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PSS-사회조사분석(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SPSS-사회조사분석(학업성적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서 론 ··········································· 3
1. 연구 주제와 목적····································· 3
2. 연구 대상 및 절차····································· 3-4
3. 연구 방법············································· 4-6
4. 참고 문헌············································· 6-11

본 론 ··········································· 12-40
1. 조작적·명목적 정의 과정 수행 ······················ 12
2. 빈도 분석 ··············································· 13-18
3. 기술 통계분석 결과 ································· 18
4. 타당성 분석 ········································· 19-23
5. 신뢰도 분석 ········································· 24-26
6. 다중회귀분석 ········································· 27-40

결 론 ··········································· 41-42

출 처 ··········································· 43

부 록 ··········································· 44-50

본문내용

약 연구대상의 친구가 연구대상보다 성적이 좋으면 연구대상의 성적이 역시 점차 개선될 수 있다. 반대로 연구대상의 친구가 열등한 성적을 냈다면 연구대상의 성적 역시 점차 퇴보한다.
연구 책임자 사야마 히로키 교수는 “학생들은 보통 친구들의 행위를 모범으로 삼거나 학습을 모방한다”며 “친구의 학업 성적이 우수하다면 그 역시 망신을 피하기 위해 뒤쫓아 가지만, 반대로 친구의 성적이 열등하다면 그의 학습 동기 역시 떨어질 수 있다”고 언급했다.
“하지만 만약 주변 또래 우등생이 친구가 아니라면 상대에게 탄복할 수는 있어도 모방하지도 않는다”며 “그렇게 되면 성적도 좋아질 수 없다”고 사야마 교수는 지적했다.
- 시사중국 2013.02.20 18:22 정현희 기자
비평준화 지역인 광명시 고등학생들의 내신성적에 부모의 배경이 얼마나 영향을 줄까. 소하고등학교 손애경 교사가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으로 ‘비평준화지역 고등학교 학생의 내신성적에 관한 공간적 연구’를 발표했다. 광명시 현직 고등학교 교사가 비평준화 지역인 광명시 7개 인문계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내신성적과 부모의 사회경제적 배경과의 관련성을 연구한 결과라는데 그 의의가 있다.
이 논문에 의하면 부모의 직업(아버지의 직업이 전문직인 경우)과 부모의 학력이 학생들의 내신성적과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여주고 있다고 기술하고 있다. 특히 흥미로운 것은 내신성적과 통학거리와의 관계를 밝힌 부분이다. 즉, 내신성적이 높은 학교의 학생들은 통학거리가 짧은 반면 내신성적이 낮은 학교의 학생들은 통학거리가 길다는 것이다.
이는 신도심의 아파트 단지에 거주하는 학생이 많은데 성적이 낮은 하위권 학생들은 가까운 거리의 상위 학교에 진학하지 못하고 멀리 있는 하위권 학교까지 통학하는 문제점을 지적한 것이다. 이는 지금까지의 비평준화의 문제점에 더하여 통학거리 문제에서도 하위권 학생들이 피해를 보고 있다는 것을 암시해 주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이 논문에서는 비평준화제도를 폐지하고 고교평준화제도를 실시하는 것에 머무를 것이 아니라 성적이 낮은 학교에 시설 투자 및 재정적 지원을 늘려야 할 것을 주문하였다.
특히 거주지에 의해 배정이 되는 중학교에서부터 서열화되어 있는 성적차이를 줄일 수 있도록 교육재정 및 교육시설 등의 상태가 열악한 행정동의 교육환경 및 재정지원이 있어야 할 것이고, 특정 학교에만 집중적인 투자를 하여 좋은 학교를 만드는 것보다 열악한 학교에 투자를 하여 학교간 서열화 된 차이를 줄이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지적하였다.
양두영 광명시 교육복지 모임 대표(소하고등학교 교사)는 “이 논문을 통해 지금까지 교육복지 모임에서 이야기했던 것들이 학문적으로 다시 한번 검증되었다”며 환영의 의사를 밝혔고, “교육청과 광명시청에서는 성적이 낮은 학교에 더욱 많은 지원을 하여 교육격차를 해소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광명지역신문 2009.02.20 00:00:00
남녀공학에서 남학생이 좋은 성적을 얻기에 불리하다는 통념과 반대로 남녀공학 고교가 여학생의 수능 성적을 더 떨어뜨린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서구에는 이미 확립된 연구결과라고 하는데 국내에서도 확인된 것이다. 김희삼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남녀공학이 수능 성적에 미치는 영향을 27일 한국교육개발원이 주관한 제6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에서 발표했다. 2011년 고교를 졸업한 6,900여명을 분석한 것이다.
우선 외국어고, 특성화고 등 고교 특성에 따른 성적 차이를 배제하고 분석한 결과, 남녀공학 여학생은 여고 여학생보다 수능 표준점수에서 언어 4.8점, 외국어(영어) 6.3점, 수리 4.7점이 낮았다. 남녀공학 남학생은 남고 남학생보다 언어 1.1점, 외국어 1.2점, 수리 1.7점이 뒤졌다. 출신 중학교의 사회ㆍ경제적 지위(부모의 평균 직업ㆍ학력) 등 출신중학교 변수도 제거해봤다. 남녀공학 여학생은 언어 4.3점, 외국어 6.7점, 수리 6.1점이 더 낮았고, 남학생은 언어 2.8, 외국어 2.7점, 수리 3점이 낮았다.
여기에 고교 입학 전 가정배경 및 학업성적의 영향까지 배제하자 남녀 구분 없이 남녀공학 학생들은 남고ㆍ여고에 비해 언어 2.4점, 외국어 4점, 수리 4점이 낮았다. 김 연구위원은 “고교 입학 전 특성이 수능 성적의 차이에 미치는 영향은 언어ㆍ외국어 40%, 수리 30% 정도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평준화 지역 일반고만으로 분석대상을 좁혀봤다. 남녀공학 여학생은 여고 여학생보다 언어 3.8점, 외국어 5.8점, 수리 5.5점이 뒤졌다. 그런데 남녀공학 남학생은 수리를 제외하고 언어, 외국어에서 오히려 남고 학생보다 0.9점, 0.2점씩 수능 표준점수가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연구위원은 “남학생의 경우 점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할 정도는 아니다”고 설명했다.
남녀공학 학생들은 휴대폰 통화 및 문자 시간, 컴퓨터 채팅 및 메신저 이용 시간, 개인 홈피 및 블로그 관리 시간 등이 더 길고 이런 점이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추정됐다.
그렇다면 왜 여학생의 성적이 더 떨어지는 것일까. 김 연구위원은 “중학교는 여학생의 인지적ㆍ신체적 발달이 남학생보다 앞서 학습 및 학교생활에서 주도적이지만, 고교부터 역전된다는 서구의 연구결과들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또 “여고 여학생들이 남녀공학 여학생들보다 수리ㆍ과학 선택 비율이 높다는 것에서 알 수 있듯 남녀공학 여학생은 과학 등의 과목에서 상대적으로 위축되는 경향도 있다”고 말했다.
국내 일반고를 대상으로 한 기존의 연구에서는 남녀공학에서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수능성적이 더 하락하는 것으로 발표된 적이 있다. 이는 변인을 통제하지 않은 착시 현상일 수 있다. 김희삼 연구위원은 “남녀공학에 상대적으로 성적이 낮은 남학생이 지원하는 경향이 있어 단순 비교하면 남녀공학 남학생의 수능성적이 가장 낮게 나온다”고 설명했다.
- 한국일보 2012.11.29 이진희 기자
참고#6 학업성적과 방황, 친구 관계에 따른 연구
학업성적과 비행의 관계는 청소년비행 이론의 전통적인 연구주제의 하나로서 많은 경험적 연구들이 축적되어 왔다. 대부분의 연구가 양자간의 인관적 관련성을

추천자료

  • 가격8,000
  • 페이지수50페이지
  • 등록일2016.08.25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0729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