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분야에서 오랫동안 축적된 경험에서 비롯되는 것이다. 즉, 후천적인 노력과 자기 계발을 통해 스스로의 전문성을 획득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에서도 나는 위의 『중용』20장의 말이 생각이 났다.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선 적어도 10년 이상의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기억력을 선천적이라고 생각하고 자기 자신에 대해 낙심하는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다! “노력 해봐!”
나도 처음 교육심리를 듣기 전, 그리고 뇌에 대한 수업을 듣기 전,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내 인지능력을 비관하며 살아왔는지도 모르겠다. 괜히 부모 탓을 하진 않았나. 내가 해왔던 노력보다 더 열심히 했어야 하는데..하는 반성도 든다.
지금부터라도 열심히 노력하자! 꾸준히! 최선을 다해^^
천재도 1%의 재능(선천적)과 99%의 노력(후천적)으로 이루어진다!
☞☞ 학생의 기억력 향상을 위한 방법, 교사의 역할, 기억법
1. 될 수 있는 한 많이 반복시킨다. : 망각그래프
: 많이 보여 주는 학습 방법과 더불어 반복적으로 말하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처음 보고 20분 후, 그 다음날에 반복해 주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예) 수업시간 전에 전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잠깐 살펴본다.
2. 안정된 기분에서 집중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집중하여 학습할 수 있으면 기억의 효과는 두 배가 된다고 한다.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기 전에 다른 생각에 빠져있는 아이들의 관심을 수업으로 환기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예) 본격적인 수업 전 율동과 함께 다 같이 동요 부르기.
3. 기쁨 또는 슬픔 등과 같이 정서를 일으키는 내용과 함께 정보를 연합시켜 준다.
: 어떤 대상에 대해 아이가 느낄 수 있는 정서와 관련시켜 내용을 연합시켜 줄 때 그 대상에 대한 아이의 기억은 오래 유지된다.
예) 역할극이나 연극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이입시켜 학습하기
4. 의미 있는 내용으로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 준다.
: 단순히 ‘사과’`하고 가르쳐 주는 것보다는 "~가 좋아하는 사과구나"라고 의미를 두어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 줄 때 아이는 정보를 더 잘 받아들인다.
Ⅴ. 잠재능력 계발에 대한 신경과학적 설명
◆ 계속된 연습은 관련된 뇌 부위를 발달시키는가
* 신체기관을 많이 사용하면 뇌가 발달한다.
⇒ 즉, 후천적인 경험이나 노력으로 뇌의 기능이 향상되거나 손상된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열심히 할 때 그 일과 관련된 뇌 부위와 해당 능력이 발달하고, 능력의 발달을 통해 보다 전문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but, 일반적인 심근이 존재하여 특정 활동을 통해 심근을 강화하면 ‘일반적인’수행능력의 향상이 일어난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예) 구구단을 외우면 전두엽 부분이 활성화 되어 주의력과 계획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잘못된 정보
◆ 논리적 사고는 왼쪽 뇌로만 한다?
* 좌뇌와 우뇌
- 좌뇌 :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언어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활동과 관련 깊음
- 우뇌 :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시각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활동과 관련 깊음
[논문분석]
Persons, L. M., & Osherson, D. (2001). New evidence for distinct right and left brain systems for deductive versus probabilistic reasoning. Cerebral Cortex, 11, 954-965.
* 추리할 때 활성화 되는 뇌
- 연역적 추리 : 우측 뇌가 더 많이 활성화(우반구의 측두피질의 가운데부분, 우반구 전두엽 앞쪽의 회 부분, 우측의 편도체)
연역적 추리는 전제에서 결론에 이르는 구조를 파악하게 되는 결정적인 순간이 존재하며, 순간에 피험자의 감정이 개입된다.
- 귀납적 추리 : 좌측 뇌가 더 많이 활성화(좌측 전두엽 앞부분, 해마와 측두엽의 중앙부)
귀납적 추리는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 문제를 해결한다.
* 연구결과 : 연역적 추리나 귀납적 추리 활동을 할 때 활성화되는 뇌 부분은 활동에 따라 중복되는 영역이 존재하며, 또한 각각의 활동과 관련되는 고유한 영역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
⇒ but, 성급한 일반화 조심!!
예) 공간도형을 이용한 과제수행이 우뇌의 두정엽 부분이 활성화 된다고 하여, 공간도형 놀이 활동이 아동의 우뇌 계발이 도움이 되고, 나아가 창의성과 같은 사고기능을 발달시킨다는 결론에 도달해서는 안 된다.
◆ 성공적인 사회적 추론은 좌우 전두엽의 합작품인가
* 사회적 추론 : 개인의 특성 및 자신과의 관계, 상황적 내용 등과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추리 혹은 판단해 내는 능력
* 뇌의 전두엽의 기능 : 기억력, 사고력 등 고등 인지 기능 담당
⇒ 성공적인 추론을 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경험과 관련 지식을 충분히 갖추고 있어야 한다.
상황학습이론에 따르면 지식이라는 것은 상황적인 것이며, 그 지식이 사용될 과제, 맥락, 문화 안에서 생성되는 것이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 인간의 뇌에 대한 생각
: 교사가 되었을 때 학생들을 이해하고 가르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인간의 뇌에 대해 알아야할 필요성을 느낀다. 인간의 뇌는 어릴 적에 풍부한 경험과 환경에 접해야 한다는 것에 공감한다. 그러나 인간의 뇌에 대한 선천적인 면과 후천적인 면 사이의 논쟁에 대한 파트는 교사가 될 나로서는 한번 생각해 볼 문제라고 생각한다. 현재 대부분의 교사들이 환경적인 면에 치우쳐 생각을 한다. 즉, 인간의 뇌는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므로 교육을 통해서 변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인간의 뇌의 선천적인 면에 대해서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고 환경적인 면을 무시하자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뇌가 선천적인 것에 기한다면 교육이 과연 얼마나 큰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선천적으로 우수한 두뇌를 가진 아동은 우수하게 자라고 상대적으로 열등한 두뇌를 가진 아동은 교육을 받을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선천적인 면을 고려해 아동의 뇌의 능력에 대한 고찰을 하는 동시에 풍부한 환경과 경험을 제공하는 적절한 조합이 필요하다.
여기에서도 나는 위의 『중용』20장의 말이 생각이 났다. 한 분야의 전문가가 되기 위해선 적어도 10년 이상의 꾸준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한다. 기억력을 선천적이라고 생각하고 자기 자신에 대해 낙심하는 사람들에게 말하고 싶다! “노력 해봐!”
나도 처음 교육심리를 듣기 전, 그리고 뇌에 대한 수업을 듣기 전, 이 책을 읽기 전에는 내 인지능력을 비관하며 살아왔는지도 모르겠다. 괜히 부모 탓을 하진 않았나. 내가 해왔던 노력보다 더 열심히 했어야 하는데..하는 반성도 든다.
지금부터라도 열심히 노력하자! 꾸준히! 최선을 다해^^
천재도 1%의 재능(선천적)과 99%의 노력(후천적)으로 이루어진다!
☞☞ 학생의 기억력 향상을 위한 방법, 교사의 역할, 기억법
1. 될 수 있는 한 많이 반복시킨다. : 망각그래프
: 많이 보여 주는 학습 방법과 더불어 반복적으로 말하면서 학습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처음 보고 20분 후, 그 다음날에 반복해 주는 것이 효과적이라는 연구 결과가 있다.
예) 수업시간 전에 전 수업시간에 배운 내용을 잠깐 살펴본다.
2. 안정된 기분에서 집중하여 학습할 수 있도록 해준다.
: 정서적으로 안정된 상태에서 집중하여 학습할 수 있으면 기억의 효과는 두 배가 된다고 한다. 교사가 수업을 진행하기 전에 다른 생각에 빠져있는 아이들의 관심을 수업으로 환기시키기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예) 본격적인 수업 전 율동과 함께 다 같이 동요 부르기.
3. 기쁨 또는 슬픔 등과 같이 정서를 일으키는 내용과 함께 정보를 연합시켜 준다.
: 어떤 대상에 대해 아이가 느낄 수 있는 정서와 관련시켜 내용을 연합시켜 줄 때 그 대상에 대한 아이의 기억은 오래 유지된다.
예) 역할극이나 연극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이입시켜 학습하기
4. 의미 있는 내용으로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 준다.
: 단순히 ‘사과’`하고 가르쳐 주는 것보다는 "~가 좋아하는 사과구나"라고 의미를 두어
정보를 받아들일 수 있도록 해 줄 때 아이는 정보를 더 잘 받아들인다.
Ⅴ. 잠재능력 계발에 대한 신경과학적 설명
◆ 계속된 연습은 관련된 뇌 부위를 발달시키는가
* 신체기관을 많이 사용하면 뇌가 발달한다.
⇒ 즉, 후천적인 경험이나 노력으로 뇌의 기능이 향상되거나 손상된 기능을 보완할 수 있다.
자신이 하고자 하는 일을 열심히 할 때 그 일과 관련된 뇌 부위와 해당 능력이 발달하고, 능력의 발달을 통해 보다 전문적으로 일을 처리할 수 있게 된다.
but, 일반적인 심근이 존재하여 특정 활동을 통해 심근을 강화하면 ‘일반적인’수행능력의 향상이 일어난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예) 구구단을 외우면 전두엽 부분이 활성화 되어 주의력과 계획력 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잘못된 정보
◆ 논리적 사고는 왼쪽 뇌로만 한다?
* 좌뇌와 우뇌
- 좌뇌 : 논리적으로 사고하고 언어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활동과 관련 깊음
- 우뇌 : 창의적으로 사고하고 시각적인 정보를 처리하는 활동과 관련 깊음
[논문분석]
Persons, L. M., & Osherson, D. (2001). New evidence for distinct right and left brain systems for deductive versus probabilistic reasoning. Cerebral Cortex, 11, 954-965.
* 추리할 때 활성화 되는 뇌
- 연역적 추리 : 우측 뇌가 더 많이 활성화(우반구의 측두피질의 가운데부분, 우반구 전두엽 앞쪽의 회 부분, 우측의 편도체)
연역적 추리는 전제에서 결론에 이르는 구조를 파악하게 되는 결정적인 순간이 존재하며, 순간에 피험자의 감정이 개입된다.
- 귀납적 추리 : 좌측 뇌가 더 많이 활성화(좌측 전두엽 앞부분, 해마와 측두엽의 중앙부)
귀납적 추리는 점진적인 과정을 거쳐 문제를 해결한다.
* 연구결과 : 연역적 추리나 귀납적 추리 활동을 할 때 활성화되는 뇌 부분은 활동에 따라 중복되는 영역이 존재하며, 또한 각각의 활동과 관련되는 고유한 영역을 갖는다는 것을 확인
⇒ but, 성급한 일반화 조심!!
예) 공간도형을 이용한 과제수행이 우뇌의 두정엽 부분이 활성화 된다고 하여, 공간도형 놀이 활동이 아동의 우뇌 계발이 도움이 되고, 나아가 창의성과 같은 사고기능을 발달시킨다는 결론에 도달해서는 안 된다.
◆ 성공적인 사회적 추론은 좌우 전두엽의 합작품인가
* 사회적 추론 : 개인의 특성 및 자신과의 관계, 상황적 내용 등과 같은 눈에 보이지 않는 정보를 이용하여 새로운 정보를 추리 혹은 판단해 내는 능력
* 뇌의 전두엽의 기능 : 기억력, 사고력 등 고등 인지 기능 담당
⇒ 성공적인 추론을 하기 위해서는 풍부한 경험과 관련 지식을 충분히 갖추고 있어야 한다.
상황학습이론에 따르면 지식이라는 것은 상황적인 것이며, 그 지식이 사용될 과제, 맥락, 문화 안에서 생성되는 것이지 단독으로 존재하는 것은 아니다.
☞☞ 인간의 뇌에 대한 생각
: 교사가 되었을 때 학생들을 이해하고 가르치기 위해서는 어느 정도 인간의 뇌에 대해 알아야할 필요성을 느낀다. 인간의 뇌는 어릴 적에 풍부한 경험과 환경에 접해야 한다는 것에 공감한다. 그러나 인간의 뇌에 대한 선천적인 면과 후천적인 면 사이의 논쟁에 대한 파트는 교사가 될 나로서는 한번 생각해 볼 문제라고 생각한다. 현재 대부분의 교사들이 환경적인 면에 치우쳐 생각을 한다. 즉, 인간의 뇌는 환경에 의해 결정되는 것이므로 교육을 통해서 변화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인간의 뇌의 선천적인 면에 대해서도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렇다고 환경적인 면을 무시하자는 것은 아니다. 인간의 뇌가 선천적인 것에 기한다면 교육이 과연 얼마나 큰 의미를 가지는 것일까? 선천적으로 우수한 두뇌를 가진 아동은 우수하게 자라고 상대적으로 열등한 두뇌를 가진 아동은 교육을 받을 필요조차 없을 것이다. 그러므로 선천적인 면을 고려해 아동의 뇌의 능력에 대한 고찰을 하는 동시에 풍부한 환경과 경험을 제공하는 적절한 조합이 필요하다.
키워드
추천자료
유능한 교사로의 발달을 위한 교육심리학의 역할
학교에서의 교육심리학의 활용사례
교육심리학 이론에서 바라본 학교폭력의 발생원인과 그에 따른 대책
교육심리학 전체요약 정리
교육심리학 - '개인차' 부분 시험대비 내용 총정리.
[교육심리학] 청소년기의 자아정체성과 그와 관련된 프로그램
[교육심리학 발표 피티티 & 핸드아웃]인지발달이론 -피아제와 비고츠키
[교육심리학] 1. 가드너의 다중지능이론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시사점 2. 에릭슨의 성격발달...
[교육심리학] ≪인지주의 학습이론(認知主義 學習理論)의 교육적 적용≫ 정보 저장소 개념의 교...
[교육심리학] ≪창의성(創意性/creativity)≫ 창의성의 정의, 창의성 연구내용 및 연구방법, 지...
교육심리학의 이해_학습자의 이해
교육심리학2015
[교육심리학] 교육심리학과 교육철학의 필요성과 중요성을 쓰시오 [교육심리학]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