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남대학교 RUCK <아름다운 매너> 중간고사 요점 및 시험 적중 문제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호남대학교 RUCK <아름다운 매너> 중간고사 요점 및 시험 적중 문제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케, 도우미 수고비
예단 : 최근에는 현금으로 주로 보내나, 예물은 시부모님과 상의해서 준비
신부가 보낸 예단 금액의 반 정도는 신부 쪽 예단으로 보내는 것이 동례
4. 결혼식 식순
식장장던 화촉점화- 개식선언- 신랑입장- 신부입장- 신랑/신부 맞절- 혼인 서약- 성혼선언문 낭독- 주례사- 축하 연주 및 축가- 양가 부모님께 인사- 내빈께 인사- 신랑/신부 행진-폐회 선언- 사진촬영
5. 기타 예절
① 함의 예절
결혼식 1주일 전-2-3일전 신부 집으로 채단과 혼서지를 담아 보내는 상자
해가 진 이후 청사초롱을 밝힌 상태에서 신부집으로 향함
원래 시어머니가 준비하지만 요즘은 한복 집이나 예단 집에서 준비해서 보냄
함진아비는 아들을 낳고 부부금실이 좋은 사람을 택해 요청하거나 신랑의 친구가 지고 감.
② 폐백
먼저 시아버지께 큰절을 한번 드린 후 폐백상을 차림
시부모님께는 큰절을 올림(4배)
항렬이 높은 친적은 평절로 하고 같은 항렬의 친척은 맞절
③ 피로연
④ 신혼여행
에티켓 공공장소에서 과도한 노출이나 애정 표현을 삼가는 것이 좋음
신혼여행 다녀와서 신부집에 먼저 인사를 가고 친정에서 준비해준 이바지 음식을
부모와 살지 않을 경우 신혼여행 후 시부모를 먼저 찹아 뵙는 경우도 있다.
아침 문안인사를 머무는 동안 드림(평절)
02. 결혼 축하 매너
1.축하매너
결혼식에 늦지 않게 참석하고 착석하여 큰 박수로 축하함.
결혼식이 진행되는 동안 정숙하게 주목함.
2. 축의금
봉투의 겉에는 축혼인, 축화촉, 축의, 하의 화촉의 등 기입
3. 선물
가까운 치구의 결혼에는 부조금보다 정성 담긴 축하선물이 더 조음
축하선물은 되도록 이면 당사자와 상의하여 선택하고 결혼식전에 미리 하도록 한다.
03. 선물매너
1.선물매너
선물은 목적과 받을 사람의 취향*을 고려해 준비함
선물은 적절한시기에* 맞춤
2. 선물하는 시기
설날/명절 선물 정초나 1주일 이내
생일 결혼기념일 선물 당일이나 그 전에
결혼선물- 결혼식 1개월 전부터 1주일 전(축의금은 당일)
축산 축하 선물 출산 후 1주~3주간 정도까지
조문 시 부조금 발상부터 장례식 당일까지
크리스마스 선물- 크리스마스 이브까지
비즈니스 선물* - 첫 미팅 때 전달
여행을 떠나는 사람이 귀국하는 외국소님 2~3일 전
3. 선물 주고 받는 매너
① 선물 드릴 때
상사나 윗사람에게 선물을 드리며 방문*할 경우 미리 연락을 하고 방문시간과 체류 시간을 정하는 것이 좋음.
② 선물을 받을 때
탁자나 적당한 자리에 정성스럽게 올려놓음
받은 선물을 그 자리에서 물어보고 감사함을 표하는 것도 좋은 매너임*
(크리스마스 선물 제외)
택배나 다른 사람에 의해 전달 받았을 때 감사의 전화를 함*
③ 답례가 필요 없는 경우
입학, 졸업, 취직축하 선물을 받을 때
세배 돈 또는 아랫사람으로부터 명절이나 연말연시에 선물을 받을 때
근무처에서의 경조 선물
<답례가 필요없다>라는 운송장이 왔을 때
④ 선물 품목
선물의 품목은 받을 사람의 취향*이나 목적*에 맞게 선정함
저녁 초대를 받은 경우* 커피나 차, 초콜렛, 과일, 꽃 와인 등
외국인에게는 상대방 문화에 맞는 선물이나 전통 공예품을* 선물하는 것도 좋음
⑤ 선물의 포장
선물의 포장은 받을 사람의 경사의 종류에 맞는 것을 고름
포장지 색깔도 국가별로 그 의미가 다르므로 유의함*
4차시 2강 조문 매너
01. 조문매너
1.조문매너
① 친척이나 가까운 친지에게서 임종 기별이 오면 빨리 상제들을 도와 장례 준비를 함
② 상가에 가면
우선 상제들을 위로하고 장의절차, 예싼 관계등을 상의하고 할 일을 서로 분담하여 돕는다.
너무 나서서 이일 저일 참견하는 태도는 바람직하지 않음
아무리 가까운 사이라도 예의와 복장을 갖추고 하고 영위에 분향재배하고 상주에게 정중하게 초상하는 예절을 잊지 말아야함
③ 가까운 사이라면 염습/입관을 마친 때도 무방하나 일반적으로 임종 다음날 조문을 감
2. 조문시 삼가야 할 사항
- 오랜만에 보는 반가운 친구나 친지를 만나더라도 자제하여 행동함*
- 조의금, 상가에 쓰일 물품, 궂은 일 등으로 서로 돕는 것은 좋은일이나 장례 절차에 대해서 지나치게 간섭을 하는 것은 좋지 않음
- 문상을 갔을 경우 종교가 다르더라도 해당 상가의 가풍에 따라 예를 행함.
3. 조문 방법
삼가(빈소)에 도착 (문 밖에서의 외투나 모자 등을 미리 벗음)
상제에게 가볍게 목례하고 한 두발 뒤로 물러서서 상제 쪽을 향해 서서
안면이 있는 경우는 상제에게 조문 인사말을 거낼 때 낮은 목소리로 짧게 위로의 말을 함*
나올 때에는 두세 걸음 뒤로 물러난 뒤, 몸을 돌려 나옴
호상소(접수부)에 가서 준비된 부조금품을 접수함*
다과를 가단히 들고 조문객이 많이 들어오면 퇴장함.
4. 조문 복장
●남성
의상 : 검정색 정장 (준비되지 못한 경우 검정색/회색도 무방)
와이셔츠: 흰색이나 무체색
넥타이, 구두, 양말 : 검정색
사정상 평상복인 경우 : 단정한 복장, 화려한 무늬나 원색 옷차림은 피함, 치장은 삼감
●여성
의상 : 검정색
상의: 흰색도 무난
구두, 스타킹 : 검정색 두두, 무늬가 없는 스타킹
화장, 엑세서리 : 진한 화장은 피함, 목걸이, 귀걸이, 반지 등 액세서리는 되도록 하지 않음.
02. 조문 받는 매너
1. 장례식 준비
① 집에서 초상을 치르는 경우
- 상중에는 문상객이 많으므로 방이나 거실의 작은 세간등을 치워, 되도록 넓은 공간을 사 용할 수 있도록 함
- 벽에 걸린 화려한 그림이나 장식물은 떼어서 치워둠
- 신발장도 정리하여 조문객들의 신발을 정리할 수 넣을 수 있도록 함
- 겨울에는 현관에 외투거리를 준비해 둠.
② 장례식장에서 초상을 치르는 경우
●조의금
조의금은 문상을 마친 후 호상소에게 접수시키거나 부의함에 직접 넣음
(상주에게 직접 건네는 것은 결례)
흰 봉투에 넣어서 가지고 간다.
원래는 영전에 드리는 것이었으나, 일반적으로 접수하는 곳에 드림
장례가 끝난 후 조문 서는 영정 앞에 놓음
부의를 우송 시에는 현금을 흰 종이에 싸고, 편지를 동봉함.
●부의
- 상부상조하는 우리 고유의 전통적인 미풍양속, 형편에 맞게 성의를 표하되, 여유가 있다 하여 과도한 금액의 부조를 하는 것도 옳지
  • 가격2,500
  • 페이지수43페이지
  • 등록일2016.10.16
  • 저작시기2016.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