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1. 대상자 소개 ------------------------ 1
Ⅱ. 본론
1. 병태생리 ------------------------- 3
2. 검사결과 ------------------------- 8
3. 약물치료 ------------------------- 10
Ⅲ. 결론
1. 간호과정 -------------------------- 13
2. 느낀점
3. 참고문헌
1. 대상자 소개 ------------------------ 1
Ⅱ. 본론
1. 병태생리 ------------------------- 3
2. 검사결과 ------------------------- 8
3. 약물치료 ------------------------- 10
Ⅲ. 결론
1. 간호과정 -------------------------- 13
2. 느낀점
3. 참고문헌
본문내용
simple) 수술을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한 연구이다.
1. 대상자 소개
(1). 간호력
□ 일반적 사항
자료수집: 2010. 06. 01 ~ 2010. 06. 03
자료수집자: 학생간호사 000
·이름: 김○○
·성별: 남
·나이 : 만 49세
·주소 : 부산 남구 용호1동
·정보 제공자 : 배우자
·혈액형 : AB+
·가족 : 배우자, 딸
·경제적형편 : 중상
·입원일자 : 2010년 5월 20일
□ 대상자 병력
·주증상 : Headache,all ext. weakness, dizziness
·발병일자 : 2010. 05. 20
·진단명 : Spontaneous subarachnoid hemorrhage(SAH)
·입원하게 된 동기 : 상기일 오전 7시경 일하던중 c.c 있어 L/C(울산H)들러 보호자
원하여 ER통해 adm함 mental loss(-), vomitting(-)
·수 술 명 : Cerebral Aneurysm Clipping(simple)
·수술일자 : 2010. 05. 21
·과거병력: 결핵 (4~5년전 진단받음; 2년정도 PO Med.후 완치)
·특이사항 : 05. 05. 20 TB nodule 제거수술 (동의의료원)
09. 건강검진상 Glucose 조금높다는 말 들었음. medication 할정도 아님
·알러지 유무: 없음
·가족 병력 및 유전질환 : 모-갑상선
(2) 신체사정
·피부상태 : 정상
·활동상태 : 완전 독립
·통증 : 있다 (headache)
양상 -> 둔함
·신체적기형 : 없음
·체중변화 : 없다.
·배변 : 정상
·배뇨 : 정상
·소화기계장애 : 없음
·순환기계장애 : 없음
·신경계장애 : 시력,청격,신경근육 정상
·호흡기계 장애 : 없음
·보조기구 : 없음
· Vital Sign
날짜
시간
BP(mmHg)
T(℃)
P(회/min)
R(회/min)
5/31
6:00am
110/70
37.1
88
20
2:00pm
100/60
36.8
88
18
8:00pm
130/90
36.8
80
20
6/1
6:00am
130/80
37.0
80
20
2:00pm
120/70
37.2
88
20
8:00pm
130/80
36.8
80
16
6/2
6:00am
130/90
36.5
82
20
2:00pm
130/80
36.6
80
16
8:00pm
110/70
36.5
94
12
(3) 신경계
·의식 정도 : alert
·지남력 : 있음 (·지남력 : 사람 intact , 시간 intact , 장소 intact )
·의사소통 : 원만함
·N/Ex) Alert mentality
Pupil isocoric
Light reflex(++/++)
Motor intact
DTR - Knee jerk(++/++)
Ankle jerk(++/++)
Pathologic reflex
Babinski sign(-/-)
Ankle clonus(-/-)
항목
분류
점수
5/20
Eye
opening
response
자발적으로 눈을 뜬다.
4
∨
불러서 눈을 뜬다.
3
통증자극에 눈을 뜬다.
2
전혀 눈을 뜨지 않는다.
1
Verbal
response
지남력이 있다.
5
V
대화가 혼돈되어 있다
4
용어사용이 잘못되어 있다
3
이해불명의 말을 한다
2
전혀 반응이 없다
1
Motor
response
지시에 따라 움직인다
6
V
통증부위를 지적한다
5
정상적인 굴곡
4
이상 굴곡반응
3
이상 신전반응
2
반응이 없다
1
총점
15
(4) 습관
·수면상태 : 수면시간- 6시간/일, 수면장애 - 없음
·위생상태 : 양호
·영양상태 : 좋음
·기호식품 : 흡연(x) , 음주(O)- 월 4회, 소주2병
Ⅱ. 본론
1. 병태생리
-자발성 지주막하 출혈(Spontaneous Subarachnoid Haemorrhage)
(1) 정의
지주막하 출혈은 뇌척수액이 가득 차 있는 지주막 하강에서 대뇌 혈관이 새거나 터져서 지주막하로 혈액이 들어갈 때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젊은 사람들에게 잘 발생한다. 두개내 혈관은 주로 지주막하 공간에 존재하며, 이곳에서 뇌조직으로 작은 관통분지들을 내어 보낸다. 따라서 동맥류등의 파열에 의해 이 혈관들에 출혈이 발생되면 지주막하 공간에 혈종이 고이게 된다. 뇌동맥류가 뇌조직내에 파묻혀 있는 경우에는 동맥류 파열시에 지주막하출혈을 동반하지 않고 단지 뇌실질 내출혈 형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때로는 지주막층이 파열되어 경막하혈종(subdural hematoma)을 일으키기도 한다.
가장 흔한 뇌동맥류의 형태는 방추형,(fusiform)과 낭상(sacular) 동맥류이다. 낭상 동맥류는 혈관벽에 흔히 목 혹은 좁아진 부위를 가지고 있다. 한 개 이상의 동맥류가 있을 수 있으며 대부분은 wills circle의 전반부위에 발생한다. 방추형 동맥류는 주로 더큰 동맥인 기저동맥과 경동맥에 발생하고 쉽게 파열되지 않는다.
지주막하 출혈은 초기에 적절히 치료하지 못할 경우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과 사망률이 매우 높은 질환이다. 크게 자발성 출혈과 외상성 출혈로 나눌 수 있는데, 자발성 출혈은 나이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며, 45세 이하 뇌혈관 질환 사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뇌혈관에 꽈리 모양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선천적인 뇌동맥류나 기타 뇌혈관 기형이 있다가 우연한 기회에 터져 뇌출혈을 일으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 원인
자발성 지주막하 출혈의 원인으로는ⅰ) willis circle에 생긴 뇌동맥류의 파열이 있고, ⅱ)뇌동정맥 기형의 출혈 ⅲ)내경동맥 혹은 척추동맥의 박리 ⅳ)뇌종양 출혈 ⅴ)뇌혈관염 ⅵ)혈액응고이상 ⅶ)경막정맥동 혈전증 ⅷ)척추 동정맥 기형의 출혈 ⅸ)중뇌주위 비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중에서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의 경우가 75-80%이다.
뇌동맥류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아직 확실하게 알려진 것이 없으나, 원인으로는 선천성 뇌혈관벽의 이상, 동백경화, 고혈압, 색전, 혈관염, 외상 등이 있으나 대개 나이든 환자에게는 동맥경화나 고혈압과 같은 원인에 의한 것이 많다.
(3) 증상
구토를 동반, 또는 동반하지 않는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 실신, 뒷목의 뻣뻣함 및 통증,
1. 대상자 소개
(1). 간호력
□ 일반적 사항
자료수집: 2010. 06. 01 ~ 2010. 06. 03
자료수집자: 학생간호사 000
·이름: 김○○
·성별: 남
·나이 : 만 49세
·주소 : 부산 남구 용호1동
·정보 제공자 : 배우자
·혈액형 : AB+
·가족 : 배우자, 딸
·경제적형편 : 중상
·입원일자 : 2010년 5월 20일
□ 대상자 병력
·주증상 : Headache,all ext. weakness, dizziness
·발병일자 : 2010. 05. 20
·진단명 : Spontaneous subarachnoid hemorrhage(SAH)
·입원하게 된 동기 : 상기일 오전 7시경 일하던중 c.c 있어 L/C(울산H)들러 보호자
원하여 ER통해 adm함 mental loss(-), vomitting(-)
·수 술 명 : Cerebral Aneurysm Clipping(simple)
·수술일자 : 2010. 05. 21
·과거병력: 결핵 (4~5년전 진단받음; 2년정도 PO Med.후 완치)
·특이사항 : 05. 05. 20 TB nodule 제거수술 (동의의료원)
09. 건강검진상 Glucose 조금높다는 말 들었음. medication 할정도 아님
·알러지 유무: 없음
·가족 병력 및 유전질환 : 모-갑상선
(2) 신체사정
·피부상태 : 정상
·활동상태 : 완전 독립
·통증 : 있다 (headache)
양상 -> 둔함
·신체적기형 : 없음
·체중변화 : 없다.
·배변 : 정상
·배뇨 : 정상
·소화기계장애 : 없음
·순환기계장애 : 없음
·신경계장애 : 시력,청격,신경근육 정상
·호흡기계 장애 : 없음
·보조기구 : 없음
· Vital Sign
날짜
시간
BP(mmHg)
T(℃)
P(회/min)
R(회/min)
5/31
6:00am
110/70
37.1
88
20
2:00pm
100/60
36.8
88
18
8:00pm
130/90
36.8
80
20
6/1
6:00am
130/80
37.0
80
20
2:00pm
120/70
37.2
88
20
8:00pm
130/80
36.8
80
16
6/2
6:00am
130/90
36.5
82
20
2:00pm
130/80
36.6
80
16
8:00pm
110/70
36.5
94
12
(3) 신경계
·의식 정도 : alert
·지남력 : 있음 (·지남력 : 사람 intact , 시간 intact , 장소 intact )
·의사소통 : 원만함
·N/Ex) Alert mentality
Pupil isocoric
Light reflex(++/++)
Motor intact
DTR - Knee jerk(++/++)
Ankle jerk(++/++)
Pathologic reflex
Babinski sign(-/-)
Ankle clonus(-/-)
항목
분류
점수
5/20
Eye
opening
response
자발적으로 눈을 뜬다.
4
∨
불러서 눈을 뜬다.
3
통증자극에 눈을 뜬다.
2
전혀 눈을 뜨지 않는다.
1
Verbal
response
지남력이 있다.
5
V
대화가 혼돈되어 있다
4
용어사용이 잘못되어 있다
3
이해불명의 말을 한다
2
전혀 반응이 없다
1
Motor
response
지시에 따라 움직인다
6
V
통증부위를 지적한다
5
정상적인 굴곡
4
이상 굴곡반응
3
이상 신전반응
2
반응이 없다
1
총점
15
(4) 습관
·수면상태 : 수면시간- 6시간/일, 수면장애 - 없음
·위생상태 : 양호
·영양상태 : 좋음
·기호식품 : 흡연(x) , 음주(O)- 월 4회, 소주2병
Ⅱ. 본론
1. 병태생리
-자발성 지주막하 출혈(Spontaneous Subarachnoid Haemorrhage)
(1) 정의
지주막하 출혈은 뇌척수액이 가득 차 있는 지주막 하강에서 대뇌 혈관이 새거나 터져서 지주막하로 혈액이 들어갈 때 발생하는 것으로 주로 젊은 사람들에게 잘 발생한다. 두개내 혈관은 주로 지주막하 공간에 존재하며, 이곳에서 뇌조직으로 작은 관통분지들을 내어 보낸다. 따라서 동맥류등의 파열에 의해 이 혈관들에 출혈이 발생되면 지주막하 공간에 혈종이 고이게 된다. 뇌동맥류가 뇌조직내에 파묻혀 있는 경우에는 동맥류 파열시에 지주막하출혈을 동반하지 않고 단지 뇌실질 내출혈 형태를 나타내기도 한다. 때로는 지주막층이 파열되어 경막하혈종(subdural hematoma)을 일으키기도 한다.
가장 흔한 뇌동맥류의 형태는 방추형,(fusiform)과 낭상(sacular) 동맥류이다. 낭상 동맥류는 혈관벽에 흔히 목 혹은 좁아진 부위를 가지고 있다. 한 개 이상의 동맥류가 있을 수 있으며 대부분은 wills circle의 전반부위에 발생한다. 방추형 동맥류는 주로 더큰 동맥인 기저동맥과 경동맥에 발생하고 쉽게 파열되지 않는다.
지주막하 출혈은 초기에 적절히 치료하지 못할 경우 합병증이 생길 가능성과 사망률이 매우 높은 질환이다. 크게 자발성 출혈과 외상성 출혈로 나눌 수 있는데, 자발성 출혈은 나이를 가리지 않고 발생하며, 45세 이하 뇌혈관 질환 사망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이는 뇌혈관에 꽈리 모양의 주머니를 형성하는 선천적인 뇌동맥류나 기타 뇌혈관 기형이 있다가 우연한 기회에 터져 뇌출혈을 일으키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2) 원인
자발성 지주막하 출혈의 원인으로는ⅰ) willis circle에 생긴 뇌동맥류의 파열이 있고, ⅱ)뇌동정맥 기형의 출혈 ⅲ)내경동맥 혹은 척추동맥의 박리 ⅳ)뇌종양 출혈 ⅴ)뇌혈관염 ⅵ)혈액응고이상 ⅶ)경막정맥동 혈전증 ⅷ)척추 동정맥 기형의 출혈 ⅸ)중뇌주위 비동맥류성 지주막하출형 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이중에서 뇌동맥류 파열에 의한 지주막하 출혈의 경우가 75-80%이다.
뇌동맥류의 원인 및 병태생리는 아직 확실하게 알려진 것이 없으나, 원인으로는 선천성 뇌혈관벽의 이상, 동백경화, 고혈압, 색전, 혈관염, 외상 등이 있으나 대개 나이든 환자에게는 동맥경화나 고혈압과 같은 원인에 의한 것이 많다.
(3) 증상
구토를 동반, 또는 동반하지 않는 갑작스러운 심한 두통, 실신, 뒷목의 뻣뻣함 및 통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