채동번의 당나라 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 57
  • 58
  • 59
  • 60
  • 61
  • 62
  • 63
  • 64
  • 65
  • 66
  • 67
  • 68
  • 69
  • 70
  • 71
  • 72
  • 73
  • 74
  • 75
  • 76
  • 77
  • 78
  • 79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채동번의 당나라 역사소설 당사통속연의 1회 2회 3회 한문 및 한글번역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일회 소용흥개편담장종 선아미시연혐당공
당사통속연의 1회 용흥[황제의 시조]을 거슬러 올라 편을 시작하며 장군의 종자를 말하며 미인을 선택하여 잔치에서 모셔 당공[이연]을  속이다
제이회 정비계유살부유수 연외조자호대장군
당사통속연의 2회 비밀계책을 결정하여 유인하여 부유수를 죽이고 이연은 외부 도움의 연합으로 스스로 대장군이라고 호칭하다
제삼회 공곽읍진참송노생 입장안옹립대왕유
당사통속연의 3회 곽읍을 공격하며 적진에서 송노생을 베고 장안에 들어와 대왕 유를 옹립하다

본문내용

仕隋, 襲封唐公。
자달사수 습봉당공
아들인 이달은 수나라에 벼슬하여 이어서 당공에 봉해졌다.
妻獨孤氏, 與隋文帝的獨孤皇后, 是同胞妹, 因此文帝與, 名爲君臣, 實關姻亞 姻 [ynya]:인척과 동서

달처독고씨 여수문제적독고황후 시동포자매 인차문제여달 명위군신 실관인아
이달의 처인 독고씨는 수문제의 독고황후와 동복의 자매로 이로 기인하여 문제와 이연은 명분은 군신관계이나 실제 인척관계였다.
生子淵, 體具三乳, 日角龍庭, 文帝嘗稱爲不凡子, 格外垂愛 垂愛 :상대가 자신을 보살피고 사랑해 줌
, (獨孤妹俱貴, 且各皇帝, 確是難得 難得:구(求)하여 얻기 어려움
。)命復姓李。
달생자연 체구삼유 일각용정 문제상칭위불범자 격외수완 독고자매구귀 차각산황제 확시난득 명복성이
이달은 아들 이연을 낳고 몸에 3젖꼭지가 있고, 일각과 용정에 문제는 비범한 아이라고 말하며 특별히 아껴주니 다시 이씨성을 회복했다.(독고 자매는 모두 귀하여 각자 황제를 낳으니 확실히 얻기 어렵다)
歿, 令淵襲爵, 曆授二州刺史。
달몰 령연습작 력수초롱이주자사
이달이 죽고 이연이 작위를 세습하여 계속 초주, 농주 2주자사가 되었다.
煬帝嗣位, 升任太守, 又召爲殿前少監衛尉少卿。
양제사위 승임태수 우소위전전소감위위소경
양제는 지위를 이어받아서 태수로 승진시켜 또 불러 전전소감위위소경으로 삼았다.
及煬帝征遼東, 遣淵督運兵糧, 接濟 接 [jiji]:1) 원조하다 2) 돕다 3) 구제하다
軍士。
급양제정요동 견연독운병량 접제군사
양제가 요동을 정벌함에 이연을 보내 병사와 식량을 감독하고 운반하게 하니 군사를 원조하게 했다.
會楚公楊玄感 613년 고구려 제2차 침공 때는 후방에서 양현감(楊玄感)의 반란이 일어나 철수하였다. 2개월에 걸쳐 겨우 진압하였지만, 이후 각지에서 반란이 일어났다.
, (卽隋故相楊素子,) 起兵作亂, 圍攻東都。
회초공양현감 즉수고상양소자 기병작란 위공동도.
마침 초공 양현감이 수나라 예전 재상 양소의 아들로 병사를 일으켜 난리를 일으켜 동도를 포위공격했다.
淵飛書奏聞, 煬帝慌忙引還, 命淵爲弘化留守, 備禦玄感。
연비서주문 양제황망인환 명연위홍화유수 비어현감
이연은 나는 듯이 빨리 서신을 보내 듣게 하며 양제가 황망하여 돌아와서 이연을 홍화유수로 삼고 양현감을 대비해 막게 했다.
旣而玄感敗死, 淵留守如故, 御下 御下: 아랫사람을 거느리고 지배함
寬簡 寬簡 : 관대하다. 苛求하지 않는다
, 頗得衆心。
기이현감패사 연유수여고 어하관간 파득중심
이미 양현감이 패배하여 죽고  관대하게 아랫사람을 다스려서 자못 여러사람의 마음을 얻었다.
先是隋政荒暴 荒暴:성질(性質)이 거칠고 사나움
, 謠 (노래 요; -총12획; yao)(참소할 착; -총10획; zhuo) [yaozhuo]:1) 요언 2) 헛소문 3) 중상
日繁, 起初是喧傳市巷, 後來竟傳入宮庭, 連煬帝也常有所聞。
선시수공황폭 요착일번 기초시훤전시항 후래경전입궁정 연양제야상유소문
이보다 앞서서 수나라 정치가 황폐하고 포학하여 헛소문이 날로 번성하며 초기에 시끄럽게 도시거리에 전해져 뒤에 마침내 궁정에 전해 들어와 양제가 항상 듣게 되었다.
看官道是何等謠言?
간관도시하등요언
여러분이 보기에 어떤 유언비어라고 보는가?
一說是:“桃李子, 有天下。”
일설시 도리자 유천하
한 말은 다음과 같다. “도리자가 천하를 소유하게 된다.”
一說是:“楊氏將滅, 李氏將興。”
일설시 양씨장멸 이씨장흥
한 말은 다음과 같다. “양씨가 장차 소멸하며 이씨가 장차 흥기하게 된다.”
蒲山公李寬子密, (卽李弼曾孫。) 曾因餘蔭 餘蔭: 조상이 쌓은 공덕(功德)으로 그 자손이 받는 복
入朝, 授官左親侍 左親侍;禁衛隊의 관리
, 煬帝見密額銳角方, 目分黑白, 遂說他顧眄 眄 [gumian]:뒤를 돌아다보다
非常, 卽令罷職。
포산공이관자밀 즉이필증손 증인여음입조 수관좌친시 양제견밀액예각방 목분흑백 수설타고면비상 즉령파직
포산공인 이관의 아들 이밀은 (이필의 증손자이다.) 일찍이 음직으로 조정에 들어와 좌친시관직에 제수하여 양제가 이밀의 이마가 날카롭고 방정하며 눈은 흰자, 검은자가 구분이 분명하여 곧 그를 보통이 아니라고 말하며 파직시켰다.
玄感發難, 密實與謀, 兵敗後亡入瓦崗 瓦崗軍은 원래 위성(韋城-하남활현(河南滑縣)동남) 사람들
, 往投翟讓 와강군의 수령인 적양(翟讓)은 원래 동군(東郡) 관청의 아역이었는데 상사에게 미움을 사 옥에 갇혔다가 사형 판결을 받았다. 그런데 어느 동정심 많은 옥리가 족쇄를 풀어주어 도망쳐 나올 수 있었다. 적양은 동군 부근에 있는 와강채(瓦崗寨)로 가서 가난한 농민들과 함께 봉기군을 조직했다. 그 소식을 들은 청년들이 앞을 다투어 찾아왔는데 그중에는 열일곱 살인 서세적(徐世勣)도 있었다. 서세적은 무예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지모 또한 비상했다.
, 也想援據讖語, 稱孤道寡, 知眞命天子, 別有一李, 不是他的李姓。
현감발난 밀실여모 병폐후망입와강 왕투적양 야상원거참어 칭고도과 나지진명천자 별유일이 불시타적이성
양현감이 나리를 일으킬 때 이밀이 실제 음모를 함께 하나 병사가 패배한 뒤에 와강으로 망명해 들어가 적양으로 가서 참요의 말에 근거하여 임금의 고를 호칭하며 과인을 말하니 어찌 진짜 천명의 천자는 그의 이씨성이 아니라 다른 한 이씨[이연]에게 있음을 알리오?
(也是漢劉歆 劉歆 : 사망BC 53 추정 ~ BC 23
전한 말기 패현(沛縣) 사람. 자는 자준(子駿)인데, 나중에 이름을 수(秀), 자를 영숙(穎叔)으로 고쳤다. 유향(劉向)의 아들이다. 젊었을 때 『시경』과 『서경』에 정통했고, 글을 잘 지었다. 성제(成帝) 때 황문랑(黃門郞)이 되어 아버지와 함께 많은 서적들을 교정했다. 애제(哀帝) 때 봉거광록대부(奉車光祿大夫)로 옮겼다. 왕망(王莽)이 집권하자 중루교위(中壘校尉)와 경조윤(京兆尹)을 지내고 홍휴후(紅休侯)에 봉해졌다. 왕망이 칭제(稱帝)한 뒤에는 국사(國師)가 되어 가신공(嘉新公)에 봉해졌다. 나중에 왕망을 죽이려다가 음모가 발각되자 자살했다.
之類。)
야시한유흠지류
한나라 유흠의 부류와 같다.
煬帝旣逐去李密, 復疑到 (땅 이름 성; -총10획; cheng)
公李渾身上, 誣他謀反, 殺身夷族。
양제기축거이밀 복의도공이혼신상 무타모반 살신이족
양제는 곧 이밀을 내

키워드

당사통속연의,   이연,   단륜,   좌친위,   수양제,   시소,   신통,   사만보,   장안,   협객
  • 가격9,900
  • 페이지수79페이지
  • 등록일2016.10.10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2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