, 집단적 사실에 대한 묘사, 개인들 간의 격차와 ‘인구’의 분포에 대한 파악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맥락에서 ‘규율(discipline)’은 그 단어의 다른 의미인 ‘학문(discipline)’과 연결된다. (정신의학과 같은) ‘임상적인’ 학문이 성립하기 위해서는 개인을 학문의 대상으로 삼으며, 개인의 개별적인 기록을 전체로 통합하고 이를 누적시키는 체계가 필수적이기 때문이다.
검사는 우리 각 개인을 ‘사례(case)’로 다룬다. 여기서의 사례는 지식의 대상이자 동시에 권력의 대상이 되는 것으로, 법학에서 이야기되는 것처럼 어떤 행위를 규정하고 법률의 적용 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상황의 총체를 가리키는 것이 아니라, 관찰되고 평가되어 기록되며 다른 개인들과 비교되는 개별성으로의 개인 그 자체를 뜻한다. 이와 같은 사례로서의 개인은 훈련되고, 교정되며, 분류되고, 정상화되며, 배제되게 될 것이었다. 오랫동안 개인은 평민이든 하층민이든지 간에 누구라도 개별적인 기술의 대상이 아니었다. 주목받고, 관찰되고, 상세하게 이야기되고, 매일같이 끊임없는 보고의 대상이 된다는 것은 하나의 특권을 가진 군주나 귀족에게나 있을 법한 일이었다. 한 인간의 일대기, 그 생애의 이야기, 생애의 흐름에 따라 작성되는 역사적 기록은 모두 그의 권위를 드러내주는 여러 의식의 구성요소들이었다. 그런데 규율의 방식은 이러한 관계를 전도시키고, 기술대상으로 삼는 개인의 수준을 낮추고 개인에 관한 기술을 하나의 통제수단과 지배방법이 되게 한다. 새로운 권력 양태에서 개인들은 각자의 개인성을 자신의 지위로 받아들이고, 자신을 특징짓고, 어떤 식으로든 자신을 하나의 ‘사례’로 만드는 특징이나 척도, 차이와 ‘평가’의 규약에 따라 묶여있게 된다. 푸코는 이러한 검사를 다음의 말로 정리한다.
결국 검사는 개인을 권력의 효과이자 대상으로, 지식의 효과이자 대상으로 구성하는 과정들의 중심에 있는 것이다. 검사는 위계화한 감시와 정상화 판단을 결합하여 배분과 분류, 힘과 시간의 최대 추출, 유전적(genetic) 축적의 지속, 적성에 대한 세포적, 유기적, 유전적, 조합적 개별성의 최적 결합이라는 거대한 규율적 기능을 보장하는 것이다. 개별적 차이에 관한 권력 양식이라는 한마디로 특징을 수 있는 규율은 이러한 검사에 의해 의례화된다.
지금까지 살펴본 것처럼 규율권력은 ‘분할의 기술’, ‘행위의 통제’, ‘발생의 구조’, ‘힘의 조립’의 방식들과 ‘위계적 감시’, ‘정상화 판단’, 그리고 이들을 결합하는 ‘검사’의 기술과 수단들을 통하여 작동하는 것이었다.
참고문헌
Foucault, Michel. 2009. 『감시와 처벌』. 오생근 역. 나남.
홍은영. 2004. 『푸코와 몸에 대한 전략』, 철학과 현실사, 2004,
추천자료
포스트 모더니즘의 철학적 이해 (포스트모더니즘)
부르디외 읽기(부르디외에 대한 이해를 위한 참고 자료입니다.)
여성의 몸에 대한 사회적 인식과 여성운동
생명 공학과 생명 윤리 그리고 줄기 세포
이성애제도와 가족제도
[인문과학] 감시와 처벌 [독후감]
[경상대] ‘여성과 사회’에 대한 자료입니다.★
멀티미디어와 역사 레포트
대중 문화 속 포스트 모더니즘의 특징 ppt
[책요약] 페미니즘 정치사상사 캐럴 페이트만 저
슈퍼 파놉티콘(Super-panopticon)의 개념과 특징 및 전망.pptx
현대의서양문화4학년A) 라캉의 주체 개념에 대해 설명하시오,라캉의 주체 개념의 개요
방통대 영화기획제작 - 단편영화 기획서와 시놉시스
[독후감] 감시와 처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