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목차
서론
①정의
②적응증
⑴자궁 평활근종
⑵비정상적 자궁 출혈
⑶난치성 생리통
⑷골반통
⑸자궁경부 상피 내 종양
⑹자궁탈수
⑺산과 응급시
⑻자궁내막염
⑼암
⑽난소종괴
③합병증
⑴요로계 손상
⑵방광 손상
⑶장손상
⑷출혈
③수술부위
⑴부분자궁절제술
⑵전자궁절제술
⑶난소절제술을 동반한 전자궁절제술
⑷근치자궁절제술
④수술간호
⑴수술을 위한 정서 심리적 준비
⑵수술 전 간호
⑶수술 후 간호
Ⓐ신체간호
Ⓑ심리적, 성적 간호
Ⓒ퇴원교육과 추후 간호
⑤수술방법
⑴수술 도구
ⒶSurgical needle
ⒷNeedle holders
Ⓒscalpel
ⒹScissors
ⒺTissue forceps
ⒻClamps
ⒼRetractors
ⒽDilators
⑵Abdominal Dressing
Ⓐ소독시기
Ⓑ소독범위
Ⓒ소독방법
⑶abdominal wall incsion
Ⓐ횡복벽 절개
Ⓑ종복벽 절개
Ⓒ반복절개 주의사항
⑷Wound closure
Ⓐperitoneal closure
Ⓑrectus muscle approximation
Ⓒfascial closure
Ⓓsubcutaneous layer closure
Ⓔskin closure
⑸abdominal hysterectomy
⑹vaginal hysterectomy
Ⓐ수술전 평가
Ⓑ수술시 준비
Ⓒ수술방법
⑺laparoscopic
Ⓐinstrumentation
ⒷLAVH 특징
Ⓒ수술방법
⑥hysterectomy와 연관된 여성 질병
⑴자궁종양
1.자궁의 양성종양
Ⓐ자궁용종
⒜자궁내막 용종
⒝자궁경부 용종
Ⓑ자궁근종
⒜빈도
⒝원인
⒞유형
⒟증상
⒠근종의 2차변성
⒡자궁근종과 임신
2.자궁 경부 상피 내 종양
Ⓐ자궁경부 상피의 구성
Ⓑ원인
Ⓒ세포진검사의 분류체계
Ⓓ진단
⒜질세포진검사
⒝질확대경검사
⒞HPV 유형검사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
3.자궁의 악성종양
Ⓐ침윤성 자궁경부암
⒜증상
⒝병리적 유형
⒞병기분류
⒟전파양상
⒠침윤성 병소의 질확대경 검사
Ⓑ자궁내막암
⒜병리적 유형
⒝증상
⒞진단
⒟유형
⒠외과적 병기분류
⒡예후예측요인
Ⓒ자궁육종
⑵난소종양
1.난소의 악성종양
Ⓐ상피성 난소암
⒜분류
⒝상피성 난소암의 유적전 위험
⒞증상
⒟진단
⒠전파양상
⒡병기분류
Ⓑ비상피성 난소암
⒜생식세포 종양
a.분류
b.증상
c.진단
d.유형
⒝성삭간질세포종양
a.과립막 간질세포종
▶진단
▶예후
b.세르톨리라
①정의
②적응증
⑴자궁 평활근종
⑵비정상적 자궁 출혈
⑶난치성 생리통
⑷골반통
⑸자궁경부 상피 내 종양
⑹자궁탈수
⑺산과 응급시
⑻자궁내막염
⑼암
⑽난소종괴
③합병증
⑴요로계 손상
⑵방광 손상
⑶장손상
⑷출혈
③수술부위
⑴부분자궁절제술
⑵전자궁절제술
⑶난소절제술을 동반한 전자궁절제술
⑷근치자궁절제술
④수술간호
⑴수술을 위한 정서 심리적 준비
⑵수술 전 간호
⑶수술 후 간호
Ⓐ신체간호
Ⓑ심리적, 성적 간호
Ⓒ퇴원교육과 추후 간호
⑤수술방법
⑴수술 도구
ⒶSurgical needle
ⒷNeedle holders
Ⓒscalpel
ⒹScissors
ⒺTissue forceps
ⒻClamps
ⒼRetractors
ⒽDilators
⑵Abdominal Dressing
Ⓐ소독시기
Ⓑ소독범위
Ⓒ소독방법
⑶abdominal wall incsion
Ⓐ횡복벽 절개
Ⓑ종복벽 절개
Ⓒ반복절개 주의사항
⑷Wound closure
Ⓐperitoneal closure
Ⓑrectus muscle approximation
Ⓒfascial closure
Ⓓsubcutaneous layer closure
Ⓔskin closure
⑸abdominal hysterectomy
⑹vaginal hysterectomy
Ⓐ수술전 평가
Ⓑ수술시 준비
Ⓒ수술방법
⑺laparoscopic
Ⓐinstrumentation
ⒷLAVH 특징
Ⓒ수술방법
⑥hysterectomy와 연관된 여성 질병
⑴자궁종양
1.자궁의 양성종양
Ⓐ자궁용종
⒜자궁내막 용종
⒝자궁경부 용종
Ⓑ자궁근종
⒜빈도
⒝원인
⒞유형
⒟증상
⒠근종의 2차변성
⒡자궁근종과 임신
2.자궁 경부 상피 내 종양
Ⓐ자궁경부 상피의 구성
Ⓑ원인
Ⓒ세포진검사의 분류체계
Ⓓ진단
⒜질세포진검사
⒝질확대경검사
⒞HPV 유형검사
⒟자궁경부 확대 촬영술
3.자궁의 악성종양
Ⓐ침윤성 자궁경부암
⒜증상
⒝병리적 유형
⒞병기분류
⒟전파양상
⒠침윤성 병소의 질확대경 검사
Ⓑ자궁내막암
⒜병리적 유형
⒝증상
⒞진단
⒟유형
⒠외과적 병기분류
⒡예후예측요인
Ⓒ자궁육종
⑵난소종양
1.난소의 악성종양
Ⓐ상피성 난소암
⒜분류
⒝상피성 난소암의 유적전 위험
⒞증상
⒟진단
⒠전파양상
⒡병기분류
Ⓑ비상피성 난소암
⒜생식세포 종양
a.분류
b.증상
c.진단
d.유형
⒝성삭간질세포종양
a.과립막 간질세포종
▶진단
▶예후
b.세르톨리라
본문내용
e), 비각화성 대세포형(large cell type), 그리고 소세포형(small cell type)이 있다. 소세포형은 다시 미분 화 편형상피세포암과 소세포퇴화암(small cell anaplastic carcinoma)으로 분류되는데, 각화가 있던 없던 대세포형이 소세포형보다 예후가 좋고, 소세 포형은 소세포퇴화암보다 미분화 편평상피세포암이 예후가 좋다.
b.자궁경부 선암
최근에는 20대와 40대 여성에서 경부선암(adeno carcinoma of the cervix) 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상피 내 선암(adenocarcinoma in situ, AIS) 은 침윤성 선암의 전구자로 생각되며, 상피 내 또는 침윤성 편평세포암은 경부선 암의 30~50%에서 발생한다. 선암은 경부 표본채취로 확인될 수 있 으나 편평세포암보다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진단을 위해서는 경부 원추생검이 요구된다.
c.자궁경부 선편평상피세포암
침윤성 선암은 편평상피세포암(adenosquamous carcinoma)과 함께 발생할 수 있으며 몇 가지 변형이 있다. 먼저 악성선종(minimal deviation adenocarcinoma. adenoma malignum)은 가장 잘 분화된 Well-differentiated)형태의 암이다. 융모선 유두상 선종(villoglandular papillary adenocarcinoma)은 최근에 알려졌는데 이는 일차적으로 경구피임 제를 사용하는 여성이나 임신 여성 등 젊은 여성에서 발생한다. 조직학적으 로 종양은 매끄럽고 경계가 분명하며 잘 분화되어 있고 상피내에 있거나 표 면에 침윤되어 있다. 이 종양은 경부 원추 생검 후에는 재발되지 않는다.
d.기타 자궁 경부암
육종(sarcoma)이 대표적이며, 가장 대표적인 육종은 태생성 횡문 근육종 (embryonal rhabdomyosarcoma)으로 이는 어린이나 젊은 여성에서 발생한 다.
⒞병기분류
외과적 병기(surgical staging)는 많은 환자에서 실제적이거나 수행 가능하지 도 않으나 임상적 병기에 비해 정확하다. 임성적 병기 결정을 위해 이용되는 검사에는 Chest PA X-Ray, 방광경 검사, 직장경 검사, 경정맥 신우조영 술)IVP 및 바륨관장(barium enema)등이 있다.
자궁경부암의 임상적 병기 (FIGO)
침윤전 암
0기
상피내암(Carcinoma in situ, intraepithelial carcinoma)
침윤 암
1기:암이 경부에만 국한
Ⅰa:임상적 증상이 없이 현미경적 소견에서만 발견
I a1
3㎜이하 침윤
I a2
기저상피세포부터 수직으로 3~5㎜침윤 또는 수평적으로 7㎜이하 침윤
Ⅰb:5㎜이상 침윤 병소
I a1
4㎝ 이하 병소
I a2
4㎝ 이상 병소
2기:경부이상 전파 그러나 골반벽을 침범하지 않음. 질침범 그러나 질하부 1/3 침범치 않음
Ⅱa
자궁외막 침윤이 없음
Ⅱb
자궁외막 침윤이 있음
3기:골반벽 이상 침범, 질하부 1/3까지 침범
Ⅲa
골반벽까지 전파되지 않음
Ⅲb
골반벽 전파와 수신증 또는 신부전증
4기:진골반 밖으로 전파 또는 방광이나 직장 점막 침범, 수포성 부종이 있는 경우는 4기에 포함되지 않음
Ⅳa
인접장기로 전이
Ⅳb
원위장기로 전이
⒟전파양상
경부암의 전파양상
1. 자궁경부 간질, 자궁체부, 질과 자궁강 결합조직으로 직접침윤
2. 림프성 전이
림프절 전이 비율
1기 15~20%
2기 25~40%
3기 >50%
4기 50~80%
3. 혈액성 전이
4. 복강 내 파급
경부암의 전파는 경부기질, 체부, 질과 자궁외막(parametrim)으로의 직접전 이, 림프전이, 혈액전이, 복막 내 착상(intraperitoneal implantation)의 양상으 로 전파된다.
⒠침윤성 병소의 질확대경 검사
질세포진검사에서 초기 침윤성 암이 의심되나 육안적으로 정상으로 보이는 경 부일 경우 질확대경검사는 꼭 필요하다. 침윤을 의미하는 질확대경검사 결과 는 첫째로 비정상혈관이 보일경우(이는 신생물의 성장으로 영양 요구가 증가 되어 혈관 증식 때문임)이며 둘째로, 상피세포 표면이 소실되거나 윤곽이 불 규칙한 경우이고 셋째로 색깔변화(이는 혈관성의 증가와 표면상피세포괴사 또 는 케라틴 생산의 결과때문임)가 있는 경우이다.
⑵자궁내막암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ncer)은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 여성암의 5%를 차지 하며 최근 증가추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모든 부인암의 1/4을 차지하는 가장 일반적인 여성생식기 암이다. 연간 약 34000명의 여성이 진단받으며 6000명이 사망에 이른다. 미국의 경우 자궁내막암은 유방암, 대장 암, 폐암에 이어 4번째를 차지하는 암이며, 여성에서 암으로 사망에 이르게 하 는 7번째 암이다. 전체적으로 여성의 2~3%에서 일생 동안 자궁내막암으로 발 달한다.
최근 자궁내막암 발생 빈도가 증가되는 이유는 경부암의 발생빈도와 사망률의 감소, 평균수명의 연장, 호르몬대처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의 폐경 후 사용증가 및 조기진단 때문이다. 또한 쉽게 적용 가능한 진단적 도구 및 자궁내막의 전암 상태에 대한 이해가 증가되면서 자궁매낙암의 진단이 증가 되었다. 미국의 경우 현재 자궁내막암으로 인한 사망은 경부암을 능가하고 있 다. 자궁내막암은 일차적으로 폐경 후 여성에서 발생하는 질환이며, 나이가 들 면서 악성이 증가한다. 즉 평균 발생연령은 60세로 대상자의 75%가 50세 이상 이다. 그러나 40세 이전 또는 70세 이후에도 발생 가능하며 이 경우 예후가 좋 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트로겐에 대한 노출 증가는 자궁내막암의 위 험을 증가시킨다. 보통 비만(폐경 후 난소에서 생산 된 androgen, 부신생성의 androstenedion이 말초 지방조직에서 에스트로겐으로 전화되므로)과 고혈압이 있는 폐경기 여성에서 많으나 35%여성에서는 비만이나 고에스트로겐 혈증 증상 이 보이지 않는다.
1.병리적 유형
자궁내막암의 병리적 유형은 에스트로겐 의존성과 비의존성의 두가지로 분류된 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폐경전에 내인적 또는 외
b.자궁경부 선암
최근에는 20대와 40대 여성에서 경부선암(adeno carcinoma of the cervix) 의 발생빈도가 증가하고 있다. 상피 내 선암(adenocarcinoma in situ, AIS) 은 침윤성 선암의 전구자로 생각되며, 상피 내 또는 침윤성 편평세포암은 경부선 암의 30~50%에서 발생한다. 선암은 경부 표본채취로 확인될 수 있 으나 편평세포암보다 정확하게 확인되지 않으므로 신뢰할 수 있는 진단을 위해서는 경부 원추생검이 요구된다.
c.자궁경부 선편평상피세포암
침윤성 선암은 편평상피세포암(adenosquamous carcinoma)과 함께 발생할 수 있으며 몇 가지 변형이 있다. 먼저 악성선종(minimal deviation adenocarcinoma. adenoma malignum)은 가장 잘 분화된 Well-differentiated)형태의 암이다. 융모선 유두상 선종(villoglandular papillary adenocarcinoma)은 최근에 알려졌는데 이는 일차적으로 경구피임 제를 사용하는 여성이나 임신 여성 등 젊은 여성에서 발생한다. 조직학적으 로 종양은 매끄럽고 경계가 분명하며 잘 분화되어 있고 상피내에 있거나 표 면에 침윤되어 있다. 이 종양은 경부 원추 생검 후에는 재발되지 않는다.
d.기타 자궁 경부암
육종(sarcoma)이 대표적이며, 가장 대표적인 육종은 태생성 횡문 근육종 (embryonal rhabdomyosarcoma)으로 이는 어린이나 젊은 여성에서 발생한 다.
⒞병기분류
외과적 병기(surgical staging)는 많은 환자에서 실제적이거나 수행 가능하지 도 않으나 임상적 병기에 비해 정확하다. 임성적 병기 결정을 위해 이용되는 검사에는 Chest PA X-Ray, 방광경 검사, 직장경 검사, 경정맥 신우조영 술)IVP 및 바륨관장(barium enema)등이 있다.
자궁경부암의 임상적 병기 (FIGO)
침윤전 암
0기
상피내암(Carcinoma in situ, intraepithelial carcinoma)
침윤 암
1기:암이 경부에만 국한
Ⅰa:임상적 증상이 없이 현미경적 소견에서만 발견
I a1
3㎜이하 침윤
I a2
기저상피세포부터 수직으로 3~5㎜침윤 또는 수평적으로 7㎜이하 침윤
Ⅰb:5㎜이상 침윤 병소
I a1
4㎝ 이하 병소
I a2
4㎝ 이상 병소
2기:경부이상 전파 그러나 골반벽을 침범하지 않음. 질침범 그러나 질하부 1/3 침범치 않음
Ⅱa
자궁외막 침윤이 없음
Ⅱb
자궁외막 침윤이 있음
3기:골반벽 이상 침범, 질하부 1/3까지 침범
Ⅲa
골반벽까지 전파되지 않음
Ⅲb
골반벽 전파와 수신증 또는 신부전증
4기:진골반 밖으로 전파 또는 방광이나 직장 점막 침범, 수포성 부종이 있는 경우는 4기에 포함되지 않음
Ⅳa
인접장기로 전이
Ⅳb
원위장기로 전이
⒟전파양상
경부암의 전파양상
1. 자궁경부 간질, 자궁체부, 질과 자궁강 결합조직으로 직접침윤
2. 림프성 전이
림프절 전이 비율
1기 15~20%
2기 25~40%
3기 >50%
4기 50~80%
3. 혈액성 전이
4. 복강 내 파급
경부암의 전파는 경부기질, 체부, 질과 자궁외막(parametrim)으로의 직접전 이, 림프전이, 혈액전이, 복막 내 착상(intraperitoneal implantation)의 양상으 로 전파된다.
⒠침윤성 병소의 질확대경 검사
질세포진검사에서 초기 침윤성 암이 의심되나 육안적으로 정상으로 보이는 경 부일 경우 질확대경검사는 꼭 필요하다. 침윤을 의미하는 질확대경검사 결과 는 첫째로 비정상혈관이 보일경우(이는 신생물의 성장으로 영양 요구가 증가 되어 혈관 증식 때문임)이며 둘째로, 상피세포 표면이 소실되거나 윤곽이 불 규칙한 경우이고 셋째로 색깔변화(이는 혈관성의 증가와 표면상피세포괴사 또 는 케라틴 생산의 결과때문임)가 있는 경우이다.
⑵자궁내막암
자궁내막암(endometrial cancer)은 우리나라의 경우 국내 여성암의 5%를 차지 하며 최근 증가추세인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미국의 경우에는 모든 부인암의 1/4을 차지하는 가장 일반적인 여성생식기 암이다. 연간 약 34000명의 여성이 진단받으며 6000명이 사망에 이른다. 미국의 경우 자궁내막암은 유방암, 대장 암, 폐암에 이어 4번째를 차지하는 암이며, 여성에서 암으로 사망에 이르게 하 는 7번째 암이다. 전체적으로 여성의 2~3%에서 일생 동안 자궁내막암으로 발 달한다.
최근 자궁내막암 발생 빈도가 증가되는 이유는 경부암의 발생빈도와 사망률의 감소, 평균수명의 연장, 호르몬대처요법(hormone replacement therapy, HRT)의 폐경 후 사용증가 및 조기진단 때문이다. 또한 쉽게 적용 가능한 진단적 도구 및 자궁내막의 전암 상태에 대한 이해가 증가되면서 자궁매낙암의 진단이 증가 되었다. 미국의 경우 현재 자궁내막암으로 인한 사망은 경부암을 능가하고 있 다. 자궁내막암은 일차적으로 폐경 후 여성에서 발생하는 질환이며, 나이가 들 면서 악성이 증가한다. 즉 평균 발생연령은 60세로 대상자의 75%가 50세 이상 이다. 그러나 40세 이전 또는 70세 이후에도 발생 가능하며 이 경우 예후가 좋 지 않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에스트로겐에 대한 노출 증가는 자궁내막암의 위 험을 증가시킨다. 보통 비만(폐경 후 난소에서 생산 된 androgen, 부신생성의 androstenedion이 말초 지방조직에서 에스트로겐으로 전화되므로)과 고혈압이 있는 폐경기 여성에서 많으나 35%여성에서는 비만이나 고에스트로겐 혈증 증상 이 보이지 않는다.
1.병리적 유형
자궁내막암의 병리적 유형은 에스트로겐 의존성과 비의존성의 두가지로 분류된 다. 가장 일반적인 유형은 폐경전에 내인적 또는 외
추천자료
[모성간호학]자궁탈출(uterine prolapse)문헌고찰 및 간호과정, 실습일지
척추관 협착증 케이스스터디입니다. 문헌고찰과 간호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 간호진단은 3개 ...
폐결핵케이스스터디 폐결핵약물종류 폐결핵진단검사 폐결핵병태생리 폐결핵문헌고찰 폐결핵간...
[성 빈센트 병원 임상 간호사례보고서] 간호과정을 중심으로 응급실 ER / 응급실케이스 - 통...
알츠하이머(Alzheimer`s disease) 환자의 간호과정,간호진단 적용 및 퇴원 시 교육
A++자료!!성인간호학 폐암(lung ca.) 간호과정!!케이스스터디
난소암 케이스, 난소암 간호진단 3개, 난소암 간호과정 스터디
지주막하 출혈 case study/지주막하 출혈 간호과정/지주막하 출혈 간호진단/지주막하 출혈 문...
결핵간호(병태생리, 분류법, 검사, 약물요법, 간호과정, 예방접종)
[모성간호학] 자궁근종(myoma uteri) 간호과정 (Case Study)
뇌줄중케이스,중환자실실습,중환자실케이스스터디,간호과정,간호진단
폐렴 케이스 스터디, 폐렴 간호과정, 폐렴 케이스, 폐렴 간호진단, 폐렴 사례연구, 폐렴 case
모성간호학 실습, 제왕절개 케이스, c/s (제왕절개 간호과정)
[간호학] 물질관련 장애 - 알코올 장애 - 간호과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