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지행동치료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지행동치료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행동치료의 전통적 기법
2. 인지행동치료
3. 행동치료의 평가

본문내용

증상이 아니라는 것이 확실해졌다. 환자의 불안을 직접적으로 다루었을 때, 그 불안이 반드시 다른 형태로 나타나지는 않는다. 이 증명은 행동적 경향에 신뢰를 주었을 뿐 아니라, 증상 대체의 개념을 전적으로 고수하던 정신과적, 정신역동적 경향에 대한 믿음을 약화시켰다.
적용 범위(breadth of application): 치료의 적용 가능성을 확대한 것이 주된 기여이다. 전통적인 심리치료는 주로 자신들의 심리적인 상처를 다룰 시간과 돈이 있는 중산층이나 상류층과 적은 비용 혹은 비용 없이 상담 서비스가 가능하면서 어느 정도의 대처기술을 가지고 있는 말 잘하고 세련된 대학생에게만 한정되어 왔다. 행동치료는 이런 경향을 바꾸었다.
이제 정신지체나 만성 정신질환을 가진 경제적으로 여유 없는 사람들도 치료를 받을 수 있다. 통찰(insight), 상징주의(symbolism), 잠재력의 발산(release of some inner potential)에 매우 의존적이며 오랜 기간을 요하는 언어 기반 심리치료가 실패하는 경우, 다양한 행동치료가 진정한 희망을 줄 수 있는 것처럼 보인다.
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ㅡ
2) 비판(criticisms)
비인간화(dehumanizing): 행동주의에 대한 가장 오래된 고정 관념은 행동주의가 메마르고, 기계적이고, 비인간적이라는 것이다. 하지만 반응, 자극, 강화 그리고 조작행동 등과 같이 기계적으로 들리는 용어를 사용하는 것이 치료자나 혹은 그 방법이 비인간적이고, 메마르고, 감정을 다루지 않는다는 것을 뜻하지는 않는다.
내적 성장(inner growth): 행동치료는 또한 개선되기는 하지만 내적인 성장은 이루지 못한다고 비판되었다. 또한 증상을 감소시키거나 기술을 습득하게 해주지만 창조적인 경험을 주지는 못한다고 비판받았다. 그 치료가 행동을 변화시킬 수는 있지만 이해를 증진시키지는 못한다는 것이다. 내재적인 면, 가치, 책임감, 동기와 같은 것은 다루지 못한다고 비판받았다. 그러나 이런 측면이 다 틀린 것은 아니지만, 그런 비판은 객관적으로 기술되고 특정 자극과 반응으로 추론되는 범위 내에서 기대와 자기 개념과 같은 매개 변인을 강조하는 인지 요소가 가미된 새로운 행동치료에는 적합하지 않다.
비특정적 문제(nonspecific problems): 여러 해 동안, 행동치료에 대한 비판은 애매모호하고 실존적인 문제를 적절히 다루지 못하다는 것이었다.
  • 가격7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6.10.04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060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