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대동맥 및 동맥질환과 간호- 동맥경화증, 죽상경화증, 급성동맥폐색, 만성동맥폐색-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대동맥 및 동맥질환과 간호- 동맥경화증, 죽상경화증, 급성동맥폐색, 만성동맥폐색- 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Ⅰ. 서론


Ⅱ. 본론
1. 대동맥장애
1) 동맥경화증
2) 죽상경화증

2. 말초동맥장애
1) 급성동맥폐색
2) 만성동맥폐색


Ⅲ. 결론


Ⅳ. 용어정리


Ⅴ. 참고문헌

본문내용

부위에 사지 냉감), 마비(paralysis, 폐색부위의 신경괴사로 생김).
동맥이 부분적으로 폐색되어 조직에 혈액공급이 부족한 상태가 지속되면 조직괴사는 없으나 폐색된 부위 말단의 맥박만 감소될 수 있다. 이때 피부 온도는 차고 발목 부위의 수축기압이 하강하며 안정시 허혈성 통증이 있을 수 있다.
③ 진단검사
건강사정, doppler 초음파 검사, 발목팔 지수 (ABI) 측정을 수행.수술 전에 폐색부위와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 MRI와 혈관촬영술을 실시.
④ 치료
급성 동맥폐색증은 조기치료가 필수적이다.
내과적 치료 : 더 이상의 색전이 생기지 않도록 즉각적으로 헤파린을 정맥주사한다. 혈전이나 색전을 분해하기 위해서는 섬유소 용해제인 Streptokinase, Urokinase나 tPa(tissue plasminogen activator)를 사용한다. 섬유소 용해제를 항응고제와 함께 사용할 때에는 출혈의 위험이 증가하므로 주의해야 한다. Aspirin 이나 indomethacin은 출혈의 위험 때문에 피한다.
동맥혈전이나 색전은 심한 혈관경련을 유발할 수 있다. 혈관경련을 완화하고 예방하기 위해 papaverine, tolazoline, 칼슘통로 차단제 등을 투여한다. 통증을 감소시키기 위한 morphine sulfate는 진통 효과 뿐만 아니라 환자의 불안을 감소시키는 데도 효과적이다.
외과적 치료 : 혈전이나 색전이 주요 동맥을 폐색시켰다면 국소마취 후 즉각적인 색전제거술(embolectomy)을 해야 한다. 필요시 경피적 혈관성형술(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이나 혈관 내 초음파술, 레이저 혈관성형술, 죽종제거술, 스텐트 삽입술 등을 하여 혈관의 개존상태를 유지한다.
⑤ 간호
사정 : 활력징후, 말초동맥의 맥박, 동맥폐색 징후를 사정한다. 항응고제나 혈전용해제를 사용하는 동안 지속적으로 출혈 징후를 관찰한다.
보호 : 환자는 따듯한 방에서 휴식을 취하고 이환된 사지는 크래들(cradle)을 사용하여 외상을 받지 않도록 보호해야 한다.
체위 : 환자의 체위는 다리를 수평으로 유지하거나 약간 낮은 자세로 하는 것이 좋다.
통증 : 환자의 안위를 돕기 위하여 진통제를 투여하며 필요하다면 진정제를 줄 수도 있다.
수술준비 : 응급수술에 대비한다. 수술에 대한 걱정과 두려움을 줄이기 위해 수술 절차를 설명한다. 통증으로 환자의 사고력이 흐리고 상황에 적절히 반응할 수 없다면, 수술을 준비하는 동안 모든 처치와 약물에 대하여 확실하게 설명한다.
2) 만성 동맥폐색질환 Chronic arterial occlusive disease
① 병태생리와 원인
원인 : 부분적 혹은 전체적으로 동맥이 폐색되는 만성적 상태
병태생리 : 사지 동맥의 혈류를 완전히 차단하면 산소와 영양공급이 안 되어 조직이 손상되거나 괴사된다. 주로 하지에 침범하며 50세 이상 남성에게 자주 발견된다. 표재성 대퇴동맥, 장골동맥, 슬와동맥을 침범하여, 동맥의 분지 부위에서 흔히 나타난다.
② 임상증상
무증상
·통증 없음
·혈관 잡음이나 동맥류가 있음
·발 부위 맥박 감소 또는 소실
간헐적 파행증
·운동시 근육 통증, 경련, 화끈거리다 휴식하면 통증이 사라짐
·운동하면 통증이 다시 나타남
안정시 통증
·밤에 자다가 통증으로 자주 일어남
·통증은 저리거나 타는 듯한 치통양상과 같음
·사지의 원인부인 발가락, 발뒤꿈치, 발등에서 통증이 발생함
·종아리, 발목에서는 거의 통증이 나타나지 않음
·다리를 밑으로 내리는 자세에서 통증이 완화됨
괴사 단계
·발가락이나 발등, 발뒤꿈치에 궤양, 까맣게 된 조직이 나타남
·괴사조직 특유의 냄새가 남
③ 진단검사
하지 doppler 초음파, 발목-팔 지수(ABI), 국소부위 수축기 혈압 측정, 운동부하 검사, 혈량 측정법을 통해 동맥혈관폐색을 진단.
④ 치료
약물요법
1. 간헐적 파행증을 치료:
pentoxifylline(Trental,혈소판 응집 억제)과 cilostazol(Pletal,혈관이완제)을 투약한다.
2. 혈전성 색전 형성방해 : 항혈소판제인 Aspirin, clopidgre (Plavix)을 투여함으로써 서 심근경색증이나 뇌졸중을 예방한다.
1. 경피적 혈관 내 성형술
(percutaneous transluminal angioplasty. PTA) : 풍선이 있는 도관(balloon catheter)을 이용하여 협착된 혈관을 확장하는 방법
환자의 관상동맥, 대동맥, 장골동맥, 대퇴동맥, 슬와동맥, 경골동맥, 장간막 동맥의 협착 및 동정맥 문합(arterio-venous dialysis shunt)의 협착 시에 적용되며 전신마취가 어려워 외과적 수술이 부담되는 환자에게 유용하다.
카테터 삽입 부위의 출혈, 혈종과 혈전 형성, 동맥 천공 및 박리 등의 합병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한다. 시술 후 말초맥박은 첫 1시간 동안은 15~30분마다, 그 후 4~8시간 동안은 1시간마다 측정한다. 순환부전 증상, 즉 사지 색깔이나 온도의 급작스러운 변화, 근육 불편감의 증가, 안정시 통증, 운동이상, 감각이상 등이 나타나면 즉시 의사에게 알린다. 시술 후 환자의 혈전 형승을 예방하기 위해 장기간 Aspirin이나 dipyridamole을 투여한다.
2. 레이저 이용 풍선 혈관 성형술
(Laser-assister balloon angioplasty, LABA) : 동맥을 넓히기 위해 레이저와 풍선 카테터를 이용하는 시술이다. 혈관을 통하여 카테터를 삽입하는 것이 어렵거나 폐색이 심하거나 또는 완전 폐색된 경우에 시행한다.
경피적 혈관 내 성형술가 같은 방법으로 하는데 레이저 탐침(probe)이나 레이저 섬유관(fiber)을 폐색 부위로 진입시킨 후 카테터 끝을 가능한 한 폐색 부위의 중앙에 닿도록 한다. 폐색 부위가 뚫릴 때까지 조심스럽게 압력을 가한 후 혈관의 지름을 더 넓히기 위해 표준 풍선 혈관 내 성형술을 시행한다.
모든 절차가 끝난 후 항혈소판제제나 항응고제를 투여한다. 레이저를 이용한 풍선 혈관성형술은 경피적 혈관성형술보다 동맥 벽의 천공이나 동맥내막 박리의 발생률이 더 높다. 간호는 경피적 혈관성형술과 동일
  • 가격1,500
  • 페이지수10페이지
  • 등록일2016.10.16
  • 저작시기2016.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1168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