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I.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을 논하시오.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
2. 3수준 6단계 도덕발달
3. 교육적 시사점
II.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1.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2. 4가지 강화계획과 실생활 예시
참고자료
1. 콜버그(Kohlberg)의 도덕성 발달 이론
2. 3수준 6단계 도덕발달
3. 교육적 시사점
II.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1.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2. 4가지 강화계획과 실생활 예시
참고자료
본문내용
기보다 아이디어를 명료하기 하는 요약자로서 활동하는 자이다. 또 학생들에게 인지갈등을 일으키게 하고 역할 채택을 자극할 수 있는 조성자로서의 역할을 하여야 한다.
둘째, 수업분위기 조성자로서의 역할을 들 수 있다. 도덕성 발달에는 개방적이고 탐구적인 토의가 중시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방적인 분위기는 학생들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고 자유로운 대화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의미한다. 학생들이 자기의 자유로운 사고, 또는 추론에 대해 위험부담을 느끼게 되면 그 만큼 사고 활동이나 추론은 위축되기 마련이다. 개방적인 분위기는 자아와 타아의 창조적 만남을 가능케 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을 넘어서서 타인의 입장을 고려할 수 있도록 자극할 수 있다.
II.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1.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강화계획의 종류는 크게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로 구분될 수 있다. 계속적 강화는 바라던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매번 강화를 하는 것이고, 간헐적 강화는 부분적으로 강화를 하는 것이다. 두 가지 강화계획 중에 어느 것이 효과적일까? 계속적 강화보다 간헐적 강화가 효과적이라고 한다. 학생이 공부할 때마다 교사가 매번 칭찬을 하는 계속적 강화는 오히려 강화로서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우리가 매일 먹는 밥은 계속적 강화이므로 크게 감동을 받지 못하지만, 간혹 먹는 피자나 자장면에 환호하는 것은 간헐적 강화이기 때문이다. 간헐적 강화계획은 횟수 혹은 시간에 따라 비율강화계획과 간격강화계획으로 구분된다.
2. 4가지 강화계획과 실생활 예시
1) 고정비율계획
고정비율계획은 강화물을 일정 횟수의 행동 이후에 제시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매 5문제를 풀 때마다 칭찬을 해주기도 했다고 가정해보자. 엄마의 시간이 지났는지에 상관없이 학생들이 매 5문제를 끝내게 되면 교사로부터 칭찬이라는 강화를 받게 된다. 고정비율계획은 강화물을 받기 위해 개인이 신속하게 반응하며 개인이 강화물을 원하는 한 꾸준한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변동비율계획
변동비율계획은 강화물을 고정적이지 않은 횟수 이후에 제시한다. 교사가 학급규칙을 잘 지킨 학생들에게 평균 5번에 한 번씩 청소를 면제해주는 강화계획을 세웠다고 하자. 이때 매 5번째마다 면제를 시켜주는 것이 아니라, 3번째, 4번
둘째, 수업분위기 조성자로서의 역할을 들 수 있다. 도덕성 발달에는 개방적이고 탐구적인 토의가 중시되는 분위기를 조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개방적인 분위기는 학생들이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느끼고 자유로운 대화를 할 수 있는 분위기를 의미한다. 학생들이 자기의 자유로운 사고, 또는 추론에 대해 위험부담을 느끼게 되면 그 만큼 사고 활동이나 추론은 위축되기 마련이다. 개방적인 분위기는 자아와 타아의 창조적 만남을 가능케 함으로써, 학생들이 자신을 넘어서서 타인의 입장을 고려할 수 있도록 자극할 수 있다.
II.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을 들고, 네 가지 강화계획(reinforcement schedule)에 대해 실생활의 예를 제시하며 설명하시오.
1.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의 유용성
강화계획의 종류는 크게 계속적 강화와 간헐적 강화로 구분될 수 있다. 계속적 강화는 바라던 행동이 발생할 때마다 매번 강화를 하는 것이고, 간헐적 강화는 부분적으로 강화를 하는 것이다. 두 가지 강화계획 중에 어느 것이 효과적일까? 계속적 강화보다 간헐적 강화가 효과적이라고 한다. 학생이 공부할 때마다 교사가 매번 칭찬을 하는 계속적 강화는 오히려 강화로서의 기능이 상실될 수 있다. 우리가 매일 먹는 밥은 계속적 강화이므로 크게 감동을 받지 못하지만, 간혹 먹는 피자나 자장면에 환호하는 것은 간헐적 강화이기 때문이다. 간헐적 강화계획은 횟수 혹은 시간에 따라 비율강화계획과 간격강화계획으로 구분된다.
2. 4가지 강화계획과 실생활 예시
1) 고정비율계획
고정비율계획은 강화물을 일정 횟수의 행동 이후에 제시한다. 예를 들어, 교사가 매 5문제를 풀 때마다 칭찬을 해주기도 했다고 가정해보자. 엄마의 시간이 지났는지에 상관없이 학생들이 매 5문제를 끝내게 되면 교사로부터 칭찬이라는 강화를 받게 된다. 고정비율계획은 강화물을 받기 위해 개인이 신속하게 반응하며 개인이 강화물을 원하는 한 꾸준한 반응을 유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2) 변동비율계획
변동비율계획은 강화물을 고정적이지 않은 횟수 이후에 제시한다. 교사가 학급규칙을 잘 지킨 학생들에게 평균 5번에 한 번씩 청소를 면제해주는 강화계획을 세웠다고 하자. 이때 매 5번째마다 면제를 시켜주는 것이 아니라, 3번째, 4번
추천자료
[논문] 사이버 공간에서의 교육심리학의 역할: 상담영역을 중심
[교육심리학] 반두라의 사회학습이론
교육심리학 (행동주의와 사회인지학습이론)
교육심리학의 정의 연구영역 발달 관련자료
교육심리학의 학문적성격
[교육심리학]인본주의
[인문과학] 교육심리학의 기초
중등학교 현장에서의 진로지도와 교육심리학의 적용
연구로 본 교육심리학 정리
[교육심리학]도덕성 및 성역할 발달에 관한 고찰
2011년 2학기 교육심리학 중간시험 요약정리
[교육심리학] (A+) 매슬로우(Maslow)의 동기위계설에 대해 설명하시오.
[교육심리학] 성격과 적응
[교육education심리학] 발달의 개념 및 발달 연구의 동향 (발달의 정의, 발달에 대한 주요 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