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052±0.147
30~40
-0.012
0.049
-0.012±0.122
40~50
-0.030
0.022
-0.030±0.055
0~10ml
평균오차 :
표준편차 :
신뢰구간(95%) =
10~20ml
평균오차 :
표준편차
신뢰구간(95%)
=
20~30ml
평균오차 :
표준편차
=
신뢰구간(95%) : =
30~40ml
평균오차 :
=
표준편차 :
신뢰구간(95%) :
=
40~50ml
평균오차 :
표준편차 :
신뢰구간(95%) :
3. 100ml, 250ml,500ml 부피플라스크
500ml
횟수(회)
빈v.f무게(g)
v.f+증류수의무게(g)
증류수(g)
실제물부피(ml)
오차(ml)
1회
191.81
691.72
499.91
500.22
0.22
2회
191.83
691.80
499.97
500.28
0.28
3회
191.85
691.79
499.94
500.25
0.25
250ml
횟수(회)
빈v.f무게(g)
v.f+증류수의무게(g)
증류수(g)
실제물부피(ml)
오차(ml)
1회
138.79
388.84
250.05
250.20
0.20
2회
138.75
388.81
250.06
250.21
0.21
3회
138.68
388.79
250.26
250.26
0.26
100ml
횟수(회)
빈v.f무게(g)
v.f+증류수의무게(g)
증류수(g)
실제물부피(ml)
오차(ml)
1회
65.224
165.216
99.992
100.054
0.054
2회
65.213
165.222
100.009
100.071
0.071
3회
65.210
165.150
99.940
100.002
0.002
부피 플라스크 오차 범위 : 100ml±0.08
200ml± 0.12
300ml± 0.20
(ml)
평균오차(ml)
표준오차(ml)
95% 신뢰도구간
100
0.042
0.036
0.042±0.089
250
0.22
0.03
0.22±0.075
500
0.25
0.03
0.25±0.07
500ml
평균
표준편차
신뢰구간
250ml
평균
표준편차
신뢰구간
100ml
평균
표준편차
신뢰구간
고찰
우리가 이번에 행한 부피 측정 용기의 보정 실험은 앞으로 분석 실험에 필요한 부피 측정값을 허용오차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함이고, 정밀도와 정확도중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 이라고 알고 있다. 1 학년 과정에서 행했던 실험의 실험값이 솔직히 실험 중 발생하게 되는 여러 가지 오차를 무시하고 , 또 이번 실험을 하면서 알게 된 측정용기의 오차를 무시해서 정확한 값을 얻지 못하였다. 이번 실험으로 그 오차를 다시 한번 더 생각하게 되었고, 그 중요성 또한 강조된 실험이었다.
실험 중 발생된 여러 오차의 가장 큰 요인은 가장 사소하다고 생각했던 여러 행동들 이었다.
첫 번째 요인으로 측정용기의 세척에 문제가 있었다. 세척 과정중 입구가 좁은 여러 기구들의 안쪽 벽을 단순히 물과 아세톤으로만 세척해야했고, 그 과정중에 완벽하게 세척하지 못했다. 또한 매 실험때 마다 세척을 다시 실시하여 시간도 많이 걸렸다.
이러한 여건속에서 세척을 청결히 하지 않아 유리용기 안쪽벽에 물방울이 맺혀 정확하게 눈금을 읽었다고 해도 그 윗부분에 맺힌 물방울로 인해 실험값은 크게 변해버린 것이다.
두 번째 요인으로 건조과정에서의 크나큰 실수가 있었다. 부피측정 용기는 건조시킬때 용기자체의 부피팽창을 막기위해 실온에서 건조한다고 알고있는데, 실험 당시에는 그런 오차를 생각하지 않고 오븐을 이용하여 용기를 건조시켰다. 또 가열된 용기를 건조용기(desiccator)안에서 식힐때 충분한 시간을 두지않아서 오븐과 실험실 온도 차로인해 생기는 용기안의 수증기의 응축으로 유리용기 안에 맺힌 수증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다.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계산을 요하는 이번실험에서 그것이 그렇게 크게 작용하지 않을거라 과소평가했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수증기를 최대한 없애기 위해 아세톤으로 한번 건조시킨 용기를 한두번 더 세척하여 장시간 오븐안에 두었던것도 오차의 한 요인이다.
세 번째로 눈의 위치에 따라 측정되는 값이 달라지는 시차오차(parallax)가 발생하였다.
서로 시차가 다르기 때문에 눈금 위부분을 기준으로 바라볼때 와 아랫부분을 기준으로 바라볼때 그 값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눈금과 눈금사이를 다시 1/10간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시각이 필요했다.
마지막으로 실험전 각 실험에 필요한 기구들의 사용법을 완벽하게 숙지하지 못했다. 피펫의 경우 우리가 실험에 사용한 피펫은
30~40
-0.012
0.049
-0.012±0.122
40~50
-0.030
0.022
-0.030±0.055
0~10ml
평균오차 :
표준편차 :
신뢰구간(95%) =
10~20ml
평균오차 :
표준편차
신뢰구간(95%)
=
20~30ml
평균오차 :
표준편차
=
신뢰구간(95%) : =
30~40ml
평균오차 :
=
표준편차 :
신뢰구간(95%) :
=
40~50ml
평균오차 :
표준편차 :
신뢰구간(95%) :
3. 100ml, 250ml,500ml 부피플라스크
500ml
횟수(회)
빈v.f무게(g)
v.f+증류수의무게(g)
증류수(g)
실제물부피(ml)
오차(ml)
1회
191.81
691.72
499.91
500.22
0.22
2회
191.83
691.80
499.97
500.28
0.28
3회
191.85
691.79
499.94
500.25
0.25
250ml
횟수(회)
빈v.f무게(g)
v.f+증류수의무게(g)
증류수(g)
실제물부피(ml)
오차(ml)
1회
138.79
388.84
250.05
250.20
0.20
2회
138.75
388.81
250.06
250.21
0.21
3회
138.68
388.79
250.26
250.26
0.26
100ml
횟수(회)
빈v.f무게(g)
v.f+증류수의무게(g)
증류수(g)
실제물부피(ml)
오차(ml)
1회
65.224
165.216
99.992
100.054
0.054
2회
65.213
165.222
100.009
100.071
0.071
3회
65.210
165.150
99.940
100.002
0.002
부피 플라스크 오차 범위 : 100ml±0.08
200ml± 0.12
300ml± 0.20
(ml)
평균오차(ml)
표준오차(ml)
95% 신뢰도구간
100
0.042
0.036
0.042±0.089
250
0.22
0.03
0.22±0.075
500
0.25
0.03
0.25±0.07
500ml
평균
표준편차
신뢰구간
250ml
평균
표준편차
신뢰구간
100ml
평균
표준편차
신뢰구간
고찰
우리가 이번에 행한 부피 측정 용기의 보정 실험은 앞으로 분석 실험에 필요한 부피 측정값을 허용오차 안으로 끌어들이기 위함이고, 정밀도와 정확도중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것 이라고 알고 있다. 1 학년 과정에서 행했던 실험의 실험값이 솔직히 실험 중 발생하게 되는 여러 가지 오차를 무시하고 , 또 이번 실험을 하면서 알게 된 측정용기의 오차를 무시해서 정확한 값을 얻지 못하였다. 이번 실험으로 그 오차를 다시 한번 더 생각하게 되었고, 그 중요성 또한 강조된 실험이었다.
실험 중 발생된 여러 오차의 가장 큰 요인은 가장 사소하다고 생각했던 여러 행동들 이었다.
첫 번째 요인으로 측정용기의 세척에 문제가 있었다. 세척 과정중 입구가 좁은 여러 기구들의 안쪽 벽을 단순히 물과 아세톤으로만 세척해야했고, 그 과정중에 완벽하게 세척하지 못했다. 또한 매 실험때 마다 세척을 다시 실시하여 시간도 많이 걸렸다.
이러한 여건속에서 세척을 청결히 하지 않아 유리용기 안쪽벽에 물방울이 맺혀 정확하게 눈금을 읽었다고 해도 그 윗부분에 맺힌 물방울로 인해 실험값은 크게 변해버린 것이다.
두 번째 요인으로 건조과정에서의 크나큰 실수가 있었다. 부피측정 용기는 건조시킬때 용기자체의 부피팽창을 막기위해 실온에서 건조한다고 알고있는데, 실험 당시에는 그런 오차를 생각하지 않고 오븐을 이용하여 용기를 건조시켰다. 또 가열된 용기를 건조용기(desiccator)안에서 식힐때 충분한 시간을 두지않아서 오븐과 실험실 온도 차로인해 생기는 용기안의 수증기의 응축으로 유리용기 안에 맺힌 수증기를 완전히 제거하지 못했다.
소수점 셋째 자리까지 계산을 요하는 이번실험에서 그것이 그렇게 크게 작용하지 않을거라 과소평가했던 것이다. 이 과정에서 수증기를 최대한 없애기 위해 아세톤으로 한번 건조시킨 용기를 한두번 더 세척하여 장시간 오븐안에 두었던것도 오차의 한 요인이다.
세 번째로 눈의 위치에 따라 측정되는 값이 달라지는 시차오차(parallax)가 발생하였다.
서로 시차가 다르기 때문에 눈금 위부분을 기준으로 바라볼때 와 아랫부분을 기준으로 바라볼때 그 값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눈금과 눈금사이를 다시 1/10간격으로 나누어 볼 수 있는 시각이 필요했다.
마지막으로 실험전 각 실험에 필요한 기구들의 사용법을 완벽하게 숙지하지 못했다. 피펫의 경우 우리가 실험에 사용한 피펫은
추천자료
화학평형 실험 레포트
천연물의 추출,분리,정제 및 화학구조의 분석 방법
GC HPLC 기기분석 실험레포트
레포트월드비즈니스모델분석(www.reportworld.co.kr)
[화학공학기술자][화학공학기술자 작업환경][화학공학기술자 현황][화학공학기술자 전망]화학...
[지구화학적 특성][백두산][생명체][탄천수계분지내 하천수][광산폐기물]백두산의 지구화학적...
[광화학, 광화학반응, 광화학스모그, 광화학산화제, 철착화합물]광화학과 광화학반응, 광화학...
[정밀화학, 정밀화학 총요소생산성, 정밀화학 현황, 정밀화학 사례, 정밀화학 과제와 전망]정...
[산화, 세포산화조절, 일산화탄소, 이산화염소]산화와 세포산화조절, 산화와 일산화탄소, 산...
양이온 정성분석 실험(결과 레포트)
음이온陰ion의 분석 결과레포트
★ 기업분석 - LG화학 ( 기업 소개, 경제 분석, 산업분석, 기업 분석, 기술적 분석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