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셜 네트워크의 친구 추천 알고리즘
2. Aardvark
3. ResearchGATE
4. Tweet Volume
5. Twitterholic
6. 다른 분야의 논문으로 활용
7. 아울림 서비스
8. 큐로보 서비스
9. 소피언
10. 마케팅 채널
2. Aardvark
3. ResearchGATE
4. Tweet Volume
5. Twitterholic
6. 다른 분야의 논문으로 활용
7. 아울림 서비스
8. 큐로보 서비스
9. 소피언
10. 마케팅 채널
본문내용
중에서도 특히 사회 연결망(social network)과 사회적 지지(social support)에 관심을 가지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건강과의 관련성 때문이다. 인간이 태어나고 성장하면서 가지는 사회 연결망 구조는 계속적인 변화를 가지며(Dunkle, Roberts, & Haug, 2001; vanTilburg, 1998), 사회 연결망의 크기와 구성이 감소되면서 질병과 장애도 더 발생하게 된다(Dunkle, Roberts, & Haug, 2001). 또한 인간관계 유형이 고립되었는지 가족 중심인지, 또는 지역 사회 중심인지에 따라 다양한 행동양상을 보이며(Fiori, Antonuccim, & Cortina, 2006; Litwin & Landau, 2000; Wenger,1997), 이는 건강에 영향을 미친다(Berkman & Kawachi, 2000).
7. 아울림 서비스
이 회사는 의미기반의 그중에서도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검색엔진 회사이다. 그러다보니 이번에 나오는 서비스의 이름도 '아울림'이다. 온톨로지를 표현하는 언어 중 하나가 'owl'이기 때문이다.
질의어를 입력하면, 검색결과 리스트와 검색결과를 시각화하여 검색결과와 연관성 있는 토픽을 방사형으로 함께 보여주는 토글이 함께 보여진다.
검색을 하면서 어려운 것은 사용자가 자신이 찾고자 하는 정보를 검색엔진이 이해할 수 있는 질의어로 표현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사용자가 느끼기에는 질의어와 영 관계없는 검색결과가 나오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아울림의 경우 연관성을 따져서 토픽을 시각화해서 한 눈에 보여주니까,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엔진이 이해할 수 있는 질의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같다.
검색결과의 시각화 부분인데 아울림에서 주장하듯이 '정보를 찾고, 정보의 관계를 분석하고, 정보를 연결해서 이해하기 쉽도록 시각화'하는 것은 사용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기능임에 틀림없다.
8. 큐로보 서비스
큐로보(qrobo)란 시맨틱 기반으로 개발된 국내 검색엔진 서비스이다. q는 영어 cue 또는 question을 의미하고, robo는 영어 robot을 의미하여, 로봇에게 물어보다는 뜻을 가졌다. 1996년도부터 조광현이 뉴텍 기업부설연구소에서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2006년 4월부터 큐로보 개발 및 서비스 제공사는 ㈜시맨틱스이다.
시맨틱 웹 표준을 사용하지 않고, 독립된 상업용 시맨틱(semantic) 표준을 가지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관련기술 특허를 50여건 보유한 대한민국 기술이다.
모든 단어를 수치로 변환하여 단어와 단어사이의 관계를 수학공식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기본 원리로 사용한다. 큐로보는 단어사전과 형태소분석기 등과 같은 언어처리기술을 이용하지 않고, 수치문법을 이용한다.
9. 소피언
소피언은 트위터 이용자의 관계를 분석해 기업들이 직접 겨냥할 고객군과 타깃 대상이 되는 고객에 대한 정보, 네트워크 영향력, 위기 예측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 기능으로 내세우는 ‘이슈 모니터링’은 매일 실시간으로 고객이 설정한 관심 주제에 대한 트윗 수와 작성자 추이, 관련 키워드 상위 10개, 관련 트윗 목록, 각 트윗의 RT와 노출도, 영향력자 목록과 트윗, 영향력 URL 목록과 인용 트윗을 보여준다. 관심 주제를 여러 개 선택해 동시 관찰할 수 있으며, 각 트윗의 확산속도를 측정해 특정 트윗이 폭발적으로 확산될 조짐이 보이는 경우 위기 알림 e메일과 문자를 보낸다.
‘트윗 탐색’은 관심 트위터 이용자가 쓴 글을 모두 보기, 매일 이슈가 된 트윗 보기, 어떤 URL이 주로 인용됐는지 여부와 특정 키워드가 들어간 트윗만 분석하는 기능이 특징이다. 모든 URL을 뉴스, 사진, 동영상, 사진, 블로그, 커뮤니티로 분류해 각 URL의 영향력과 인용 트윗수를 분석하는 식이다. 이 외에도 트위터 상에서 누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동했는지 활동성과 호응도 파악, 기업 계정 트윗이 많이 확산되는데 도움을 주는 조력자를 찾아주는 서비스도 있다.
10. 마케팅 채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외부채널로 지정해 놓고, 운영 웹사이트에 얼마나 많은 방문자를 유입시켰는지, 또 그 방문자들이 만들어내 매출액(과 같은 전환값)은 얼마나 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페이스북을 통한 방문지 몇이고, 그로 인한 매출액이 얼마인지 등이 알 수 있습니다. 소셜마케팅 담당자들은 어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채널이 수익에 도움을 주는지 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7. 아울림 서비스
이 회사는 의미기반의 그중에서도 '온톨로지'를 기반으로 하는 검색엔진 회사이다. 그러다보니 이번에 나오는 서비스의 이름도 '아울림'이다. 온톨로지를 표현하는 언어 중 하나가 'owl'이기 때문이다.
질의어를 입력하면, 검색결과 리스트와 검색결과를 시각화하여 검색결과와 연관성 있는 토픽을 방사형으로 함께 보여주는 토글이 함께 보여진다.
검색을 하면서 어려운 것은 사용자가 자신이 찾고자 하는 정보를 검색엔진이 이해할 수 있는 질의어로 표현하기가 매우 어렵다는 것이다. 그러다보니 사용자가 느끼기에는 질의어와 영 관계없는 검색결과가 나오는 것처럼 느껴지는데, 아울림의 경우 연관성을 따져서 토픽을 시각화해서 한 눈에 보여주니까, 사용자로 하여금 검색엔진이 이해할 수 있는 질의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 같다.
검색결과의 시각화 부분인데 아울림에서 주장하듯이 '정보를 찾고, 정보의 관계를 분석하고, 정보를 연결해서 이해하기 쉽도록 시각화'하는 것은 사용자들에게 매우 유용한 기능임에 틀림없다.
8. 큐로보 서비스
큐로보(qrobo)란 시맨틱 기반으로 개발된 국내 검색엔진 서비스이다. q는 영어 cue 또는 question을 의미하고, robo는 영어 robot을 의미하여, 로봇에게 물어보다는 뜻을 가졌다. 1996년도부터 조광현이 뉴텍 기업부설연구소에서 개발하기 시작하였으며, 2006년 4월부터 큐로보 개발 및 서비스 제공사는 ㈜시맨틱스이다.
시맨틱 웹 표준을 사용하지 않고, 독립된 상업용 시맨틱(semantic) 표준을 가지고 있으며,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관련기술 특허를 50여건 보유한 대한민국 기술이다.
모든 단어를 수치로 변환하여 단어와 단어사이의 관계를 수학공식으로 분석하는 과정을 기본 원리로 사용한다. 큐로보는 단어사전과 형태소분석기 등과 같은 언어처리기술을 이용하지 않고, 수치문법을 이용한다.
9. 소피언
소피언은 트위터 이용자의 관계를 분석해 기업들이 직접 겨냥할 고객군과 타깃 대상이 되는 고객에 대한 정보, 네트워크 영향력, 위기 예측 서비스를 제공한다. 대표 기능으로 내세우는 ‘이슈 모니터링’은 매일 실시간으로 고객이 설정한 관심 주제에 대한 트윗 수와 작성자 추이, 관련 키워드 상위 10개, 관련 트윗 목록, 각 트윗의 RT와 노출도, 영향력자 목록과 트윗, 영향력 URL 목록과 인용 트윗을 보여준다. 관심 주제를 여러 개 선택해 동시 관찰할 수 있으며, 각 트윗의 확산속도를 측정해 특정 트윗이 폭발적으로 확산될 조짐이 보이는 경우 위기 알림 e메일과 문자를 보낸다.
‘트윗 탐색’은 관심 트위터 이용자가 쓴 글을 모두 보기, 매일 이슈가 된 트윗 보기, 어떤 URL이 주로 인용됐는지 여부와 특정 키워드가 들어간 트윗만 분석하는 기능이 특징이다. 모든 URL을 뉴스, 사진, 동영상, 사진, 블로그, 커뮤니티로 분류해 각 URL의 영향력과 인용 트윗수를 분석하는 식이다. 이 외에도 트위터 상에서 누가 얼마나 효과적으로 활동했는지 활동성과 호응도 파악, 기업 계정 트윗이 많이 확산되는데 도움을 주는 조력자를 찾아주는 서비스도 있다.
10. 마케팅 채널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를 외부채널로 지정해 놓고, 운영 웹사이트에 얼마나 많은 방문자를 유입시켰는지, 또 그 방문자들이 만들어내 매출액(과 같은 전환값)은 얼마나 되는지를 확인하는 것입니다. 아래 이미지를 보시면, 페이스북을 통한 방문지 몇이고, 그로 인한 매출액이 얼마인지 등이 알 수 있습니다. 소셜마케팅 담당자들은 어떤 소셜네트워크서비스 채널이 수익에 도움을 주는지 등을 파악하여 효과적인 마케팅 채널을 선택할 수 있는 것입니다.
추천자료
지역사회복지 프로그램 분석 및 문제점 파악 후 사회복지프로그램 수정보완재구성
사회복지정책 분석의 틀과 분석 유형
사회복지법의 분석을 철학, 방향, 효과를 중심으로 분석
실습기관분석보고서, 지역사회분석보고서 - 부산진구노인복지관
사회복지 정책의 분석틀과 급여의 대상 및 사회복지 급여의 형태 및 재원
사회복지정책을 분석할 때 사용되는 4가지 분석틀을 설명하고 이중 급여의 대상자(수급권자)...
(3학년 공통) 잔여적 사회복지실천과 제도적 사회복지실천의 차이를 논의하고 하나의 사례를 ...
[사회복지법] 사회복지법과 관련한 사례(사건)하나를 조사하여 그 내용을 요약하고, 사회복...
최근 이슈화된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정책 혹은 이미 발표된 사회복지정책 중 한 가지 선택하...
정신분석이론과 심리사회모델의 이론적인 배경을 서술하고 두 이론의 차이점에 따른 실천가의...
(인간과사회 A형) 나의 삶이나 주변의 일 가운데 구체적인 사안이나 쟁점 혹은 사건을 하나 ...
사회복지 분석틀에서 길버트와 스팩트의 4가지 분석틀을 설명하고 특별히 전달체계의 중요성...
사회복지개론 ) 전통적으로 사회사업 실천방법에는 개인 집단 지역사회의 수준에서 개입하는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